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육군의 편제단위 | |||||||
대(隊)급 편제 | |||||||
분대 | 반 | 소대 | 중대 | 지역대 | 대 | 대대 | 연대 |
단(團)급 편제 | 군(軍)급 편제 | ||||||
단 | 여단 | 사단 | 군단 | 야전군 | 집단군 | ||
포병의 편제 | 지휘소 | ||||||
포반 | 전포대 | 포대 | 사령부 |
목차
개요
보통 대한민국 육군 특전사에 존재하는 편제이다.[1] 과거엔 해군 특수전전단에서도 육군 특전사처럼 지역대라는 명칭을 사용했었으나 작전대라고 명칭을 바꾸었기 때문에 현재는 특전사가 유일하다. 여타의 일반 육군부대와 달리 특전사 산하 공수특전여단에선 10명 정도로 이루어진 중대(팀)가 모여서 지역대가 되고 지역대가 모여서 대대가 된다. 지역대부터는 이제 나름의 행정병 TO도 생기고 사무 담당도 배치되기에 일반 육군이랑 비교하면 규모면에서 대략 육군 보병 중대에 비유할 수 있다.[2] 지역대 이하 중대는 장교인 중대장 포함 전부 전투원. 지역대장은 소령. 부사관 힘이 강하고 휘하 부대원이 적은 특전사 특성상 보병 부대 대위 중대장만큼의 파워를 뽐낼 수 있는 위치는 아니다.
전인범 사령관 때 지역대장도 전용 레토나를 쓸 수 있게 해준다는 말이 있었는데 사실인지 추가바람. 14년까지는 지역대용 차량이 따로 없어서 항상 배차 신청하거나 걸어다녀야 했다. 안습... 보병 중대장도 중대 1호차가 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