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오브 워쉽/영국 테크 트리/순양함

월드 오브 워쉽 테크트리
미국순양함구축함전함항공모함프리미엄
일본순양함구축함전함항공모함프리미엄
소련순양함구축함전함항공모함프리미엄
독일순양함구축함전함항공모함프리미엄
영국순양함구축함전함항공모함프리미엄
프랑스순양함구축함전함항공모함프리미엄
이탈리아순양함구축함전함항공모함프리미엄
기타 국가 프리미엄
이벤트 함선그 외 함선들

1 개요

고난이도 팀 의존적 서포터
고증대로 숙련된 수병들과 장교들을 갈아넣어야만 강해지는 트리[1]

월드 오브 워쉽에 등장하는 영국 순양함 일람으로 2016년 10월 20일[2] 0.5.13 패치와 함께 추가된 테크 트리이다. 주목할 점이라면 게임 최초의 100% 경순양함 트리로[3], 1티어의 포함을 제외하면 2티어 부터 10티어 까지 전부 6 인치(152 mm) 포를 사용한다. 따라서 전문적인 방화범 트리가 될것으로 예측되었으나, 7티어 프리미엄 함선 벨파스트를 제외하고 현재까지 모든 정규트리함선이 철갑탄만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뢰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근접 인파이트 위주의 전투방식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의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런 추측도 가능한데, 영국에도 요크급이나 노포크급, 카운티급 같은 중순양함이 존재한다. 6인치를 주포로만 쓰는 경순양함 위주로만 트리 구성을 해놓은것으로 보아서 차후 기존의 다른 국가들으 순양함 트리에서 경순양함과 중순양함을 분리시킨 독립적인 트리로 재편할 가능성도 조금 생긴 셈이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추측일 뿐 아무런 장담은 할 수 없다.

워게이밍 측에서 언급한 바에 의하면 전 함종 중 최초로 어뢰 단발사격이 도입되는 트리라고 한다. 영국에서 실제로 순양함들이 어뢰를 단발사격을 했었다는 점을 고증하려 한다고 했지만, 우선적으로 영순 트리에서 어뢰 단발사격을 시켜보고 결과가 좋으면 다른 국가 순양함 트리로도 확대적용을 고려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개발자 질답에서 나왔다. 다만 구축함 어뢰 단발사격은 예정에 없다고 한다.

워게이밍에서 공식적으로 밝힌 영국 순양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2티어 이후의 함선들은 주포 구경이 모두 152 mm로 통일. 빠른 연사력과 탄도 특성을 갖되 포탄의 단발 데미지는 낮음.
  • 오직 '철갑탄'만 사용이 가능. 그 대신, 통상의 포탄과 비교해 과관통이나 도탄의 발생확률이 적음. 정확히는 과관통의 1/6의 공격력 감소가, 1/2의 공격력 감소를 보인다고 한다.
  • 3티어 이후의 함선들은 어뢰 발사관을 탑재하고 있음. 어뢰는 사거리·속도·화력에서 타국에게 뒤쳐지지 않는 성능.
  • 또 이들 어뢰는 하나씩 어뢰 발사관에서 임의의 시점에서 사출하는 '단발 사격'이 가능함. 임의로 발사를 조정해 다른 전략을 사용 가능.
  • 영국 순양함의 최고 속도는 비교적 낮지만 뛰어난 기동력을 가지고 있음. 좋은 가속력으로 선회시의 감속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우수한 선회 성능을 갖추고 있음.
  • 선체는 비교적 장갑이 얇으며 건현이 높고 상부구조물이 큼. 때문에 다른 배들보다 근거리에서 대구경의 포탄을 맞았을 경우, 과잉 관통이 발생되기 어려움.
  • 비교적 높은 은폐율이 특징.
  • 소모품 '대공방어 사격'을 탑재할 수 없고. 9-10티어를 제외하면 낮은 대공 성능을 가짐.
  • 5티어부터 소모품 '연막 장치'를, 8티어부터 '경계 레이더'를 사용 가능.(연막 장치와 치환 가능.)
  • 3티어부터 소모품 "군함 수리반"을 사용 가능. 8티어 이후의 복구반은 통상의 순양함들의 수리반보다 높은 성능을 발휘힌다.

보시다시피 통상적인 타국 순양함들하고는 근본적으로 다른, 어떤 함종을 찾아봐도 유래가 없는 독특한 트리이다. 구경의 부족, 얇은 장갑, 고폭탄의 부재를 보충하는 철갑탄과 어뢰, 다양한 소모품과 좋은 은폐율이 좋긴 하지만 짧은 사거리와 고각포로 인한 근접전 위주의 전술이 강요될 트리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추가된 현재 얇은 장갑과 구경의 한계로 일격일탈이 힘든 만큼 치고 빠지기와 조타 실력등의 운용하는 함장의 실력을 크게 타는 초고난이도 트리. 운용자들은 그나마 철갑탄에 관통력에 보정이 있지만 관통력 자체가 약한 평범한 6인치 경순양함 주포임을 기억해야 한다. 이 포로 전함 상대로 딜을 넣으려면 전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현측과 갑판의 장갑구획을 피해 쏘는 족족 상부구조물에 던져넣어야하는 초고수급 포술을 요구한다.안되면 에임봇 쓰던가. 일반적인 순양함이나 구축함처럼 고폭탄으로 화재 유발을 해서 응급 수리반을 빼놓는 플레이가 불가능하기에, 상대가 어떤 함종이던 각을 줬을 때는 얌전히 은신 상태로 있는 것이 나을 정도.

