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오브 워쉽/소련 테크 트리/프리미엄 선박

월드 오브 워쉽 테크트리
미국순양함구축함전함항공모함프리미엄
일본순양함구축함전함항공모함프리미엄
소련순양함구축함전함항공모함프리미엄
독일순양함구축함전함항공모함프리미엄
영국순양함구축함전함항공모함프리미엄
프랑스순양함구축함전함항공모함프리미엄
이탈리아순양함구축함전함항공모함프리미엄
기타 국가 프리미엄
이벤트 함선그 외 함선들

1 개요

월드 오브 워쉽에 등장하는 소련 프리미엄 선박 일람.

2 상점 판매

게임 내 테크트리 상점에서 판매하는 프리미엄 함선

2.1 순양함

2.1.1 다이아나/다이아나 리마 - 2티어

PRSC002.png
PRSC010.png
상점에서 구입할 수 없고 배포되는 각종 신규 유저용 초대코드 등으로 얻을 수 있다. Lima의 경우 ASUS사의 하드웨어를 구입하면 초대 코드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2티어 중에서는 22100의 높은 체력을 가지고 있다.
편현으로 최대 5문이 사격가능하며, 2티어 순양함 중에서는 비교적 긴 11.8km의 사거리를 가지고 있으며, 장갑또한 2티어 순양함 치고는 상당히 우수한 수준이고 조타력도 훌륭한 편.
반면, 피탐거리가 10.5km로 티어 최장수준이며, 매칭되는 범위에는 갓 전함을 타기 시작한 꿈나무들이 드글거리기 때문에 장갑을 믿고 앞으로 나서면 안된다. 카탈로그상 최대장갑은 152mm이나, 이는 함교의 극히 일부구역에만 적용되는 수치이고, 집중방호구역의 장갑수치는 70mm 수준. 때문에 저티어 전함을 상대할 경우 어지간한 저티어 전함보다도 사거리가 길다는 점을 이용해서 상대의 사거리 밖에서 싸우는 플레이가 필요하다.

2016 . 05 . 24 , Collector's Choice 라는 이름으로 마블해드, 타치바나와 함께 판매되고있다.
가격은 8.59 달러로 한화 만원정도의 가격이다.
0.5.6 패치를 통하여 인게임 상점에서도 구매가 가능해졌다. 가격은 1.650 더블룬.

2.1.2 오로라 - 3티어

PRSC001.png

인게임 스크린샷(아래)
aurora_thumb_1920x_1920x.jpg

렌더링 소개 영상

팔라다(Pallada)[1]급 방호순양함이다.

무장은 총 14문의 152мм/45 포지만 함포의 위치상 한번에 최대 8개까지 사용할 수 있다. 스펙상 최대사거리는 약 11.2km지만 포탄이 최대 10.4km[2] 쯤에서 낙하하며 그이상 가지 않는 현상이 나타난다.
오로라의 전반적인 화력은 같은 구경과 갯수의 함포를 가진 3티어 미순양함 세인트 루이스와 비교해 부포가 없다는 점과 연사력이 분당 7발로 7.5발인 세인트 루이스보다 0.5발 적다는 점, 주포의 180도 회전 속도가 22.5초 보다 느린 36초인 것과 같이 미세한 차이를 빼고는 비슷하다.
특이할 점은 오로라의 러시아제 152мм/45포의 고폭탄 공격력은 최대 2200으로 1440인 세인트 루이스의 152mm/50 MK6포 보다 760정도 앞서지만 철갑탄의 최대 공격력은 640정도 약하다. 깨알같은 세인트 루이스보다 1퍼 높은 8퍼의 화재확률

최대 속력은 20kt로 22kt인 세인트루이스와 비교했을때 더 느리며 선회속도는 비슷하다.이로써 풀업글 세인트 루이스의 열화판 확정. 사실 전과로 따지자면 제국 하나를 굉침시킨 주역인데
체력은 29,500인 세인트 루이스보다 낮은 22,500

총평은 미카사와 비슷하게 역덕후들을 위한 수집용 함선. 실전성은 매우 떨어진다.

2.1.3 무르만스크 - 5티어

PRSC003.png

더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3D 렌더링

wdhmthwe2bchkllxla3l.jpg

준수한 배로 내려온 과거 5티어 순양함의 최강자

1대 무르만스크[3]로써 미국 순양함 트리에서 5티어를 차지하고 있는 오마하급 경순양함의 2번함인 USS 밀워키(USS Milwaukee)를 소련이 불하받은 물건이다.

전체적으로 미국의 5티어 순양함 오마하의 44년 개장상태로 몇몇 차이점을 제외하면 원판가 거의 같은 성능이다.

