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군

동유럽군대
러시아군우크라이나군벨라루스군몰도바군슬로베니아군크로아티아군루마니아군세르비아군몬테네그로군
150px-Emblem_of_the_Ukrainian_Armed_Forces.svg.png

우크라이나군[1]
GFP 순위30위(2016년)
상비군160,000 명 (2015년)
전차700~1,100대(3,000여대 치장) (2014년)
장갑차6,300여대 (2015년)
자주포1,300문 (2015년)
견인포1,000문 (2015년)
전투기220기 (2015년)
GFP 기준 수상함25척 (2015년)

1 개요

우크라이나의 군대이다. 소비에트 연방의 일원이었던 만큼, 동구권 무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본가인 러시아는 별로 신경 안 쓰는 T-80 국내 버전인 T-84를 수출을 위해 서방표준인 120mm 주포버전 T-84를 개발하기도 할 정도. 그 외에도 우크라이나가 구소련 붕괴시 Tu-22M 등 다양한 병기들을 스리슬쩍 인수했기 때문에 가진건 많은 편이다. 냉전 종식 이후 잠시동안이나마 Tu-160은 물론이고 핵무기까지 보유하고 있었으나 유지할 길이 없어 일부를 이란에 넘기려다 미국의 지원 아래 폐기 및 양도로 마무리지었던 역사가 있다.

2 역사

1991년 소련 해체와 함께 생성되었다. 2003년 이라크전 이후 이라크에 다국적군의 주둔이 시작되며, 우크라이나는 동구권 국가들 중에서는 특이하게 전투병을 파병하였다. 2004년 오렌지 혁명 이후 미국 주도의 MD에 찬성하고 있으며, 해군기지 대여를 철회하는 등[2] 러시아와 대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더구나 서부와 동남부 지역이 각각 친서방/친러로 여론이 분열되었다. 특히 크림 반도의 경우 주민구성이 대개 러시아인이었기 때문에 러시아의 무력 침공으로  2015년 현재 러시아에 사실상 합병되었다. 그리고 2010년 대선에서 친서방 정권이 무너지면서 다시 친러시아 계열로 돌아갈 조짐을 보였다. 그러나 국민의 절반이 친서방적 사고방식을 가져, 2013년말 야누코비치 정권은 일단 겉으로는 중립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3 군복

2013년 까지는 구 소련 해체 직전에 소련군 제식군복이었던 TTSKO패턴을 개량한 군복을 사용하였으나 2014년에 들어서 신형 디지털 패턴을 사용하고있다 하지만 새로 보급은 디지털 패턴 군복이 현재 우크라이나 군에게 보급이 부족한편이다.

4 육군 휘장

150px-Emblem_of_the_Ukrainian_Ground_Forces.svg.png

5 해군 휘장

150px-Emblem_of_the_Ukrainian_Navy.svg.png

6 공군 휘장

120px-Emblem_of_the_Ukrainian_Air_Force.svg.png

7 우크라이나 내무보안군

8 관련 항목

  1. 우크라이나군의 전체 병력
  2. 하지만 2010년 4월 문제가 되던 러시아 해군기지 대여 취소를 철회하고 2030년까지 연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