이 포와 구축함보다 얇은장갑과 얇고 큼지막한 집중방호구획으로 단독으론 순간적으로 삭제되어 왠만해선 단독 활동으로는 이득을 얻는게 매우 힘들다. 따라서 다른 국가의 함선들과의 공조가 반드시 필요하다. [4] 대공마저 대공강화소모품도 착용이 불가능한데다 9~10티어를 제외하면 자함방공도 겨우겨우 하는 수준이어서 항모에도 조심해야한다.

큰 크기와 종이 장갑, 관대한 시타델 범위에 기대치가 생각외로 낮은 화력 때문에 나에게 어그로가 안 쏠리는 상황을 만들어가며 플레이해야 한다. 이 점은 소련 순양함들과도 공통되지만 고폭탄 화재 능력과 탄속 포각이 좋아 전함 라인에서 화력 지원을 하는 그 쪽과 달리 포 문제 때문에 연막과 훌륭한 은신 능력을 최대한 활용해 플레이하며 아군을 지원해야한다. 실제로도 구축함과 순양함 라인 사이에서 활동할 때가 많은 편이며 교전거리가 짧은만큼 명중률도 높기에 살아남으려면 구축함 라인에서는 구축함들의 뿌려놓은 연막을 활용하고, 구축함들의 어그로가 높은지라 구축함보다 낮은 어그로를 유지하면 묻어갈 수도 있다. 다행히 교전거리가 짧은 장점으로 주포와 어뢰를 100% 활용 가능해 기대 딜량도 높은 편이나 생존이 문제니 어그로 관리를 잘해야하는점은 변함없다. 순양함 라인에서는 순양함들에게 연막등을 제공해 생존률을 높여 어그로를 넘기는 플레이가 필요하다. 아군이 고폭탄과 어뢰를 뿌리며 상대를 교란하여 위험도를 높이는 동안 낮은 위험도를 유지하면서 팀에 위협이 되는 적들부터 빠르게 데미지를 넣어 제거해주는 플레이가 요구된다. 너무 죽이면 위험도가 올라 화력이 집중되니 짧은 피탐거리로 인한 은신능력을 이용해 관심을 피하는 플레이가 필요하다. 순양함라인에서 포격전을 할시 포자체의 문제로 전함이 그냥 밀고 들어오는 경우도 왕왕있는데 함장 스킬 투자도 고려해볼만큼 뇌격 능력도 뛰어나므로 무모하게 돌격하는 상대 전함들에게도 빅엿을 선사해줄 수도 있다는걸 감안하자. 구축함라인에선 화력이 집중되는순간 바닷속 행이지만 순양함 라인은 피해를 크게 입더라도 수리반을 통해서 또 한 번 싸울 수 있는 기회를 보장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영국 순양함은 모든 함종을 상대로 이득을 보기 힘들긴 하지만 특히 조심해야하는 것은 항모도 전함도 아닌 8인치 달고 다니는 중순양함들이다. 8인치 철갑탄은 영국 순양함을 순식간에 침몰시키기에 충분한 화력이며 고폭탄은 도탄판정없이 그대로 들어온다. 게다가 장갑은 6인치 철갑 정도 각주면 튕겨내는 수준에다 함체가 전함보단 작은지라 상부구조물 노리기도 힘들고 연막 따위는 씹어먹는 레이더 혹은 소나를 가지고 있으며, 속도도 빨라서 한 번 물리면 벗어가기도 어렵다. 동귀어진이 가능하다면 그게 최선일 정도로 최악의 상성을 가진다.

생존을 위해 상대 입에서 비열하고 졸렬하다는 소리가 나올 정도로 교활하게 플레이해야하는 트리이다. 주포와 어뢰 사용 능력도 높아야하고, 피탐 시스템에 대해서도 이해하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어떤 적이 나를 공격할지 현재 얼마나 위험한 상황인지 라인을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끊임 없이 체크하고 있어야 한다. 여러모로 월드 오브 워쉽에서 필요로하는 스킬을 종합적으로 갖춰야 밥 값을 할 수 있는 매우 까다로운 트리이다.

현재 영순과 자주 비교되는 것은 장갑도 얇은편에 고폭탄이 있으나 마나 한 것으로 유명한 독순들인데 비교해보면 빠른 연사를 통한 누적뎀, 높은 위장률, 빠른 선회, 영 아닌 대공 고증대로 수리반을 이용한 좀비짓 vs. 강한 한방을 이용한 시타델 또는 상부 구조물 관통뎀, 희안한 장갑구조로 오는 방호력, 낮은 위장률, 큰 덩치와 느린 선회, 머리는 지켜주는 대공 으로 본다. 둘다 관통력 문제를 가지고있어 어중간한 사격솜씨로는 적에게 데미지를 입히기 어려우며 둘다 장갑이 그다지 두껍지 않기 대문에 적의 대구경 탄을 맞고 버티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다만 고티어로 갈 수록 독일은 포가 커지고 장갑이 두꺼워지지만 영국은 포와 장갑이 그대로 인데다 근본적으로 중순양함과 경순양함의 차이를 가짐으로 인해 8티어 이후에는 사실상 독일 순양함이 영국순양함의 카운터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다른 국가의 함선들을 상대론 근거리에서 시타델을 노려보기라도 하지만 내부 경사장갑을 가지는 독일순양함을 상대론 근거리에서 시타델을 노리는건 하늘에 별따기에 가까울 정도로 어렵다. 거기에 레이더는 없다지먼 소나로 어뢰와 연막을 처리가능한데다 독일순양함도 어뢰가 있어 근접전시 영순양함에게 매우 불리하다.

