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고속도로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orange; padding: 12px;"
{{{+1 개통하지 않은 구간이 있거나 미개통 노선입니다.}}}

*노선명 : @노선명@
*공사구간 : @공사구간@ 구간
*진행상황 : @공사진행상황@
*개통 : @노선개통예정일@   [br]이 구간에 대한 서술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울러 공사가 중단될 경우 틀:공사 중단함께 넣어주시고, 공사가 무산되거나 계획이 취소될 시 틀:계획취소로 바꿔주시기 바랍니다.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orange; padding: 12px;"
{{{+1 개통하지 않은 구간이 있거나 미개통 노선입니다.}}}

*노선명 : @노선명@
*공사구간 : @공사구간@ 구간
*진행상황 : @공사진행상황@
*개통 : @노선개통예정일@   [br]이 구간에 대한 서술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울러 공사가 중단될 경우 틀:공사 중단함께 넣어주시고, 공사가 무산되거나 계획이 취소될 시 틀:계획취소로 바꿔주시기 바랍니다.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orange; padding: 12px;"
{{{+1 개통하지 않은 구간이 있거나 미개통 노선입니다.}}}

*노선명 : @노선명@
*공사구간 : @공사구간@ 구간
*진행상황 : @공사진행상황@
*개통 : @노선개통예정일@   [br]이 구간에 대한 서술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울러 공사가 중단될 경우 틀:공사 중단함께 넣어주시고, 공사가 무산되거나 계획이 취소될 시 틀:계획취소로 바꿔주시기 바랍니다.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orange; padding: 12px;"
{{{+1 개통하지 않은 구간이 있거나 미개통 노선입니다.}}}

*노선명 : @노선명@
*공사구간 : @공사구간@ 구간
*진행상황 : @공사진행상황@
*개통 : @노선개통예정일@   [br]이 구간에 대한 서술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울러 공사가 중단될 경우 틀:공사 중단함께 넣어주시고, 공사가 무산되거나 계획이 취소될 시 틀:계획취소로 바꿔주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메인선(1) 경부선
남북선(15) 서해안선(17) 수원문산선, 평택화성선(25) 호남선, 논산천안선
(27) 순천완주선(29) 세종포천선(35) 중부선, 통영대전선
(37) 제2중부선(45) 중부내륙선(55) 중앙선, 대구부산선
(65) 동해선(105) 남해3지선(151) 서천공주선
(153) 평택시흥선(171) 용인서울선, 오산화성선(251) 호남지선
(301) 상주영천선(451) 중부내륙지선익산문산선
동서선(10) 남해선(12) 광주대구선, 무안광주선(14) 함양울산선
(16) 울산선(20) 익산포항선(30) 당진영덕선
(32) 아산청주선(40) 평택제천선(50) 영동선
(52) 광주원주선(60) 서울양양선(102) 남해1지선
(104) 남해2지선(110) 제2경인선(120) 경인선
(130) 인천국제공항선(202) 익산포항지선(253) 고창담양선
(551) 중앙지선
순환선(100) 서울외곽순환선(300) 대전남부순환선(400) 수도권제2순환선
(500) 광주외곽순환선(600) 부산외곽순환선(700) 대구외곽순환선
계획 중제2서해안선서울연천선문산개성선
강화간성선새만금포항선광주해남선
지정해제(1) 경부선 한남-양재(2) 경인선 목동-신월(6) 남해선 구포-덕천
(6-3) (구)남해3지선(7-2) 구마지선(15) 서해안선 죽림-목포


東海高速道路 / Donghae Expressway

동해고속도로
東海高速道路 / Donghae Expressway
노선 번호65번
기점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종점강원도 속초시
연장부산~포항 : 100.9 km
삼척~속초 : 122.6 km
개통일1975년 10월 14일강릉~동해
1977년 12월 16일강릉~묵호
2008년 12월 29일부산~울산
2009년 11월 27일강릉~하조대
2012년 12월 21일하조대~양양
2015년 12월 29일울산~남경주
동경주~남포항
2016년 6월 30일남경주~동경주
2016년 9월 9일남삼척~동해
2016년 11월 24일(예정)속초~양양
2023년 7월(예정)북영일만~영덕
미정영일만대교(남포항~북영일만)
미정영덕~삼척
관리부산~울산부산울산고속도로(주)
이외 구간한국도로공사
왕복 차로수왕복 2차로양양요금소~양양
왕복 4차로부산~송정
울산~남포항
동해~양양
왕복 6차로송정~울산
주요 경유지부산광역시 - 울산광역시 - 경주시 - 포항시 - 영덕군 - 삼척시 - 동해시 - 강릉시 - 양양군 - 속초시

