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도

1 예도(禮刀)

행사 때 양옆에 나란히 선 군인들이 서로 받들어 칼을 하여 입장객을 환영하는 것이다. 주로 결혼식 때 많이 볼 수 있다. 원래 군인들이 결혼할 때 하는 것으로 예도단 역시 군인들이 주로 하나 학군단, 부사관과 학생들이 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으며 요즘에는 결혼식장에서 다 알바생들 모집해서 한다. 결혼식신랑의 위신을 세워주는 역할로 특히 헌병, 해병대, 특전사 예도단이 들어오면 아주 멋있다.

국군의 예식도는 육군·해병대·공군의 것은 같지만 해군(해병대 제외)의 것만 조금 다른데, 더 길고 곧은 형태이다.

따로 옷은 정해져 있지 않고 각군 군복, 정복이나 학과 제복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요대, 흰장갑, 어께끈, 에 추가로 베레모자 등을 착용하면 된다. 서로 요대 높이 맞추면 처음 해도 대충 폼은 난다.

보통 행사 때는 받들어 칼만 하나 결혼식때는 예도단이 신랑신부 퇴장 시 앞을 칼로 가로막고 미션이나 질문을 던지기도 한다. 이걸 다 통과 못하면 퇴장시키지 않는다. 예도단이 8~10열쯤 되면...

2 예도(銳刀)

무예도보통지 2권에 수록된 무예로 본국검법과 더불어 확실한 한민족의 검술이다.[1] 조선세법이라고도 불리우며 24가지 세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예도보통지에는 4세가 추가되어 총 28세이다. 무비지에는 조선세법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양날검을 사용한다.

거정세, 점검세, 좌익세, 표두세, 탄복세, 과우세, 뇨략세, 어거세
전기세, 간수세, 은망세, 찬격세, 요격세, 전시세, 우익세, 게격세
좌협세, 과좌세, 흔격세, 역린세, 염시세, 우협세, 봉두세, 횡충세

가 기본적인 조선세법, 예도 24세이며 후에 증가된 자세는

태아도타세, 여선참사세, 양각조천세, 금강보운세 이렇게 4개 자세이다.

이 조선세법은 본국검법과 같이 맥 자체는 끊긴 무술이며 현대에 들어서 많은 검술단체들이 자신들의 검리대로 해석하여 복원하는 형편이다. 따라서 지금 현대에 들어서는 복원무술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지만 원판이 전통무술이니 전통무술로 분류하기도 하는 등 좀 애매한 부분.

무예도보통지에서 예도 부분은 검보 뿐만이 아니라 검법을 익히기 전에 기본적으로 행하는 여러가지 자세들, 수법들을 망라함으로써 보급형 검술이라고 보는 시각도 존재하고 반면 일본의 유명 고류검술 유파들의 방식을 들어 기본기를 익힌 후 보다 정밀한 검술을 익히는 시스템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2]

예도는 본래 조선의 검법인 것은 맞지만 이것을 중국에 전해주고 되려 조선에서는 거의 실전되었던 모양인지 다시 중국에서 역수입을 해 온 것으로 다들 알고 있는데 당시 조선 군영에서도 예도가 존재하긴 존재했었다.

이것을 중국에서 조선세법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가져와서 검보를 짰는데 군영을 살펴보니 이미 하고 있던 예도가 있기에 정조[3]

'예도는 두가지가 있어 우리가 중국에 주었다가 다시 찾아온 것과 현재 군영에서 하고 있는 것이 있으니 현재 군영에서 하는 것을 총보로 따로 만들어 군사들이 옛것과 지금의 것을 모두 익혀 어느 하나도 잃음이 없도록 하라.'

라는 명을 내렸고 이에 예도는 예도 본편과 총보가 다르다. 오오 정조간지 오오

후에 추가된 4세들은 대부분이 쓸데 없는 자세들이라[4] 칼을 가까이 하여 거리낌이 없게 하려는 일종의 수련법이 아니었나 하는 말이 있다.