2 함선

2.1 블랙 스완 - 1티어

PBSC101.png블랙 스완급 포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해군의 포함으로는 가장 많은 건조된 함급으로, 선단 호위용으로 개발된 것이었다. 속력이 높지 않았지만, 포의 화력 및 발사 속도 측면에서 외국의 경쟁함들을 능가했었다.
주포일반철갑탄비고
분당 발사 속도180도 회전 시간최대 공격력
102 mm/45 QF Mk XIX20.0발/분18.0초550스톡, 최종
선체일반공격 능력대공 능력비고
내구도장갑방향타 변속 시간주포 탑재 수대공포 * 탑재 수초당 평균 공격력사거리
Black Swan (A)49506 - 10 mm2.8초4문40 mm Vickers 2-pdr. Mk VIII41.2km스톡, 최종
사격 통제 장치사거리포탄 최대 분산 폭비고
Mk I mod. 18.0km87m스톡
Mk I mod. 28.7km93m최종
기본엔진일반비고
엔진 출력최대 속도회전 반경수면 피탐지 범위공중 피탐지 범위
4,300 hp19.0 knots320m7.0km5.4km스톡, 최종

[1]

다른 순양함들처럼 1930년대 후반에 건조된 포함(砲艦)으로 연장 102 mm 양용포 3기 를 탑재해 1티어의 다른 포함들과 비교해서 포문에서는 많지만(6문) 구경에서는 밀린다.
다만 현재 1티어에서 유일하게 철갑탄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순양함 판정인 모든 1티어 함선들에 대해서는 맞추기만해도 시타델 관통 판정을 낼 수 있다. 또한 소구경에 대한 반대급부로 분당 120발이라는 무지막지한 연사력이 주어진 것도 장점.
다만 소구경인 탓에 최대데미지가 550밖에 안된다.

2.2 웨이머스 - 2티어

PBSC102.png웨이머스급 방호순양함은 중형이며 장갑 방어력은 취약했지만, 강력한 병기와 매우 높은 속력을 자랑했었다. 본급은 방어력을 희생하고 다른 성능을 높인 순양함으로 여겨졌으며, 동일한 함급의 경장갑 군함들과 교전을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주포일반철갑탄비고
분당 발사 속도180도 회전 시간최대 공격력
152 mm/45 PVI7.0발/분25.71초2800스톡, 최종
선체일반공격 능력대공 능력비고
내구도장갑방향타 변속 시간주포 탑재 수대공포 * 탑재 수초당 평균 공격력사거리
Weymouth (A)1910010 - 51 mm8.2초8문40 mm Vickers 2-pdr. Mk VIII 8 * 152.0km스톡
Weymouth (B)2030010 - 51 mm5.9초8문40 mm Vickers 2-pdr. Mk VIII52.0km스톡
23.0km
사격 통제 장치사거리포탄 최대 분산 폭비고
Mk II mod. 19.8km100m스톡
Mk II mod. 210.7km107m최종
기본엔진일반비고
엔진 출력최대 속도회전 반경수면 피탐지 범위공중 피탐지 범위
22,000 hp26.0 knots500m10.3km5.3km스톡, 최종

[2]

뒤에 나올 1936년에 나온 타운급 경순양함이 아닌 1910년의 타운급 경순양함중 하위 함급인 웨이머스이다. 특이하게 2티어에서는 대구경이라고 할 수 있는 6 인치(152 mm)의 45나 50구경장의 단장포를 8문 탑재했다. 선수 선미 각 1문, 각 현 3문으로 한 방향으로 지향 가능한 포문은 최대 5문. 여기서부터 10티어까지 계속 152 mm가 유지된다.

2.3 칼레돈 - 3티어

PBSC103.png칼레돈급 경순양함은 구축함의 지원 및 정찰 임무용으로 설계되었다. 전급과 비교하여 고속화되고 강력한 뇌장을 갖추고 있었다.

[3]

C 클래스 순양함 중 하나로 5문의 6 인치(152 mm) 단장포를 탑재한 순양함이다. 어뢰는 2연장 어뢰발사관 4기를 탑재. 어뢰와 복구반의 탑재되는 본격적인 영국 순양함의 시작점이라고 볼 수 있을듯 하다.

2.4 다나에 - 4티어

PBSC104.png다나에급 경순양함은 칼레돈급 경순양함의 발전형이며, 전급 대비 대형화되어 뇌장과 포격 병기가 강화되었다.

[4]

6문의 6 인치(152 mm) 단장포를 탑재한 만재배수량 6천톤의 경순양함이다.

