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전군

대한민국 육군의 편제단위
대(隊)급 편제
분대소대중대지역대대대연대
단(團)급 편제군(軍)급 편제
여단사단군단야전군집단군
포병의 편제지휘소
포반전포대포대사령부
북대서양 조약기구의 공용 군사 지도 표기 규약인
APP-6A에 따른 아군 보병 야전군 표기

1 개요

野戰軍, Field Army. 군대에서 군단보다 크고, 집단군보다 작은 부대 편성 단위. 80,000 ~ 200,000명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야전군은 사령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보통 다수의 사단으로 이루어진 군단을 최소한 2개 이상 통제한다. 야전군 수준에서 전투에 영향을 주는 것은 전쟁의 결정적 지점에 적군에 대한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군단에서 군단으로 사단이나 증원군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야전군사령관대장이나 중장이 보임된다.

미필들에게 이해하기 쉽게 학교로 예시를 들자면 몇 개의 교육지원청(군단)을 포함한 광역시/도 교육청 정도의 규모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2 특징

특정한 야전군은 일반적으로 지상군과 구별하기 위해 이름이나 숫자가 붙여지기도 한다. 예를 들면, 첫 번째 미국군 또는 북버지니아군 등이 있다. 영국군과 미국군은 야전군에 서수를 적는 것이 보통(예, 1st 야전군)인 반면, 군단은 로마 숫자(예, III 군단)를 사용하고, 더 낮은 편제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예, '제1사단'). 야전군(뿐만 아니라 집단군, 총군 포함)이란 부대 단위는 규모, 구성, 책임의 범위 등에서 나라마다 상당히 다양한 대규모 편제. 공군 야전군은 몇몇 공군에서 동등한 편제이다.

소련군에서 야전군은 전시에 군집단 규모 전선의 하위 단위인데, 실제로는 군단 규모의 편제이다. 평시에 야전군은 보통 군관구(軍管區)의 하위 편제이다. 냉전 종식 이후 대규모 군비축소와 함께 거의 사라진 편제이다. 국가간 대규모 병력간의 총력전보다는 소규모 병력(혹은 특수부대) 간의 내전 혹은 저강도분쟁에 대비해서 군체계가 기동성을 갖추고 소수정예화되는 흐름이 대세이다.

병사의 소속 부대의 큰 단위를 야전군별로 1군, 2작사, 3군, 육국직으로 분류한다. 일단 병사가 신병때 자대배치를 받은 이상 장군운전병이 해당 간부따라 타 부대로 전출가는 경우가 아니고서는 병사의 자대가 야전군 단위로 바뀌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사령부를 두고 사령관의 지휘가 이루어지므로 거의 무제한인 작전기간을 가지고 있으며 대한민국 육군(1야전군)을 보면 땅에서 굴리는 무기(보병부터 기갑 대포등)는 다 가지고 있는 것이 야전군이다. 즉 1개 야전군이 혼자서 적지에 침투하여 적의 기간 시설을 파괴하는 공작을 벌이고(특공) 험지를 개척해(공병), 전차와 대전차 헬기를 전진시켜 적의 기갑병력과 싸우며(항공,기갑) 원거리에서 포를 쏘아 적의 전력을 제압하며(포병) 그 지역을 보병으로 점령하며(보병) 전투로 소모된 물자를 운반하며(수송) 적의 특공대가 침입해 파괴공작하는 것을 막으며(경비), 적이 화학무기를 사용할 경우 제독(화학대)을 하고 항공기를 탐지하여 요격거리에 들어올 경우 격추를 하며(방공) 전투상황을 통신으로 육군본부나 상위 지휘계통으로 보고하며 자신에게 소속된 부대로 지시(통신)를 한다. 완전 혼자 북치고 장구치고 나 홀로 사물놀이패 좀 장난스럽게 썼지만 정말 이게 다 가능하다. 지령만 있다면.

3 기타

대한민국 육군의 야전군
width=80
제1야전군사령부
?width=80
제2작전사령부
/180px-Third_ROK_Army.jpg" width=70>
제3야전군사령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