당시 척도를 고려했을 때 70~90센티 정도의 짧은 칼로 했을 것이라고 추정되며 그 기법 자체는 매우 훌륭했다고 여겨진다. 무예도보통지 서문에 나온 설명을 보면 중국의 무장이 조선의 마상재를 보고는 훌륭하다고 평가하고 조선 군영의 검법을 본 뒤에는 "훌륭한 검법이나 죽음을 각오해야 쓸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물론 짧은 칼을 쓴 이유는 조선군의 주무장은 역시나 활이었기 때문이다. 노다치와 같은 길고 강력한 무기와 상대할 시에, 조선군은 월도나 협도를 선호했다고 한다. 즉, 예도는 활과 장병기 모두 사용한 후에 최후의 수단인 단병기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2.1 순서

틀:불확실한 정보

파일:RvysFMQ.gif

  1. 태아도타세
  2. 견적출검세
  3. 봉두세
  4. 향우방적
  5. 좌우방신
  6. 백사롱풍세
  7. 향좌방적
  8. 좌우방신
  9. 백사롱풍세
  10. 좌협세
  11. 좌우방신
  12. 수두세
  13. 은망세
  14. 태아도타세
  15. 여선참사세
  16. 역린세
  17. 좌우방신
  18. 수두세
  19. 요략세
  20. 흔격세
  21. 좌방신
  22. 우방신
  23. 금강보운세
  24. 우익세
  25. 병풍세
  26. 표두세
  27. 전시세
  28. 좌우방신
  29. 수두세
  30. 은망세
  31. 양각조천세
  32. 역린세
  33. 좌우방신
  34. 탄복세
  35. 요략세
  36. 표두세
  37. 좌익세
  38. 찬격세
  39. 전시세
  40. 역린세
  41. 좌우방신
  42. 수두세

위의 그림과 순서가 심히 달라보이는건 기분탓이다

2.2 기본 자세(格法) 24수

2.2.1 거정세(擧鼎勢)

파일:CjvIKiX.gif
GIF
을 드는 듯한 자세이다. 정면을 바라보며 왼발을 앞에 두고, 왼쪽 귀 위쪽으로 검자루가 오게 검을 치켜들되, 검끝은 몸 뒤를 향하고, 검날은 위를 향하며, 검신이 땅과 수평이 되도록 한 다음, 왼발을 내딛으며 상대의 목 오른쪽에서 허리 왼쪽까지 내려벤다. 그 다음 왼발로 45도 왼쪽 앞으로 나아가 상대의 허리 왼쪽을 수평으로 벤다. 그리고 검으로 상대를 겨누며 왼발로 한걸음 물러나며 마무리한다. 이 기술은 공격뿐만 아니라 표두세에 대한 카운터 기술로도 사용된다.

2.2.2 점검세(點劍勢)

파일:Umh1nK6.gif
부분GIF1
부분GIF2
칼을 점하여 찌르는 것을 말한다. 오른발을 앞에 두고, 검끝을 오른무릎 앞에 무릎높이로 내리고, 검날은 왼쪽 아래로 45도를 향하도록 비튼다.
그 다음 왼발을 오른발 앞으로 꼬아 나가, 시계방향으로 검을 휘감고, 상대의 무기를 내 몸 오른쪽으로 젖힌 다음, 오른발 나아가며 상대의 명치부분을 찌른다. 그 다음 검을 시계방향으로 휘감아 상대의 무릎을 베고 오른발을 내딛으며 상대의 명치부분을 찌르며 마무리한다.

2.2.3 좌익세(左翼勢)

파일:NWC9rZS.gif
왼쪽 날개를 치는 듯한 자세이다. 오른발을 앞에 두고, 검은 오른어깨에 날을 위로하여 수평으로 얹는 다음, 오른발을 내딛으며 상대의 왼손목을 벤다. 그 다음 오른발을 내딛으며 검날이 위를 향하도록 검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상대의 배를 찌른다.
역린자(逆鱗刺): 오른발을 내딛으며 검날이 밑을 향하도록 하여 상대의 목을 찌른다.

2.2.4 표두세(豹頭勢)

파일:5GH7gua.gif
표범의 머리를 치는 듯한 자세이다. 검을 머리 위 한 뼘 간격으로 띄우고 정중선에 똑바로 세워 오른발이 전진하며 호를 그린다. 또 좌표두세는 왼발이 전진하며 내려친다. 오른발을 앞에 두고, 검을 몸앞에 수직으로 세우고, 검신을 뒤로 45도로 세운다. 검막(코등이)이 눈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오른발을 내딛으며, 상대의 머리를 신속히 찍으며 친다.왼발을 내딛으며, 왼손이 앞으로 오도록 검을 바꾸어 쥐고, 상대의 머리부터 허리까지 수직으로 눌러벤다. 왼발을 미끌어지듯 내딛으며 자세를 아주 낮추어 상대의 목을 올려 찌른다.