2.5 에메랄드 - 5티어

PBSC105.png에메랄드급 경순양함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설계된 영국군의 경순양함으로서는 가장 선진적인 함급이었다. 강력한 추진 기관에 의해 고속력을 실현하고, 선체의 대형화로 포격 병기 및 뇌장을 강화시킬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상기의 운용도 가능했다.

[5]

1920년대 중반에 진수된 경순양함으로, 7문의 6 인치(152 mm) 단장포를 탑재했었다. 여기서부터 연막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2.6 리앤더 - 6티어

PBSC106.png리엔더급 경순양함은 함대 행동에서의 정찰도, 단독 행동에서의 정찰도 가능한 신세대 경순양함으로 설계되었다. 전급에서 크게 진화한 점으로 주포가 포탑에 탑재되었다. 더불어 대공 병기 및 장갑 방어력도 강화되었다.
주포일반철갑탄비고
분당 발사 속도180도 회전 시간최대 공격력
152 mm/50 Mk XXI8.0발/분25.71초3100스톡, 최종
선체일반공격 능력대공 능력뇌격 능력격납고 수용량비고
내구도장갑방향타 변속 시간주포 수부포 * 탑재 수사거리대공포 * 탑재 수초당평균
공격력
사거리연장 * 발사관수
Leander (A)2450013 - 100 mm11.0초4문102 mm/45QF Mk XIX 2 * 45.0km12.7 mm Mk III 4 * 241.2 km4 * 2스톡
20 mm Oerlikon Mk IV 1 * 5182.2 km
40 mm Vickers 2-pdr. Mk VIII 8 * 2402.5 km
102 mm/45 QF Mk XIX 2 * 4385.0 km
Leander (B)2870013 - 100 mm7.8초4문102 mm/45QF Mk XIX 2 * 45.0km20 mm Oerlikon Mk IV 1 * 5182.0 km4 * 2최종
20 mm Oerlikon Mk V 2 * 4242.0 km
40 mm Bofors Mk II 4 * 2323.5 km
102 mm/45 QF Mk XIX 2 * 4385.0 km
사격 통제 장치사거리포탄 최대 분산 폭비고
Mk VI mod. 112.0 km115 m스톡
Mk VI mod. 213.2 km123 m최종
어뢰180 회전 시간최대 공격력어뢰 사거리어뢰 속력장전 시간비고
533 mm Mk VII7.2초157336.0km61 노트106.0초스톡
533 mm Mk IX7.2초154338.0km59 노트96.0초최종
기본엔진일반비고
엔진 출력최대 속도회전 반경수면 피탐지 범위공중 피탐지 범위
72,000 hp32.5 knots640 m10.3 km6.7 km스톡, 최종

[6]

만재 배수량 1만톤 이하의 경순양함이며 주무장으로는 BL 6 인치(152mm) 마크 XXIII 4기로 삼연장포가 아닌 연장포이다. 여기서부터 주포가 포탑 형식의 주포로 변경되고 1티어에서 본 연장포가 부포형식으로 다시 생긴다. 그리고 바로 다음 티어에 삼연장으로 갈아 탄다. 해당 티어에는 조약급 순양함들이 아직은 보이기 때문에 이제 겨우 연장포라고 실망하지 말자. 오히려 이 이후로 부터 포가 가늘어서 고통받기 시작한다.근데 6티어에 클블과 부죤니가 있어 또 고통받는다. 조약급 순양함은 현측도, 갑판도 얇으니 본인 실력이 좋다면 실제 영국 수병들이 성공하기도 했던 장거리 살보(일제사격)로 적 순양함 시타델을 노려보자.[5]

2.7 피지 - 7티어

PBSC107.png피지급 경순양함은 영국 해군의 다목적 순양함의 발전형이다. 국제 조약에 의한 배수량 제한을 준수하면서도 주포는 다수의 속사포를 장착했다.
주포일반철갑탄비고
분당 발사 속도180도 회전 시간최대 공격력
152 mm/50 Mk XXIII8.0발/분25.71초3100스톡, 최종
선체일반공격 능력대공 능력뇌격 능력격납고 수용량비고
내구도장갑방향타 변속 시간주포 수부포 * 탑재 수사거리대공포 * 탑재 수초당평균
공격력
사거리연장 * 발사관수
Fiji (A)2750016 - 114 mm12.1초4문102 mm/45QF Mk XIX 2 * 45.0 km20 mm Oerlikon Mk IV 1 * 5182.0 km3 * 2스톡
20 mm Oerlikon Mk V 2 * 6372.0 km
40 mm Vickers 2-pdr. Mk VIII 8 * 2402.5 km
102 mm/45 QF Mk XIX 2 * 4385.0 km
Fiji (B)3140016 - 114 mm8.6초4문102 mm/45QF Mk XIX 2 * 45.0 km20 mm Oerlikon Mk IV 1 * 3112.0 km3 * 2최종
20 mm Oerlikon Mk V 2 * 10612.0 km
40 mm Bofors Mk V 2 * 2253.5 km
40 mm Bofors Mk II 4 * 2323.5 km
102 mm/45 QF Mk XIX* 2 * 4605.0 km
사격 통제 장치사거리포탄 최대 분산 폭비고
Mk VII mod. 114.0 km129 m스톡
Mk VII mod. 115.4 km139 m최종
어뢰180 회전 시간최대 공격력어뢰 사거리어뢰 속력장전 시간비고
533 mm Mk IX7.2초154338.0km61 노트72.0초스톡
533 mm Mk IX*7.2초158668.0km61 노트72.0초최종
기본엔진일반비고
엔진 출력최대 속도회전 반경수면 피탐지 범위공중 피탐지 범위
80,000 hp32.5 knots590 m11.5 km7.3 km스톡, 최종