1 개요

1974년 착공하여 이듬해인 1975년 10월 14일 영동고속도로 새말-대관령-강릉 구간과 함께 강릉-묵호 구간이 왕복2차선으로 최초 개통되었으며, 부산광역시 - 울산광역시 - 포항시 - 울진군 - 삼척시 - 강릉시 - 양양군 - 속초시 - 고성군(통일 이후에는 함경북도 나진시)까지 이어질 예정인 동해안을 따라 달리는 고속도로. 노선 번호는 65번. 현재의 번호는 2001년 번호체계 개편으로 붙은 것이며, 개편 이전에는 강릉-동해 구간만 동해고속도로로 칭하여 5번 번호를 붙였으며, 당시 미개통 구간이었던 부산-울산 구간은 부산울산고속도로로 28번이 붙을 예정이었다.

2016년 10월 기준으로 강원도 삼척시와 강원도 양양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경상북도 포항시 구간만이 개통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고속도로가 높게 설치되어 바람이 불면 ㅎㄷㄷ하다. SUV가 뒤집어진 사고도 있으며, 강원도 구간을 주행하다 보면 대관령 구간부터 여기저기 서있던 강풍주의 표지판을 동해 내려갈 때까지 볼 수 있고, 역시나 대관령에서부터 계속 크고 아름다운 다리들을 볼 수 있다.

아시아 고속도로 6호선의 역할은 현재 7번 국도가 대신하고 있으나, 동해고속도로가 전구간 개통된다면 아시아 고속도로 6호선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2 구간

번호이름구간 거리
(km)
누적 거리
(km)
접속 노선소재지비고
1해운대 시점광안대교부산광역시 해운대구
1-1동부산4.504.50동부산관광로부산광역시 기장군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1해운대1.536.03기장대로
TG해운대송정 요금소
2기장7.8913.92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14번 국도
3장안5.3919.3114번 국도
SA장안 휴게소양방향
4온양10.3429.651028번 지방도
14번 국도
울산광역시 울주군
5청량7.8437.49함양울산고속도로
14번 국도
6문수5.2742.767번 국도
7울산 분기점4.4447.20울산고속도로
8범서8.4955.6914번 국도울산광역시 울주군
SA외동 휴게소양방향
9남경주14.5170.20904번 지방도경상북도 경주시
10동경주11.6781.46929번 지방도
SA양북 간이휴게소양방향
오천경상북도 포항시[1]
TG남포항 요금소
11남포항19.42100.8831번 국도
영일만대교 구간은 장기계획중
미정북영일만영일신항진입도로경상북도 포항시
미정청하 분기점익산포항고속도로지선[2]
미정북포항
미정청하7번 국도
SA포항휴게소영덕방향
SA영덕휴게소경상북도 영덕군포항방향
미정강구분기점당진영덕고속도로
영덕 - 삼척 구간은 계획중
29남삼척7번 국도강원도 삼척시
30삼척
31동해0.040.047번 국도강원도 동해시
32망상8.248.287번 국도
SA동해 휴게소삼척방향
SA옥계 휴게소속초방향
33옥계6.6616.947번 국도강원도 강릉시
34남강릉17.8632.80
SA구정 휴게소양방향
35강릉8.2141.0135번 국도
36강릉 분기점2.7043.71영동고속도로
37북강릉7.2450.957번 국도
38현남9.2460.19강원도 양양군
SA양양 휴게소
39하조대15.2275.417번 국도
40양양 분기점/양양9.6785.08서울양양고속도로
41설악강원도 속초시공사중
이름은 가칭
42속초56번 지방도