2.2.5 탄복세(坦腹勢)[5]

파일:BK0vBdo.gif
오른발을 앞에 두고, 몸은 상체를 왼쪽으로 45도 정도를 튼다. 검은 왼쪽 겨드랑이에 날을 위로 하여, 검끝이 상대의 복부를 향하도록 한다. 손은 검자루를 쥔채 끌어당겨 왼손은 가슴 앞에, 오른손은 명치 앞에 둔다. 왼발을 내딛으며, 검날을 위로하여 상대의 배를 찌른다음, 오른발을 내딛으며 검날을 밑으로 하여 상대의 목을 찌르고 왼발을 내딛으며 상대의 우측허리를 수평으로 벤다.

2.2.6 과우세(跨右勢)

파일:LDAfsxc.gif
이 법은 두 무릎을 구부려 말을 타는 자세로 오른편을 치는 것을 말한다. 오른발을 앞에 두고, 검은 끝을 뒤로하여 우측허리에 수평으로 걸친다. 오른발을 내딛으며 상대 왼 허리를 45도의 각으로 걸쳐올려 벤 다음 왼발을 내딛으며 상대 오른 허리를 45도의 각으로 걸쳐 올려벤다. 그 다음 오른발을 내딛으며 상대의 왼쪽을 비스듬히 사선으로 벤다.

2.2.7 요략세(僚掠勢)

파일:TkIWh6M.gif
검을 위에서 아래로 훑는 기술이며, 왼발을 앞에 두고, 검끝은 뒤로하여, 무릎 높이에 맞추어 상대에게 보이지 않도록 감춘다. 오른발을 내딛으며, 검을 수직으로 목 높이까지 훑어 올린다.[6] 왼발을 내딛으며, 몸을 오른쪽으로 틀어, 왼손이 앞으로 오게 검자루를 바꾸어 잡아 수평으로 상대의 가슴을 찌른다. 왼발을 내딛으며, 검을 원상태로 잡고 상대의 우측목을 깊게 내려벤 후, 왼발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한바퀴 회전해서 돌아 오른 어깨에 검을 올리고, 왼주먹을 지른다.

2.2.8 어거세(御車勢)

파일:4JIWtuL.gif
격법(格法)의 일종이다. 수레를 끌듯이 앞으로 나아가 상대의 기술을 방어하면서 기회를 보다 공격하는 자세이다. 주로 상대 손목을 깎아 벤다.
왼발을 앞에 두고, 검은 등을 위로 하여 명치부분으로 당긴다.[7] 왼발을 내딛으며, 상대의 가슴을 찌른다. 왼발을 내딛으며, 상대의 양 손목을 깎아벤 다음 왼발을 살짝 내딛으며 상대 검과 부딪친다.
봉두세(鳳頭勢):

2.2.9 전기세(展旗勢)

파일:Qztto0n.gif
GIF
기를 펴듯이 쳐올리는 기술이며, 오른발을 앞에 두고, 몸을 틀어 오른쪽 어깨를 약간 뒤로 한다. 칼은 오른쪽 어깨에 30도 정도 기댄다. 오른발을 내딛으며, 상대의 왼쪽 목을 거의 수평으로 벤다. 왼발을 내딛으며, 칼을 왼손으로 바꾸어 잡고 칼을 휘둘러 비스듬히 상대의 허리를 내려벤다. 왼발을 내딛으며 칼을 오른손으로 바꾸어 잡아 젖히고 상대의 가슴을 찌른다.

2.2.10 간수세(看守勢)

파일:LnJBTce.gif
보고 지켜 치는 기술로, 왼발을 앞에 두고, 자세를 아주 낮추고 몸은 정면을 향한다. 칼은 허리 높이로 수평으로 든다. 왼발을 내딛으며 상대의 목을 찌른다. 왼발을 내딛으며, 칼날을 상대의 배를 찌른다. 오른쪽 45도 나아가 상대 오른허리를 벤다.