[7]

Crown Colony-class cruiser의 하위함급중 하나인 피지급 경순양함이다. 여기에서 BL 6 인치(152 mm) Mk XXIII 삼연장포를 탑재해 에딘버러와 같은 주포를 공유한다. 7탑방을 잡을 기회가 제법 많고, 전티어에 비해 삼연장 4문으로 화력이 체감될 정도로 확실하게 늘기 때문에 영국 트리에서 꽤 높은 선호도를 보이는 함선이다.

2.8 에든버러 - 8티어

PBSC108.png에든버러급 경순양함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영국 해군 최강의 경순양함으로, 장갑 방어력에서는 대부분의 동일 함종의 함선들을 능가했었다. 전급의 강력한 주포를 잇고, 대공 병기는 1930년대의 다른 어떤 영국 해군의 순양함보다도 강력한 것이었다.
주포일반철갑탄비고
분당 발사 속도180도 회전 시간최대 공격력
152 mm/50 Mk XXIII8.0발/분25.71초3100스톡, 최종
선체일반공격 능력대공 능력뇌격 능력격납고 수용량비고
내구도장갑방향타 변속 시간주포 수부포 * 탑재 수사거리대공포 * 탑재 수초당평균
공격력
사거리연장 * 발사관수
Edinburgh (A)2450013 - 100 mm13.4초4문102 mm/45 QF Mk XIX 2 * 65.0km20 mm Oerlikon Mk IV 1 * 8292.0 km3 * 2스톡
20 mm Oerlikon Mk V 2 * 5312.0 km
40 mm Vickers 2-pdr. Mk VIII 8 * 3592.5 km
102 mm/45 QF Mk XIX 2 * 6565.0 km
Edinburgh (B)2870013 - 100 mm9.6초4문102 mm/45QF Mk XIX 2 * 45.0km20 mm Oerlikon Mk V 2 * 14852.0 km3 * 2최종
40 mm Bofors Mk VI 6 * 3883.5 km
102 mm/45 QF Mk XIX 2 * 6905.0 km
사격 통제 장치사거리포탄 최대 분산 폭비고
Mk VIII mod. 114.0 km129 m스톡
Mk VIII mod. 215.4 km139 m최종
어뢰180 회전 시간최대 공격력어뢰 사거리어뢰 속력장전 시간비고
533 mm Mk IX*7.2초158668.0km61 노트72.0초스톡
533 mm Mk IX**7.2초1553310.0km62 노트72.0초최종
기본엔진일반비고
엔진 출력최대 속도회전 반경수면 피탐지 범위공중 피탐지 범위
80,000 hp32.5 knots680 m11.1 km8.1 km스톡, 최종

[8]

타운급 경순양함의 하위 함급중 하나인 에든버러급 경순양함의 1번함 에든버러이다. 에든버러는 1942년 어뢰에 의해 침몰했으며 동형함인 벨파스트는 한국 전쟁에 참여했으며 지금은 템즈 강의 박물관함으로 전시되어 있다. 벨파스트는 7티어 프리미엄쉽으로 등장한다. 에든버러부터 레이더의 장착이 가능해지고, 10km의 사거리를 가진 어뢰로 업그레이드 된다. 위장력도 아타고와 비등비등한 수준까지 내려간다. 대공도 타국 순양함 평균에 미치는 준수한 위력으로 업그레이드 되며 또한 수리반도 강화. 다른 8티어처럼 테크 트리의 정체성이 확실하게 잡히는 티어.

2.9 넵튠 - 9티어

PBSC109.png경순양함 넵튠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전훈을 살려서 개발된 경순양함의 설계안이다. 기존까지의 영국 해군의 경순양함에 비해서 대형화되고 주포는 양용포를 채용했고, 대공 병기 및 뇌장도 강화되었다.

자료에 따르면 전후 영국이 건조하려했던 12문의 6인치 저각포와 32노트의 항행속도를 지닌 배수량 15560톤급의 순양함. 페이퍼 플랜이다. 6티어 리엔더급 경순양함의 동형함인 넵튠과는 다르다. 대공이 크게 향상되며 주포의 장전 속도가 겨우 5초에 불과하다. 삼연장 4문의 철갑탄을 5초 대마다 측면에 맞으면 꽤나 아플 것으로 예상된다. 사거리도 16.5km로 영국 순양함 중에서는 매우 길지만, 그 대신 은폐율이 13.1km로 영국 순양함 중에서는 나쁜 축에 속한다.

