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케스티스

1 그리스 신화 속의 이올코스의 왕 펠리아스의 딸

그리스로마 신화의 등장인물이자 해당 인물을 소재로 한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드물게도 헤라클레스가 활약하는 비극이기도 하다. 전반적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해피엔딩인데 비극으로 분류된 건 진주인공이 아레스와 타나토스이기 때문

아드메토스 왕이 알케스티스에게 청혼할 당시 알케스티스의 아버지는 하도 딸에게 구혼하는 사람이 많아 골치를 앓다가 "사자와 멧돼지가 끄는 전차에 타고 오면" 조건 없이 딸을 주겠다고 하였다. 마침 아폴론 신이 퀴클롭스 3형제를 쏘아 죽이고 (자기 아들 아스클레피오스를 죽인 번개를 만들었다고) 인간세상으로 귀양을 와 아드메토스에게 노예로서 의탁하고 있었으므로[1] 아폴론이 아드메토스를 위해 레아(제우스의 어머니 신)의 수레에서 사자를 빌리고 아레스를 멧돼지로 둔갑시켜 수레를 끌게 했다[2].

이로써 아드메토스는 알케스티스와 결혼했으나 멧돼지로 둔갑해 수레를 끈 아레스에게 품삯으로 목숨을 지불해야 하여 죽을 병에 걸렸다. 아폴론이 모이라이(운명의 3여신)와 타협하여 '대신 죽어줄 사람이 있으면 아드메토스는 살 수 있다' 는 결과를 얻었으나 아드메토스의 부모를 포함한 모두가 거부하고 부인인 알케스티스만이 대신 죽기를 자청했다. 이 상황에서 아무것도 모르는 헤라클레스가 근처를 지나다 친구 아드메토스의 궁에 들렀고 아드메토스는 "친(親)도 척(戚)도 아닌 가내의 한 여자가 죽었다" 는 말로 슬픈 일이 없는 척하며 헤라클레스를 후하게 접대했다. 아무것도 모르는 헤라클레스가 술마시고 고성방가를 일삼는 걸 못 참은 하인이 한 마디 하자[3] 비로소 전후 사정을 깨달은 헤라클레스는 "아니, 내 친구 아드메토스에게 이런 슬픈 일이 있는데 나는 술이나 마시고 있었단 말인가. 안될 말이지" 라며 어디론가 사라진다.

다음날 부인이 죽었을 거라고 생각하고 슬픔에 잠겨있는 아드메토스에게 헤라클레스는 웬 베일 쓴 여자를 데리고 나타나서 "부인도 죽었는데 재혼하지 않을라나" 하고 염장을 지른다. 사람 좋은 아드메토스가 그래도 발작은 않고 좋은 말로 거절하자 헤라클레스는 베일을 걷고 알케스티스를 건네준다. 헤라클레스가 아드메토스를 위해 알케스티스를 데리러 나타난 타나토스를 제압하고[4] 알케스티스를 구해온 것.

이때 자기 목숨도 건지고 아내도 무사히 돌아온 결과에 기뻐한 아드메토스는 가장 먼저 아무것도 한 일이 없는 제우스에게 감사 제물을 바쳤다.[5][6] 비극치고는 해피엔딩 아레스 입장에서 비극

2 비트의 디시플린의 등장인물

アルケスティス

어원은 1의 죽었다 살아난 여자. 현재 등장한 최강자들 중 제 1위의 모습을 달리고 있다. 엑시즈, 포르티시모, 부기팝, 이나즈마 등등과 비교해서 최강일지도.

비트의 디시플린에선 포르티시모에 의해 망해버린 다이아몬즈의 망명자 3명(펄, 지드, 몬즈)가 그녀를 만나고 그녀의 대역인 이름 모를 할머니가 죽자 발푸르기스를 찾기 위해 움직인다.

자신이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보석점에서 타카시로 토오루포르티시모간의 재대결을 구경하고 별 거 아니라는 듯이 엑시즈를 도와주었다고 한다.

이후 등장이 없다가 발푸르기스의 후회에서 재등장한다. 등장시 인간으로써의 이름은 묘가 코요미. 카도노 월드의 사건 시리즈, 자해성사건에 등장했던 2명의 초마녀[7] 중 한 명인 리. 카즈역으로 등장하는 듯하다.

능력명은 오버 스케일(부감인식자). 키리마 나기의 불꽃의 마녀와는 다른 얼음의 마녀라는 별칭을 지니고 있으며 대극적인 능력이라고 한다. 2권에서 이나즈마와 싸우지만 이나즈마의 능력으로도 그녀의 약점이 전혀 보이지 않는 등 압도적인 힘으로 이겨버려 부기팝 시리즈 최강자임을 과시했다.

14권 오르페의 방주에 등장한 먼치킨 캐릭터 폴링 그레이스(폴링그레이스의 능력은 얼음이 아니라 정지이다 얼음은 정지의 부가적인 능력)처럼 얼음 속성인 듯하지만 차원이 다른 능력을 보여주어 이후 발푸르기스의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 상상이 되지 않는다.
  1. 어디까지나 벌로서 귀양온 것이었으므로 벌을 내린 제우스의 눈치를 봐서 형식적으로 노예 일을 시키기는 했으나 그 외에는 깍듯이 예를 차려 대한 덕분에 아폴론의 호감을 사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2. 굳이 다른 신들의 힘을 빌려야 할 일일지는 모르지만 일단 인간세상에 귀양중인지라 자신의 신의 힘을 발휘하지 못했을 수도 있고, 무엇보다 사자, 멧돼지는 각각 레아와 아레스를 상징하는 동물이므로 형상을 사용하는 데에 그들의 권한이 필요했을 수도 있다.
  3. 헤라클레스가 흥분하거나 술에 취하거나 광증이 유발되었을 때 그의 비위를 상하게 하면 정말 위험한데도 쓴소리를 한 걸 보면 무모할 정도로 용감하거나 충성스런 하인이다.
  4. 타나토스가 죽음의 의인화 자체라는 것을 감안하면 죽음 그 자체를 이겨낸 것. 심지어 타나토스는 힘이 장사라 이 때까지만 해도 그의 손아귀 힘을 이긴 자가 없었다. 뭐 그나마 이쪽은 헤라클레스가 그 상대라 체면이 덜 깎였지 시시포스는...
  5. 모든 공덕을 최고신 제우스에게 돌려 자기 편으로 만들었던 것. 이때문에 사실 이러한 결과에 불만을 품을 수도 있는 아레스타나토스는 버로우탈 수밖에 없었다. 이미 제우스가 제물 뇌물을 받아버렸으니. 정말 제대로 사회생활할 줄 안다.
  6. 혹은 헤라클레스가 제우스의 아들이었기에 제물을 바쳤다고도 한다. 물론 이게 이유가 될 가능성이 높다. 아드메토스:님 아드님께서 제 아내 구해줘서 드립니다. 제우스:ㅎㅎ 고맙다. 아레스,타나토스:뭥미?
  7. 시공을 넘나들며 싸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