2.1 강원도 구간

DHline_65.gif
위에서도 언급하였지만, 영동고속도로와 같이 건설되었으며 처음에는 왕복 2차로 고속도로였다. 이때의 노선번호는 5번. 과거 노선 중 강릉 시내구간을 포함한 다수가 7번 국도로 이관되어 유지되고 있다. 이 구간의 7번 국도가 교차로의 형태 등에서 묘하게 보통의 2차로 국도와 다른 이유가 바로 그것. 현재는 전 구간 4차선이며 부분 6차선 구간도 존재한다.[3]

2001년까지만 하더라도 영동고속도로와 직결 연결[4]되어 있어 (남해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의 경우처럼) 연장선 상의 도로라는 느낌이 강하지만, 2001년 말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부분이 이설되어 개통되면서 강릉에서 분기점 형태로 접속방식이 바뀌었다. 일단은 노선번호부터 다르다.

2001년 말 영동고속도로의 대관령 구간 확장 및 이설공사 완료와 함께 동해고속도로의 현남~강릉 구간도 4차선으로 신규 개통되었다. 그러나 기존 강릉~동해 구간은 계속 2차선 도로로 남아 있다가[5] 2004년 말이 되어서야 드디어 4차선 확장 개통을 보게 되었다.

끊어져 있는 남쪽 부분을 이어 줄 생각은 안 하고, 자꾸만 북으로 북으로 올라가 버린다는 게 단점이라면 단점.[6][7]

2009년 12월 현남 ~ 하조대 구간이, 2012년 12월 하조대 ~ 양양 구간이 개통되었다.

파일:/image/001/2016/09/09/PYH2016090920090006200 P2 99 20160909135912.jpg
2016년 9월 9일 오후 2시, 동해 ~ 삼척[8] 구간이 개통하였다.

양양 ~ 속초 구간은 기존 시공사 삼부토건이 법정관리로 인해 2015년 8월부터 11월까지 임시 중단되다가 공사를 포기하면서 시공사가 한신공영으로 교체됨에 따라 2016년 11월 24일로 늦춰졌다. #

여담으로 이 고속도로에서 제한속도 미만으로 달리는 차는 극히 드물다. 아니 애초에 고속도로 올라타서 내려갈 때까지 다른 차를 구경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2차선에서 제한속도로 운전하고 있는데 뒤에서 천천히 간다고 하이빔 날리는 차량도 있을 정도.[9] 결정적으로 통행량이 많지 않아 속도감이 크게 나지 않으므로 달리다 보면 이미 시속 140km를 넘어서는 일도 부지기수하다. 휴게소에서 지나가는 차들을 보면 무서울 정도로 빠르다. 심지어 콘크리트 포장 구간은 비행기 이륙소리를 연상하게 하며전투기인줄 엄청난 속도로 지나가는 차들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흔한 대한민국 고속도로의 대낮 통행량 하지만 차 없다고 막 달리다간 갑작스런 측풍으로 인해 낙하하는 사고를 당할 수 있으므로 서행하자. 거기다 이동식 단속도 의외로 자주 하니까 괜히 벌금 크리 먹지 말고 안전운행하자.

2.2 부산-울산 구간(민영)

기업에 대해서는 부산울산고속도로주식회사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BWline_65.gif
2008년 12월 29일 개통되었다. 해운대고속이 이 도로의 단골고객.

부산쪽 입구는 광안대교와 연결되어 있고, 울산분기점에서 울산고속도로와 접속한다.

1997년 실시설계를 마치고, 예산 때문에 공사기간이 10년이 걸렸다. 그마저도 국고로 해결 못해 민영[10][11]화로 건설되었다.[12] 민영업체가 업체인지라 다른 민영고속도로에 비하면 후려칠만한 가격은 아니나, 경부고속도로에 비하면 km당 요금이 비싸다고 까였다.
그리고 동해고속도로 울산~포항 구간이 개통된 이후 어느순간 은근슬쩍 부산구간 표지판에서 이 도로의 명칭을 부산포항고속도로로 바꾸었다.