2.10 미노타우[6][7] - 10티어

PBSC110.png경순양함 미노타우는 보다 강력하고 세련된 대공 시스템을 갖춘 경순양함의 설계 방안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후 넵튠급 경순양함을 베이스로 개발되었다. 주포로 새로운 종류의 포탑으로 양용포를 장착했으며, 발사 속도를 향상시켰다.
주포일반철갑탄비고
분당 발사 속도180도 회전 시간최대 공격력
152 mm/50 Mk XXVI18.8발/분4.74초3200스톡, 최종
선체일반공격 능력대공 능력뇌격 능력비고
내구도장갑방향타 변속 시간주포 수대공포 * 탑재 수초당평균
공격력
사거리연장 * 발사관수
Minotaur (A)4330016 - 101 mm10.4초5문20 mm Oerlikon Mk V 2 * 10612.0 km4 * 4스톡, 최종
76.2 mm/70Mk VI 2 * 83155.0 km
152 mm/50 Mk XXVI 2 * 61186.0 km
사격 통제 장치사거리포탄 최대 분산 폭비고
Mk X mod. 115.8 km141 m스톡, 최종
어뢰180 회전 시간최대 공격력어뢰 사거리어뢰 속력장전 시간비고
533 mm Mk IXM7.2초1676610.0km62 노트96.0초스톡, 최종
기본엔진일반비고
엔진 출력최대 속도회전 반경수면 피탐지 범위공중 피탐지 범위
110,000 hp33.5 knots660 m11.5 km9.1 km스톡, 최종

10티어의 애틀란타
순양함계의 이단아. 최약체 종이배 혹은 10탑방의 골목대장.

9티어와 마찬가지로 페이퍼플랜. 건조 하려고 했었던 넵튠이 시대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한 영국 해군이 설계한 순양함으로, 미국의 순양함 우스터급 경순양함(CL-144)에서 영감을 받아 설계한 함선으로 무장은 12문(2연장 6기) 6인치 속사포와 32.5노트의 항행능력을 지닌 15210톤의 배수량으로 계획된 함선이다. 3연장 4기포탑 탑재 버전, 2연장 5기 포탑 탑재 버전 등 여러가지 도안이 존재했다. 1943년에 진수된 미노타우급 경순양함과는 다른 배이다. 게임에서는 연장포탑 5기 버젼인 ZA안으로 구현되었다.

온갖 해괴한것을 만들어내는 영국답게 겉특징만 보자면 과연 이 배가 10티어 순양함인지 의심이 가는 스펙을 가진 함선이다. 일단 포부터 비교적 느린 탄속과 고각포를 가지고 있으며 사거리도 15.8km로 짧고, 철갑탄 특성상 조금만 거리가 벌려져도 실질적인 딜링이 힘들어진다. 포문도 10문으로 전티어에 비해 5문이 줄어들었다. 2티어부터 계속된 152 mm라는 점과 고폭탄의 부재 때문에 생각대로 구축함을 제대로 때리지 못하는 일도 있으며, 순양함들은 몸을 조금만 틀어도 때리기가 매우 힘들다. 고폭탄이 없어서 전함에 대한 대응력도 낮은 것이 단점. 그리고 가장 높은 장갑 표기가 고작 101mm에 불과하며 체력도 10티어 순양함 중에서는 하위권인 43330[8].참고로 체력 최하위는 자오로 40800. 함수와 함미도 얇아서 구경에서 밀리는 몬태나의 16인치 철갑탄에도 시원하게 뚫리고 시타델까지도 뚫려 들어온다. 이런 저질 장갑과 저질 체력때문에 제대로 집중공격을 당하면 제대로 후퇴하기도 전에 대량의 시타델 관통으로 배가 두쪽나는 일이 흔하다. 특히 전함탄은 매우 경계해야 하는 요소. 때문에 여기까지만 보면 도대체 이게 뭐하는 배인지 의심이 생길 것이다. 여기까지는.

8인치 포가 기본 사양인 10티어에서 겨우 6인치 짜리 철갑만 쓰는 못미더운 주포를 미노타우는 압도적인 DPM으로 보답해준다. 주포는 양용포 5문에 불과하지만 포탑 회전속도는 겨우 4.74초. 장전 속도는 3.2초에 불과하다. 기어링의 주포가 6인치로 강화된 격. 황당한 연사력의 152 mm를 근접한 측면에서 계속 맞으면 제대로 버틸 수 있는 배들은 전함 말고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 전함들도 영국의 철갑탄 보정 때문에 관통만 된다면 실시간으로 까이는 체력줄을 초조하게 확인하면서 뒤로 냅다 빼야 한다. 또한 고각이라는 점은 장점도 존재하는데 섬을 넘기면서 여유롭게 사격을 하거나 고각으로 상부구조물을 때려 탄이 파손되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관통시켜 공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조 성능도 강력한데, 영국의 10km 4연장 어뢰를 양편에 2문씩 장착했기 때문에 순간 근접 제압에도 강력하고 단발사격을 이용한 적함의 기동을 제한시키는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대공은 기존에 대공 존엄이라고 불렸던 디모인 보다 약간 더 높은 수치로, 5km와 6km 장거리 대공수치로 433이라는 디모인의 5km 통합 대공수치 426 보다 약간 높은 수치를 자랑한다. 전부 5km대공인 디모인에 비해 주포가 6km급 양용포 처리가 되기 때문에 대공구역이 조금더 넓어 조금만 시간을 끌어도 함재기가 우수수 떨어지는 모습을 보기쉽다. 기본대공수치가 좋은지라 10티어의 함대방공으로 쓰기에도 좋지만 대공강화 소모품을 장착불가로 인해 디모인의 비행금지구역 설정급 함대방공의 위용을 보여주긴 힘든 문제가 있다.

