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론

Cosmology
宇宙論
광활한 우주를 다루는 학문.

1 개요

끝을 찾아볼 수 없는 우주에 관한 이론을 다루는 학문. 천문학과 비슷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나, 천문학과는 명백히 다른 학문이다. 천문학자와 천체물리학자들은 '항성'이나 '은하'를 다루고, 우주론자들은 '우주 모형'을 다룬다. 뭉뚱그려 표현하면, 천문학은 미시적인 것[1]을, 우주론은 거시적인 것[2]을 다룬다. 우주론의 분과인 평행우주론보다 늦게 개설되었을 정도로 인기가 없어서 문제지만...

많은 천체물리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완성될 기미는 전혀 보이지 않으며, 만약 완성한다고 해도 몇백, 혹은 몇천년 후일지는 아무도 모른다.

2 역사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우주론은 우주에 대한 과학이다. 그러나 그 시초는 과학이 아니라 철학이었다. 철학이 정의한 우주는 모든 것을 포용하고 있는 공간이며, 일반적으로는 규칙을 가지고 있는 질서정연한 상태를 의미했다[3].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프톨레마이오스와 같은 종교와 잘못된 철학에 의해 올바른 우주론의 형태를 갖추지 못했다.[4]

2.1 천동설에 기반한 고대 우주론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고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는 우주론. 현재는 버려진 이론이다.

2.2 지동설에 기반한 근대 우주론

그로부터 한참 지난 중세시대, 철학자가 아닌 자연철학자들이 등장하고, 이론을 우주에 적용한 결과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고 있음이 확립되었다. 코페르니쿠스갈릴레이가 기여했다. 요하네스 케플러는 스승 브라헤의 자료를 이어받아 케플러의 법칙을 확립했고, 뉴턴은 자신의 중력 이론으로 천체의 움직임을 계산했다. 이로써 근대 우주론이 확립된 것이다.

2.3 정상우주론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아인슈타인특수 상대론과 일반 상대론에 관한 논문들을 발표함으로써 상대론적 우주론이 확립되었다. 그 시초는 올베르스의 역설과 같은 우주에 대한 깊은 물음이었고, 그에 대한 답은 중세시대에 완성된 이론들이었다.

서로 멀어지는 은하들에 의해 생겨난 빈 공간을 같은 밀도로 채우기 위해 새로운 물질이 꾸준하게 만들어진다는 학설이다. 현재는 버려진 이론이다.

2.4 빅뱅(대폭발) 우주론

문서 참조

3 교육과정

3.1지구 과학Ⅰ

천동설, 지동설, 티코 브라헤의 우주론에 대한 내용이 수능에 출제되었다.

3.2 지구 과학Ⅰ

이 페이지에 쓰여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수능에 출제된다.

3.3 물리학과 4학년

실제 물리학과 커리큘럼에도 포함되어 있는 학문이다. 보통 대학교 4학년은 되어야 다룬다. 교재에 대한 설명 추가바람 그리고 고등학교 물리1 1단원 맨 끝부분이 우주론에 관한 내용 일부가 포함되어있다.

3.4 천문학과

4학년 전공으로 다루며, 물리 우주론에 대한 이야기가 주로 이뤄진다. 학부 수준에서 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으나 프리드먼 방정식을 포함한 일반 상대성 이론과 현대 우주론을 주로 배운다. 국내에는 실제 전공하는 교수의 수가 적은데다가 교재로 쓸만한 것이 없어 딱히 정해진 커리큘럼같은 것은 없는 모양.

4 관련 학자

  • 스티븐 호킹: 블랙홀 이론과 일반 상대론 전문가. 논문(업적)을 보면 그의 명성을 이해할 수 있다. 그의 논문집은 책으로도 출판되었다.
  • 안드레이 린데: 다중우주를 주장
  • 앨런 구스: 인플레이션 이론 제안
  • 알렉산더 빌렌킨: 다중우주를 주장
  • 조지 엘리스: 수학자 겸 우주론 연구가
  • 조지 가모프
  • 스티븐 와인버그
  1. 행성과 같은 것들을 말한다. 인간의 관점에서 보면 행성이나 성운 등도 거대하지만, 우주에 비하면 먼지에 불과할 수도 있다.
  2. 우주의 기원 또는 우주의 형태 등
  3. 여기서 유래한 단어가 바로 영어 단어인 Cosmos다.
  4. 이러한 철학으로서의 우주론은 동양의 경우 성리학도 갖추고 있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이이가 별시를 칠 때 작성한 '천도책' 문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