완공 직전에는 울산에서 빨대현상을 우려하는 설레발을 치기도 했으나, 그런 건 없었다. 장안 아울렛 개통으로 현실화되었다. 개통 초창기에는 차량도 적고 단속카메라 설치대수도 편도 1대씩에 그쳐서 아우토반으로 유명해서, 새벽시간에 달리면 빛의 속도를 볼 수 있었다. 때문에 본의 아니게 보배드림 등의 자동차 커뮤니티의 단골 정모장소로 선택되기도 하고 보배드림 옥수수 사건도 여기에서 일어났다. 그러나 현재는 고정식이 3군데, 이동식 카메라가 한 군데있지만 새벽에는 작동을 하지 않는다. 추가되어 무작정 광속 질주를 하다가는 과태료 크리. 2015년 12월 기준으로 울산 방향 온양IC에서 청량IC까지 구간 단속이 추가되었으므로 주의바람.

함양울산고속도로의 동쪽 시점인 (가칭)울주분기점이 이 도로의 청량IC와 문수IC 사이에 건설될 예정이며,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의 동쪽 시점인 기장분기점이 기장IC에 접하여 건설 중이다. 이 도로들이 개통된다면, 기존의 울산고속도로와 함께 경부고속도로와의 자유로운 통행이 가능해져 기존 혼잡구간[13]의 교통량 분산을 기대하고 있다.

2.3 울산-포항 구간

파일:/image/015/2015/12/29/AA.11059281.1 99 20151229182005.jpg
파일:195236 116673 509.jpg
2015년 12월 29일 치러진 개통식

국비로 건설되었으며, 포항시 남구 오천읍 문덕리 남포항IC[14]에서 경주시 양북면(월성 원자력 발전소가 있는 곳)을 거쳐 울산광역시 내 울산고속도로의 울산IC와 연결된다.

본래 2014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경주 구간 중 양북1터널 구간에서 문제가 발생하여[15] 공사가 2년이나 지연되었다. 결국 양북1터널 구간을 제외한 남포항IC~동경주IC, 남경주IC~울산JCT 구간을 2015년 12월 29일 오후 7시에 우선 개통하였고, 양북1터널 구간인 동경주IC~남경주IC 구간은 2016년 6월 30일에 개통하였다. 기사

완전 개통되기 전까지는 동경주IC에서 4번 국도를 타고 토함산터널을 통과, 다시 7번 국도를 타고 남경주IC로 둘러가야 했다. 우선 개통구간의 요금은 울산JCT~남경주IC 1,500원, 범서IC~남경주IC 1,400원 남경주IC~남포항 1,800원으로 확정됐다.

이 도로의 개통으로 기존 포항 - 울산간 소요 시간이 30분대로 줄어들어(완전 개통시) 포항의 철강을 울산의 조선ㆍ자동차업체에 공급하는데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한다. 또한 경주를 오가는 관광수요 분산으로 주말마다 헬게이트를 여는 경부고속도로 경주IC~언양JC 구간ㆍ7번 국도의 교통정체 해소도 기대하고 있다.[16]

현재 울산시에서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17]를 건설하여 이 도로와의 연결을 추진 중에 있어, 이용객의 증가와 교통편익 증대를 기대하고 있다.

2.4 포항-영덕 구간

경상북도 포항시 흥해읍에서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강구 분기점까지 이어지는 이 구간은 총 연장 31.8km의 구간이다.

7번 국도의 신호, 평면교차로, 교통량 등이 상대적으로 많아 이 구간은 당진영덕고속도로와 연계해서 후술하는 영덕-삼척 구간보다 먼저 건설될 것으로 보인다.

2008년 9월 광역경제권 선도사업으로 지정된 이후, 2009년 1월부터 11월까지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2009년 12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국토부의 타당성조사가 실시되었으며 2012년 2월부터 한국도로공사의 기본설계를 시작으로 추진중이다.

당초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강원도 삼척시까지 이어져 강원도 속초시까지의 동해고속도로를 완성할 계획이었으나, B/C(편익비용분석) 결과 0.2대의 아주 저조한 결과가 도출되어 경상북도 영덕군까지만 계획하였다.