나머지 하드웨어도 상당히 좋은 편으로 최대 속력이 33.5 노트에 가속능력은 좋고 전타속도는 많이 느린 10.4초이지만 선회반경이 660m 라는 중티어 순양함에서나 볼법한 기동성과, 대함피탐지가 11.5km라는 자오를 능가하는 피탐지를 가지고 있다. 은폐에 모두 투자해준다면 8.9km 대라는 은폐뇌격이 가능한 황당한 피탐지를 자랑한다. 이런 특징 덕분에 은폐강화를 껴 구축함의 견제를 덜 받으면서 적 구축함과 순양함 앞에 깜짝 등장하는 대형구축함의 역할이나, 좀 느린 전타속도를 보완해주는 전타장치를 장착해 신나게 적진을 헤집고 다니면서 적을 난타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또한 수리반이 초당 866HP / 20초 지속으로 강력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얇은 장갑때문에 순간적으로 많은 체력이 빠지기 쉬운 미노타우의 생존력을 대폭 끌어올려준다. 회복양이 매우 높은만큼 피해 데미지를 대부분 회복가능한 화재에는 사실상 면역수준으로 볼 수 있다. 다른 순양함들에 비해 복구되는 체감 수치도 높아 히트 앤 런을 반복하면서 끈질기게 체력을 순식간에 복구하고 오는 미노타우는 그야말로 10티어의 바퀴벌레. 홍퀴벌레

또한 절대다수의 함장들은 안정적인 딜링을 위해 레이더 대신 연막탄을 사용하는데, 빠른 연막탄의 전개와 미국 구축함을 뛰어넘는 엄청나게 긴 연막탄 지속시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순식간의 폭딜로 제압하지 못하면 연막 속의 미노타우에게 무한의 철갑탄 난타를 당하게 된다. 소나까지 있는 관계로 연막 속을 노리고 쏘는 어뢰도 쉽게 맞아주지 않는다.

다만 상기의 장점만을 보고선 초심자가 절대로 몰아선 안되는 배이다.

이 배의 단점들을 기술해보면

일단 장갑의 경우 일단 얇아도 너무 얇다. 시타델을 제외하고 배 전반을 두르고 있는 16mm의 장갑은 9인치 철갑탄 까진 각을 줄시 도탄의 가능성이 있지만 워쉽에 나오는 모든 전함은 최소 11인치 이상의 포를 가진단걸 감안하면 절대관통 법칙에 의해 모든 전함탄을 시타델 방호 장갑으로만 방어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진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렇게 단순히 수치도 낮은것만이 문제가 아니라 시타델 판정이 매우 크고 아름다우며 중앙부에는 수면위로 툭 튀어 나와있기까지 하여 전함과의 교전에서 툭치면 억하고 시타델이 뜨며 죽는 자주 상황이 발생한다. 강력한 수리반으로 이러한 점을 해결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있을지 모르나 10티어 전함들이 18.1인치를 사용하거나 12문의 16,16.5인치를 사용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수리반이 아무리 좋아도 찍히는 순간 쓸 시간도 없이 바닷속으로 가라앉는다.

포의 경우 연사속도가 뛰어난점을 이용해 전함의 상부구조물을 무자비하게 파괴시킬수 있는점은 좋으나 그게 전부다. 철갑탄밖에 못쓴다는 문제점은 이 배를 구축함과 순양함을 상대로 교전하는데 심각한 애로사항을 만들어낸다. 모든 구축함들은 최소 19mm의 장갑을 두르고 있는데 미노타우 보다 장갑이 두껍다(!) 이 장갑들은 5인치 고폭탄에도 뚫리는 장갑이지만 9인치 철갑탄까진 각을 줄때 도탄내는 장갑들로 6인치 철갑탄만 사용하는 미노타우로선 각을 준 구축함에게 탄 대부분이 도탄나야하는 상황을 만들어버린다. 이렇게 구축함을 잡는데도 애로사항을 가지는 포이니 순양함을 상대로는 당연히 당장 일반관통 판정을 받아내는데에도 문제점이 많으며 시타델을 뚫기는 정말 어렵다. 특히 내부에 경사를 가진 장갑구조을 가지는 독일 순양함을 상대로는 거의 모든 상황에서 시타델 관통이 불가능해 근접전이 벌어지면 사실상 교전을 포기해야할 정도의 치명적인 문제점을 가진다. 심지어 빠른 연사속도와 좋은 과관통 판정을 이용해 전함의 상부 구조물을 유린할수있는 포는 근본적인 문제를 갖는다. 다른 순양함들은 고폭탄을 사용하거나 철갑탄이 시타델 관통을 포함한 타격을 주어 체감하기 어려웠던 부위별 체력계산방식이 미노타우의 근본적 한계를 만들어낸다. 이 부위별 체력계산방식으로 인해 관통이 되는 부위를 노려 동일 부위를 빠른 연사의 철갑탄으로 계속 때리면 들어가는 데미지가 점점 줄어드는 사태가 발생하며 화재 유발도 안되는데 지속되는 데미지 딜량은 줄어드는 때리면 때릴수록 적이 안죽는 아이러니함을 배 자체가 가지고 있는것이다.[9]

기동성도 가속은 빠른편이나 감속이 느려 연막을 펼치더라도 적절한 위치를 잡기 어렵다. 연막을 위기상황에 탈출용으로 쓰기에 애로사항을 만드는 점이며 교전시 가감속으로 어뢰를 회피하는데 약간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연막을 엄폐물로 사용하기에도 빠른 연사속도로 인한 발사점을 추측한 예측어뢰나 포탄을 두들겨맞기 쉬우며 어뢰를 피하기 위해 연막과 소나를 동시에 낭비해야 하고 포탄은 맞는 즉시 시타델로 직결하는 상황으로 연막사격에 매우 어려움을 가진다.

