사또

네이버 웹툰에 대해서는 사또(웹툰) 문서를, 치킨집에 대해서는 사또치킨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조선시대 지방관의 속칭

원래는 지방에 파견된 문무관리를 의미하는 사도使道가 된소리로 변한 것으로, 정확하게 말하면 관직명이라기보다는 칭호나 높임말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종2품에 해당하는 관찰사 같은 경우 감사또, 종2품인 삼도수군통제사의 경우 통제사또라 불렸다.[1] 종 2품인 병마절도사, 3품인 수군절도사, 임시직인 어사의 경우 등 모두 사또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었다.

우리가 흔히 사극에서 볼 수 있는 사또는 문관 외관직 기준으로 종6품 현감(縣監), 종5품 현령(縣令), 종4품 군수(郡守), 종3품 도호부사(都護府使), 3품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목사(牧使), 종2품 감사(監司)•부윤(府尹)에 해당하는 수령직으로, 흔히 원님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국왕이 직접 임명하며 임기는 보통 5년으로 외관직 중 최고인 종2품 감사(監司, 혹은 관찰사라고 부름)의 지휘를 받는 수직적 관계였지만, 감사를 제외한 외관직 사또들 간은 수평적 관계가 원칙이었다. 또한 어떤 지방에 특별한 연고가 있는 관리는 그 지방에 파견되지 못하게 하는 상피제가 적용된다.

현재로 치면 대략 선출직인 도지사, 시장, 군수, 광역시의 구청장 레벨인 기초자치단체장과 정무직인 동장까지 모두 해당한다. 즉 굉장히 많은 지위를 포괄하는 속칭이다

2 권력

사극이나 전래동화 등의 영향으로 하급관리로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조선시대에 높은 관직까지 오르기 위해서는 외직(外職)은 반드시 거쳐가야 하는 필수조건이었으며, 자신의 능력과 포부를 펼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도 했다. 정치력 측정기

반대로 지방유지나 일반 백성을 상대로 검은 돈을 축적할 수도 있는 꽤 괜찮은 지위였기에, 양반 관료들은 이 사또가 되어보는것만 해도 큰 소원인 경우가 많았다. 심지어 부정부패가 만연한 조선 후기에 가면 당상관에 해당하는 정3품 이상인 승지들이 관품이 훨씬 아래인 수령직으로 빠지려는 꼼수를 부렸다는 이야기도 나오기에 이른다.

3 미디어 매체에서

사극이나 여러 창작물에선 주로 구군복에 등채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 되며 대체로 취급이 좋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귀신때문에 요절크리를 당하거나, 괜히 기생끼고 풍악을 울리며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는 탐관오리 라이프를 즐기다가 어사출두 크리를 당하는 역할로 나오는 경우가 많으며, 중립적인 묘사라고 하더라도 주인공이나 높으신 분들에게 휘둘리는 줏대없는 역할이라거나 주인공이 의적일 경우엔 기껏해야 포졸보단 좀 더 쎈 중간몹 정도의 역할 정도가 전부이다.

다만 젊은사또의 경우 취급이 좋은 편으로, 대체로 지방 유지들의 부정부패를 개혁한다거나 백성들의 어려움을 해결해주고 귀신의 한을 풀어주는 역할이 많다. 고마워요 사또~ 어린 사또라는 전래동화에서는 어리다고 얕보는 아래 하전들을 통쾌하게 혼내주기도 한다.
주식이 사또밥이라 카더라

3.1 사또가 나온 작품들

  • 고전문학
춘향전
어사 박문수
장화홍련전
  • TV
전설의 고향 KBS, 다수 에피소드, 김규철 외 다수 열연
춘향뎐 영화, 임권택 감독, 사또 변학도 역에 이도겸, 2000
태양인 이제마 KBS 드라마, 사또 역에 주연 최수종, 2002

4 사또로 유명한 인물

  • 변학도 - 춘향전의 메인 빌런으로, 변사또라고 더 유명하다. 본명을 모르는 사람이 더 많다
  • 전동우 - 장화홍련전 - 장화 홍련 자매의 원한을 풀어주는 젊은 사또이다. 실존인물(!)의 이름은 전동흘이며, 효종 시대에 군관직에서 활약하며 설화처럼 진짜로 통제사에도 오르는 인물이다. 현실에서도 민담에서도 긍정적인 의미의 사또의 위엄을 보여주는 인물.
  • 허구연
  1. 이순신은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직할 당시 이미 정2품 정헌대부의 품계에 있었기 때문에 통상대감이라고도 불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