포항시 북구 영일만 북쪽, 청하면에 각각 1개소씩 나들목이 신설되고, 영덕군 강구면에 당진영덕고속도로와 연결되는 강구 분기점이 신설된다. 이 강구 분기점을 통해 당진영덕고속도로 영덕 나들목으로 진출할 수 있다. 중간에 영덕군 남정면에 영덕 휴게소가 개설될 예정이다.

포항-영덕구간은 2016년 7월 시공사를 선정한 뒤, 별다른 기공식을 하지 않고 착공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2023년 7월까지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포항시에선 내심 고속도로 건설하는김에 우리도 서해대교처럼 영일만을 가로지르는 크고 아름다운 영일만대교를 지어 영덕IC - 남포항IC를 연결하고 싶어하지만 경제적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차라리 포항~영덕 구간은 다시 내륙 안으로 돌아가는게 더 나을지도 모른다. 영일만대교의 사업비 문제로 동쪽 바다를 건넌 흥해읍에서 시작하여 영덕군까지 이어지는 노선만이 현재 계획되어 완공되더라도 울산 ~ 포항 구간과 직접 연결되지 않는 별도의 고속도로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현재 17.1km의 영일만대교는 민자 유치가 계획되고 있는데, 지역구 국회의원이 "황당하고 가치없는 사업"이라고 언급할 정도로 과다한 사업비 부담으로 인해 응하는 업체가 없는 상태이다.

일단 이 구간의 노선은 영일만대교 노선으로 확정된 상태이며, 대교구간은 장래추진으로 남겨두고 북영일만IC~강구분기점 구간만 우선 착공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파일:/image/001/2012/01/17/GYH2012011700090004400 P2.jpg

영일만대교만 빼고 북영일만~영덕 구간 개통 시에는 포항시가지우회도로로 돌아서 남포항IC까지 가야 한다.

2.5 영덕-삼척 구간

경상북도가 열심히 추진 중이나 별 소득이 없다. 동일 구간의 국도 확장에도 20년이 걸렸는데 하물며 고속도로라고 다를까. 역대 정부에서 이 지역은 BYC, 무진장 만큼이나 버려진 곳이었다.

2010년대에 들어 확장 공사를 마무리한 7번 국도 중 영덕-삼척 구간이 4차로에 사실상 고속도로나 다름 없는 수준이기 때문에 7번 국도의 교통량 추이를 보아 가면서 추후 건설(설계)될 것으로 보인다.[18]

영덕~삼척 구간은 박근혜 대통령의 주요 공약으로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영덕군까지 진행되는 공사와 함께 연결되는 구간으로 제시한 사항이었나, 타당성 조사 결과 B/C 0.26으로 경제성이 거의 없어 동남권 신공항 등과 함께 야당과 호남권 언론으로부터 선심성 공약으로 비판받으며 추진이 보류되었다.

이 노선이 개통된다면 5시간 30분 걸리는 강릉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시외버스 노선의 운행시간과 요금이 절감될 것이다.