2.2.11 은망세(銀莽勢)

파일:WQvSmCO.gif
구렁이가 나무를 감는 듯한 기술이다. 먼저 왼발이 전진하여 오른손으로  아래를 베고 검을 지검 진좌세로 세워 오른발이 앞으로 나가고 왼발이 시계방향으로 180°돌아 어깨에서 아래로 비스듬이 베되, 몸을 사면으로 돌 때 검으로 몸을 두루 감고 상대의 공격을 방어하면서 번개같이 돌아 벤다. 뒤로 돌아 벨 때는 그 반대 방법으로 행하면 된다. 칼은 왼쪽 어깨 위에 눈높이로 검신이 수평하게 들되, 검날이 위를 향하고 검끝이 앞을 향하게 한다. 검 끝은 몸 뒤를 향하고, 검날은 위를 향하며 시계방향으로 몸을 돌려 뒤를 보며 올려베고 이어 반시계방향으로 몸을 돌려 앞을 올려베고 반시계방향으로 몸을 돌려 오른편을 올려베고 이어 시계방향으로 몸을 돌려 왼편을 올려벤다.

2.2.12 찬격세(纘擊勢)

파일:7yTCM27.gif
비비어 치는 기술로서, 앞발을 들고 검을 머리 위로 뒤집어 들었다가 비틀면서 하단으로 찌르는 것이다.

2.2.13 요격세(腰擊勢)

파일:Ilj5ihH.gif
허리를 치는 기술로서, 비껴 (옆으로)쳐서 허리를 베되, 몸과 걸음과 손과 탈의 빠르기가 우뢰와 같아야 하고, 세법(洗法)으로서 반원을 그려야 잘 베어진다. 또 좌요격은 왼발과 오른손으로, 우요격은 오른발과 왼손으로 벤다.

2.2.14 전시세(展翅勢)

파일:2rf71Mw.gif
날개를 펴서 치는 듯한 기술이며 발을 들면서 상대의 검을 올리며 상대의 자세를 흩트려 놓고 내려치는 검세로서 내략세와 외략세로 구분지어 진다.

2.2.15 우익세(右翼勢)

파일:FbWbUYV.gif
오른쪽 날개를 치는 듯한 기술로서, 갈겨 왼쪽 어깨위 한뻠 간격을 띄워서 45°각도로 내려 자른다. 왼발이 앞으로 전진하고 호를 그리면서 자르되, 시선은 전방을 주시하고 상체는 바로 세워야 하며 두 무릎은 굽힌다. 이때 뒷발은 뒤꿈치가 절대로 지면에 닿게 해서는 안된다.

2.2.16 게격세(揭擊勢)

파일:85AbcVD.gif
들어 치는 기술로서, 검을 머리 위로 치켜세워 조천세를 취하여 내려 치는 법이다. 이때 하늘에서 땅으로 벽력같이 내려친며 왼발이 앞으로 나와야 한다.

2.2.17 좌협세(左挾勢)

파일:CWolqK2.gif
왼편 옆구리에서 찌르는 기술로서, 상대가 가까운 거리에 있을 때 발을 나가지 않고 몸으로 짧게 밀어서 찌르는 기술이다.

2.2.18 과좌세(跨左勢)

파일:SZSIRw5.gif
왼편을 걸터앉아 치는 기술로서, 상대의 공격에 왼쪽45°방향으로 신속히 걸터앉아 상개의 두 팔을 베는는 것이다.

2.2.19 흔격세(?擊勢)

파일:Uu4BB0W.gif
치켜 흔들어 치는 기술로서, 찰법(札法)으로서 검을 당기지 말고 밀어 쳐 벤다. 좌흔격세는 왼발과 왼손으로 벤다. 또, 염시세처럼 검을 몸 뒤쪽 아래로 내려서 뺀 다음 단전에 기를 모으고 위 45°방향으로 빠르게 쳐 밀어 올리고 검을 잡은 두 손이 자기 몸을 벗어나지 않게 하며 검의 각도는 위로 30°를 이루어야 한다.

2.2.20 역린세(逆鱗勢)

파일:086IGpJ.gif
비늘을 거슬러 찌르는 기술이다. 위키러들이 아는 그 역린 맞다. 검을 뒤집으며 발이 일보 전진하며 상대의 인후부를 비틀어 찌르는 것이다.

2.2.21 염시세(斂翅勢)

파일:61PK15u.gif
날개를 거두고 치는 듯한 기술로서 검을 허리 뒤로 빼서 물러서는 척하다 기회를 보아 쳐들어가는 것이다. 

2.2.22 우협세(右挾勢)

파일:54h7Ncm.gif
검을 오른편에 끼고 찌르는 기술로서 왼발을 앞에 두고, 칼끝은 얼굴높이, 45도로 세워 오른편에 낀다. 오른발을 내딛으며, 칼을 왼쪽으로 옮기며, 슬쩍 목을 긋고, 왼편에서 상대의 목을 찌른다. 왼발을 내딛으며, 날을 밑으로 하여 상대의 목을 찌른다. 왼발을 제자리에서 굴러, 칼을 들었다가 상대의 오른쪽 목을 깊이 내려벤다.

