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강목

東史綱目

1 개요

조선 후기 18세기실학자 순암 안정복이 저술한 역사서.

기존의 정사 삼국사기, 고려사, 동국통감 등에 대해 안정복은 잡스러운 책이라고 생각해 불만이 많았고, 1756년에 직접 역사서를 만들 생각을 하게 된다. 스승 이익이 자료 수집과 감수 등 많은 부분에서 큰 도움을 주었으며, 20년에 걸쳐 20권 20책, 본편 17권, 부록 3권의 분량으로 저술하게 된다.

일단은 관찬 사서가 아니므로 야사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내용의 정밀도가 높아 당대에도 사실상 정사나 마찬가지로 보았다.

2 내용

기자가 고조선으로 망명해 온 시점으로 알려진 주 무왕 13년(기원전 1122년)부터 고려 공양왕까지의 역사를 기록하였다. 조선은 쓰지 않았는데 당연히 본인이 조선 시대 인물이므로 당대 조선에 대한 객관적인 서술이 어려웠을 것이다.[1]

내용상의 특징으로는 기자조선, 마한, 통일신라, 고려 순으로 정통 왕조가 이어진다고 보았다. 마한이 멸망한 뒤의 삼국시대신라가 통일할 때까지는 정통 국가가 없는 무통(無統)의 시대로 보았으며, 고려 또한 태봉에서 비롯된 왕조로 궁예나 견훤과 같은 찬탈자로 간주해 신라가 멸망해 신라의 정통성을 고려가 흡수하기 전까지는 정통이 아닌 참국(僣國)으로 분류했다.

백제의 경우 기존의 삼국사기가 의자왕에서 백제의 왕계가 끝났다고 본 것과 달리 백제 부흥군이 옹립한 풍왕 역시 백제의 왕으로 간주해, 백제의 멸망 시점을 사비성이 함락된 660년이 아닌 백강 전투에서 백제 부흥군과 왜병이 나당연합군에 대패하고 풍왕이 고구려로 도망친 663년을 백제가 멸망한 시점으로 3년 늘려 잡았다. 후백제견훤을 두고 "견훤의 견(甄)은 진(眞)이다"라고 적어 진훤/견훤 호칭 문제에 대한 떡밥을 제기한 인물이기도 하다.

삼국사기나 동국통감의 기존의 역사서에 대해서 비판적 입장에서 쓴 책이니만큼 당연히 그 기록들의 부실함을 지적하고(주로 기록된 사건들에 대한 평가가 유교적 대의명분에 맞지 않는다던지) 오류를 수정하는 부분이 많이 보인다. 예를 들어 삼국사기에 온조왕이 마한을 멸망시킨 뒤에 마한을 부흥시키겠다며 거병했다가 실패하고 자살한 주근을 온조왕이 그 시신의 허리를 베고 처자식까지 다 죽였다는 대목에서, 삼국사기나 동국통감은 모두 주근의 거병을 '반란하였다(叛)', '토벌하였다(討)', '주살하였다(誅)' 식의 글자를 써서 서술했다며, 엄연히 망한 자기 나라를 다시 부흥시키겠다는 충성심으로 백제를 상대로 군사를 일으켰다가 죽은 의사(義士)인데 그걸 왜 역적놈 취급하듯이 써놨냐고 비판했다.

3 기타

발해에 대해서 한국사의 범주로 인정하지 않았다.(!!!!!!) 범례편에서 "발해는 우리 역사에 기록할 수 없는 것이나, 본디 고구려의 옛 땅으로 우리의 국경과 상접하여 의리가 순치지세(唇齒之勢)이므로, 《통감》에서 갖춰 썼기 때문에 이제 그대로 따른다"라고 적은 것. 사실 발해를 한국사로 여기는 주장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시기가 안정복보다 한 세대 뒤 사람인 유득공 때부터고, 안정복 당시까지는 일반적인 시각이 아니었다.

단재 신채호가 중국으로 독립운동을 위해 망명길에 올랐을 때 갖고 간 유일한 물건이 동사강목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신채호는 안정복이 500년 조선 왕조의 역사에서 평생을 역사 한 가지에 노력한 유일한 사학 전문가로써 연구의 정밀함은 그를 능가할 사람이 없고 지리지에서의 오류 수정이나 사실 모순의 변증에 가장 공이 많다고 호평하면서도, 초야에 파묻혀 살던 가난한 사람이라서 위략이나 남제서 같은 1급 사료를 얻어볼 수가 없어 독단하거나 본인의 추측을 첨부한 것도 있으며, 유학자로써의 한계를 버리지 못하고 지나치게 왕실 중심의 주의를 고수하면서도 민족 자체의 활동을 무시한 것이 많다고 지적했다. 기자를 단군, 부여보다 앞세웠다고도 깠다.[2]
  1. 물론 나중에 동사강목의 후속편격으로 조선 왕조의 역사를 다룬 열조통기를 저술하기도 하지만.
  2. 민족주의 사관의 입장에서는 중국에서 온 사람이 한반도 왕조의 왕이 되었다는 기록을 불편하게 생각해 기록이 날조되었다거나 실은 한반도 계통의 사람이었다고 주장하는 경우이 적지 않지만, 의외로 신채호는 기자를 허구의 인물이라고 부정하거나 실은 우리나라 사람이었다는 식으로 주장하지는 않았다. 특별히 그가 실존하지 않았다는 결정적인 증거가 없는 한 기자조선의 기록을 일단은 인정한다는 입장이었고, "그냥 단군과 비슷한 시기에 기자라는 사람이 있었고 우리나라에 왔었구나" 정도로만 보면 된다는 것.(출처: 조선사연구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