2.6 속초 이북구간

남북통일이 되지 않는 이상 불가능하다고 봐야 한다. 강원도 고성군까지는 그럭저럭 생각이라도 해볼만 하지만 북한은... 북한에 원산금강산간 고속도로[19]가 있긴 하지만, 역시 북한의 고속도로라 상황이 말이 아니므로 확장, 보수는 필수이며 신설에 가까운 공사가 필요하다. 그 후에도 원산~나진 구간의 건설 문제가 있다.[20] 나진까지 연장된다면 현재의 경부고속도로 이상의 길이를 지닌 고속도로가 된다.[21] 더 자세한 것은 남북통일/인프라 문제 문서를 참조.
  1. 여기서 포항~영덕 구간이 분기될 계획이다.
  2. 언제 설치될지는 미지수(...)
  3. 강릉나들목 - 강릉분기점 구간.
  4. 완전한 직결은 아니고, 현 강릉교차로에서 분기되었다. 위치는 현 강릉시청 바로 앞.
  5. 그래서 2004년 말까지 현남, 강릉분기점에서 동해 방면으로 계속 가려면 강릉 나들목에서 내려서 구 영동고속도로 구간(현 35번 국도)을 잠깐 탄 후, 구 강릉나들목(현 강릉시청 앞 나들목)을 통해 다시 2차선 동해고속도로를 타야 했다.
  6. 원래 박정희 시절 계획도 북쪽인 속초방면을 먼저 공사하려고 했다. 하지만 7번 국도 확장이 먼저 이루어졌기 때문에 21세기가 되어서야 공사 진행. 게다가 부산쪽으로의 연장은 당시에는 제대로 된 계획 자체가 없었다.
  7. 초기 계획도 삼척 연장을 염두에 두고는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개통 당시만 해도 종점 근처가 지금과 같은 동해시가 아니라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이라서 딱히 연장할 생각을 못 느낀 것이다. 속초시(1963년 승격)는 동해시(1980년 승격)보다 먼저 시로 승격된 도시다.
  8. 삼척 시내 서쪽 부근을 지나 삼척시 근덕면 남삼척IC까지의 구간이다.
  9. 사실 눈치를 주려 켜는 것이 아니다. 추월하겠다는 의미에서 켜주는 것이다. 차가 많은 도로는 상향등(패싱라이트)가 오해나 사고를 부를 수 있기 때문에 자제하지만, 한산한 도로에서는 자주 볼 수 있는 모습이다. 혹여나 새벽이나 저녁, 밤에 패싱라이트를 맞더라도 오해하지 말자.
  10. 부산울산고속도로주식회사가 관리한다. 이쪽이 공식명칭인데 어째서인지 울산부산고속도로가 문서명으로 등록된 적이 있었다. 현재는 동해고속도로로 이동된 상태.
  11. 정확히는 한국도로공사(51%)와 국민연금공단(49%)이 공동출자한 회사이다. 그래서인지 울산JC 남쪽에는 민자구간과 국유구간 운임을 구분하는 톨게이트가 없다. 또한 통행료 영수증을 잘 보면 도로공사 소유의 고속도로와 같이 부가세를 납부하지 않는다. 다른 민영고속도로나 유료도로는 부가세를 징수한다. 그런데, 출퇴근시간대 하이패스요금 할인을 적용하지않는다던지, 신용카드로 통행료 결제를 받지 않는다던지 하는 부분은 다른 민영 고속도로와 같다. 민영과 공영 고속도로의 사이에서 자기 유리한쪽으로 줄타기를 하고 있다.
  12. 이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들은 '동해고속도로 ≠ 부산울산고속도로'라고 생각하고 있으나, 엄연히 동해고속도로의 한 구간 맞다. 게다가 고속도로상에서도 인증을 마친 상태이다. 참고
  13. 울산의 언양JC라던지, 신복로터리 라던지
  14. 개통 전에는 기존 오천 방향 나들목 이름인 문덕IC로 알려졌지만 개통을 앞두고서 남포항IC로 이름을 바꾼 듯하다. 포항 시내 표지판이나 기사를 보면 모두 남포항IC로 표기되어있다
  15. 양북1터널 구간 토함산 지반이 퇴적암, 셰일과 20여개의 단층대가 존재해 사실상 지반이 약한 곳이다. 따라서 터널을 뚫기엔 사실 부적절한 곳이다.
  16. 그런데 철판 싣고 오는 추레라들은 과적해서 밤에 국도로 몰래몰래 다니고, 공단지역과 IC간 거리가 멀기도 해서 과연 물류비 절감에 도움이 얼마나 될지... 그리고 동, 남경주 IC도 경주시가지와는 동떨어져 있어 경주 관광효과도 그닥... 포항에 물회 먹으러, 호미곶 보러는 많이들 가더라.
  17. 경부고속도로 미호JCT(언영~영천구간 확장공사 완료시 개통예정)~녹동JCT(신설/울산포항고속도로와 연결)~천곡IC(오토밸리로에 연결)
  18. 더군다나 거의 비슷한 선형의 동해선 철도 덕분에 화물 운송이라는 명분도 축소됐다.
  19. 실제로는 국도급의 스펙이지만 북한에서는 약간의 개수만 해놓고 고속도로라고 지정해 놨다. 일단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에 들어가긴 한다.
  20. 다만 북한이 자체적으로 원산~함흥 고속도로를 건설 중이다.
  21. 다만 서해안고속도로를 통일 후 해주-남포-신안주를 거쳐 신의주까지 연장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