2.2.23 봉두세(鳳頭勢)

파일:JBDpUAy.gif
의 부리를 씻는 듯한 기술로서 봉의 머리를 좌우로 씻듯이 왼발을 뒤로 딛어 크게 물러서며, 검을 머리위로 휘둘러 상대의 왼쪽 목에서 오른편 무릎까지 크게 벤다. 이 때 검의 각도가 15°를 이루어야 하며, 오른손 주먹의 위치가 어깨높이에 멈춰야 한다.

2.2.24 횡충세(橫衝勢)

파일:122g0xS.gif
파일:XMjiXMy.gif
가로 찌르는 기술로서 발을 나가지 않고 왼발을 끌어나가며 검을 눕혀서 상대의 심장을 찌르는 것이다.

2.3 총보에 포함된 4수

파일:A7QBWH0.gif

좌:여선참사세우:태아도타세

2.3.1 태아도타세(太阿倒拖勢)

파일:YmFAJZN.gif
처음에 먼저 왼손으로 칼허리를 굳게 잡고 다음에 오른손을 들어 하늘을 향해 밀어 치면서 기합소리를 하고, 또 오른손으로 오른 무릎을 가볍게 치고 오른발로 왼발을 비스듬히 치면서 그대로 칼을 뽑아 전시세 모양으로 머리 위로 들어 올려 아래로 내려친다.

2.3.2 여선참사세(呂仙斬蛇勢)

GIF
왼손을 허리에 두고 오른손으로 비스듬히 칼허리를 잡아 공중을 향하여 한길 높이 던져 올려 칼등이 원을 그리며 굴러 떨어지면 가만히 한걸음 나아가 오른손으로 받아 든 다음 아래로 내려친다. 이때 오른손의 높이가 어깨높이에 멈춰야 하고 칼날은 바깥으로 가게 해야 한다.
파일:XWdoDay.gif

좌:금강보운세우:양각조천세

2.3.3 양각조천세(羊角弔天勢)

파일:Mj1oKVK.gif
가운데에서 조금 물러나 꿇어 앉아 오른손으로 칼자루를 잡아 칼등을 왼손 엄지에 메우고, 오른손으로 조심조심 칼머리를 튕겨 손가락을 둘러싸고 둥글게 굴려 다음 손가락에 이르러 약지 사이에 와서 멈추게 하는데 이 모습이 마치 은 독같이 된다고 한다.

2.3.4 금강보운세(金剛步蕓勢)

몸을 죄우로 돌아보고 칼이 높이 처들어 머리 위로 감싸다가 휘두르며 몸을 한바퀴 돌려 상대 목을 향하여 내려친다. 이때 손의 높이가 어깨 높이에 멈춰야 한다.

관련 영상. 2
  1. 제독검도 직도 형태의 검은 중국이라고 하나 검보는 조선이 창안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2. 대부분의 류파가, 목록을 전수 받기 이전에 50여 개가 넘는 기본적인 형을 익혀야만, 목록 이후의 핵심 과정을 배우는 것을 허가한다. 그렇다고, 이전 단계를 생략하고 목록 이후의 과정을 배우면, 그 유파에 맞는 육체와 정신이 길러지지 않았기에, 모양만 따라하게 될 뿐, 기세나 간합 등의 중요 요소를 익힐 수가 없다. 이는 기술의 수보다 깊이를 중시하는 대부분의 일본 무도의 특징이다.
  3. 정조는 무예에 상당히 조예가 깊었으며, 특히, 월도를 잘 썼다고 전해진다. 괜히 이덕무에게 무예도보통지 집필을 장려한 것이 아니고, 괜히 암살설이 나오는 게 아니다.
  4. 태아도타세는 칼 뽑기 전 자세로 보이고 여선참사세는 칼을 위로 세번 던졌다가 받는 법, 양각조천세는 손가락 사이에 칼을 넣고 돌리는... 금강보운세는 빙빙 도는 것으로 해석된다.
  5. 단복세라고도 한다. 정확한 명칭을 아는 사람은 추가바람.
  6. 훔쳐오듯이 잡아 당겨 후굴자세가 되어야 한다.
  7. 이때 검 끝의 높이는 상대 가슴 높이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