어뢰는 분명 쓸만한 편이나 어뢰사격을 위해 측면을 보이는 순간 크고 측면 아름다운 시타델이 적에게 개방되기에 양날의검 그 자체이다.

상기의 장단점을 보듯이 미노타우는 10티어 순양함들의 소양인 화재중첩과 어느 정도의 두터운 장갑, 전함처럼 비슷하게 사용하는 8인치 일제사로 인한 일격을 포기한 대신에, 극악의 연사력과 히트 앤 런과 근접 박투에 집중한 하드웨어, 수리반과 연막탄으로 순간적으로 생존률을 대폭 끌어올려야 하는 10탑방의 이단아이다. 상황을 많이 타는 철갑탄과 현재 0.5.13 버전 순양함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레이더에 극 하드카운터의 상성, 얇은 장갑과 넓직한 피탄면적으로 8인치로도 뼈가 시릴 정도로 데미지가 들어온다는 단점을, 상황만 된다면 아니면 연막탄이나 고각탄 등으로 상황을 직접 만들어 내어 일방적으로 적을 난타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보완해야 한다.

장점과 단점이 극명하게 갈리는 순양함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순양함 플레이를 생각해서는 안되며, 절대로 순양함 초보 유저가 잡아선 안되는 함선이다. 포의 근본적인 문제와 치명적인 얇은 장갑 때문에 철저하게 어그로 관리를 하면서 적을 아군측으로 유인해 압도적인 DPM으로 아군과 함께 적을 하나하나 정리하고 적의 사선과 시야에서 유유히 빠져나가는 예술과 같은 수준의 정교한 팀 응용빌어먹는 플레이를 요구한다. 어찌보면 다른 순양함들과 비슷하지만 다른 순양함들은 고폭탄을 활용한 화재유발과 부분적으로 전함을 관통가능한 철갑탄으로 개인적인 플레이가 일부 가능한것에 비해 미노타우는 적을 근중거리로 유인해 어그로를 팀에게 넘기고 최대한 맞지 않으면서 철갑탄 난사와 어뢰로 적을 순식간에 제압하는 순수한 팀플레이에 의존해야만한다. 치명적인 장갑과 포 자체의 한계 때문에 도저히 홀로 함선이나 함대를 상대로는 위용을 발휘하기 어렵고 정작 타격을 가하기 가장 쉬운 전함도 밀고오면 상대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미노타우는 진입과 후퇴, 팀원을 이용한 어그로분산과 철갑탄이 박혀들어가는 위치를 노리는 정교한 사격을 요구하는 초고난이도 순양함이다.
  1. 슬프게도 제 2차 세계대전 중, 영국은 돈이 부족해서 성능보다 생산성을 고려하고 군함을 건조하곤 했는데, 이 나머지 모자른 성능을 보완해서 최고의 성능을 보여준 미국 군함급 성능처럼 보이게 된 이유는 많은 훈련을 기반으로 한 숙련병들의 공이 컸다고 한다.
  2. 단, 북미 서버는 하루 먼저인 19일에 패치되었다.
  3. 기존의 경순양함들로 구성된 소련 순양함은 5티어의 키로프와 9티어의 드미트리는 180 mm의 애매한 구경을 가지고 10티어의 모스크바는 220 mm로 순양함 중 최대의 구경을 가지고 있고 덩치는 이미 탈경순양함급이라 순수 경순양함 트리라 보긴 힘들다.
  4. 그렇다고 영국순양함으로 전대맺고 돌격하지말자 포격 한번 교환할때마다 하나씩 사라진다.
  5. 리앤더급 순양함 HMS 넵튠은 실제 칼라브리아 해전때 이탈리아 경순양함 주세페 가리발디에게 피격 당하고 난 뒤 수리하고 다시 사격해 중순양함 볼차노의 포탑을 날려버리기도 했다.
  6. MINOTAUR 란 스펠링을 그대로 읽으면 마이너타우란 발음이 되나 그리스의 소머리 괴물 미노타우로스의 영어 표기이기에 사실상 발음은 미너타우, 미노타워 정도가 된다. [9] 참조
  7. [10] 발음을 잘 들어보면 알겠지만 미노토어, 미노타우등 상당히 여러 발음으로 들릴 수 있지만 미노타우루스라는 사례가 있는 관계로 미노타우로 표기한다.
  8. 전 티어 넵튠보다도 체력이 낮다!장갑 표기 수치도 1mm 낮다
  9. 어떤 유저의 실험결과 몬타나 9만피를 전부 빼는데 순수하게 두들기기만 해서 5분이상이 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