주포 - 분당 8.6발을 발사 가능하다.
똑같은 미국제 152mm/53 Mk16/Mk13 함포인데. 최대 사정거리 14.8km이다. 사거리가 길지만 묘하게 원판보다 고각으로 떨어지는 느낌. 무르만스크는 함상 정찰기를 가지고 있으며 정찰기를 발진시키면 사정거리 20% 보너스로 인해 최대 18km 밖의 목표물도 노릴 수 있지만 이 경우 착탄시간이 너무 길어져 명중률이 떨어진다. 다만 익숙해지면 어느정도는 극복할 수 있는 문제. 전함을 상대한다면 명중률이 더 오른다.

어뢰 - 기존 오마하가 허접한 미국제 어뢰를 사용하는 반면 무르만스크는 55 노트의어뢰 속도와 14400의 어뢰 데미지를 가진 소련제 53-39 어뢰[4]를 사용하여 8km의 사정거리로 원본보다 2.5km길다.
저~중티어에서는 종종 특성상 10km내 교전이 일어날 때가 있기 때문에, 그것을 감안하면 8km의 사거리는 굉장히 좋은 편. 특히 정규 트리의 소련 순양함들은 짧은 4~5km 어뢰를 장착했기 때문에 더 눈에 띄인다. 다만 3연장에 발사관에 양편 합쳐서 2문밖에 없기 때문에 막상 활용하기에는 곤란하다. 적의 혼란을 유발하는 정도. 어뢰 사용이 부담스러우면 포격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함재기가 전함과 같은 관측기인지라 수상전투기를 띄운 C함체 기준의 오마하보다는 대공이 약하다. 5티어까지는 대공 강화 스킬이 없기에 적 함재기를 지연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기에 달라붙는 함재기를 저지할 수단이 없다는건 상당히 아쉬운 부분이다. 다만 자체 대공 수치 자체는 28로 제일 높기 때문에 타국 순양함보다는 함재기에 대한 저항성이 훨씬 높다. 적절한 회피기동으로 극복하자.

한때는 오마하의 상위호환이었는데[5] 거듭된 패치로 원판을 능가하는 op 함선이라기보다는 오마하와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가진 티어에 걸맞은 골쉽이 되었다. 아타고, 쿠투조프 같이 대놓고 op 골쉽 앞에서 무르만스크는 명함도 못 내민다. 다만 여전히 동티어에 가장 높은 승률에, 다른 티어 대비에도 높은 승률과 지표를 자랑한다.

괜찮은 사거리, 많은 포문과 연사력, 기동력으로 적극적으로 아웃레인지를 펼치면서 적을 제압하는 플레이를 하는 것이 좋다. 오마하보다도 철갑탄의 관통력이 좋으므로 구축함은 물론, 순양함과 전함도 각각 철갑탄과 고폭탄으로 괴롭히면서 좋은 기동력을 이용하면서 공격을 피해가면 프리미엄 밥값을 충분히 할 수 있는 강력하고 좋은 배이다. 경순양함이기 때문에 중순양함의 8인치나 전함의 대구경함포에 약하기 때문에 회피기동과 거리 조절에 주의하자.

사용하기도 쉽고, 모난데 없이 준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서 초보자들에게 추천할 만한 프리미엄 함선.

클로즈 베타 시기(0.3.4 ~ 0.4.0 시점)에 험블 번들에서 E3 특별 패키지에 포함되었다가 말썽이 난 함선이기도 하다.[6] 험블 번들 E3 번들 최소 구성(1달러 이상)에 북미에서만 사용 가능한 베타키, 프리미엄 1주일, 무르만스크, 슬롯 및 약간의 더블룬 등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이 문제의 시작. 원래 워게이밍의 의도는 클로즈 베타 때 즐겨보라는 것이었으나 여기에 대해 당시 북미 포럼 담당자인 'Gunlion'이 '오픈 베타 이후에도 해당 번들 구매 내역은 유지된다'라는 잘못된 답변을 올리면서 문제가 커지게 된 것. 결국 무르만스크 및 프리미엄, 슬롯 등을 지급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으며 포럼 담당자는 이 일에 책임을 지고 퇴사하게 되었다.

한국서버가 0.4.1로 슈퍼테스트가 시작되면서 클로즈 베타테스트 당시 막바지(2015년 8월 15일~9월 16일)까지 전투기록이 있는 유저에게 별 예고 없이 특별보상으로 지급되었다.

2.1.4 몰로토프 - 6티어

PRSC506.png순양함 몰로토프는 키로프급 순양함과 유사하지만, 설계는 조금 개량되었다.(프로젝트 26-bis). 원형함보다 장갑의 대폭 강화된 반면그게 강화된 거라고?, 매우 강력한 병기와 높은 속력을 유지시켰다.

주포일반고폭탄철갑탄비고
분당 발사 속도180도 회전 시간최대 공격력화재 확률최대 공격력
180 mm/57 MK-3-1804.8발/분22.5초250013%4400최종
부포연사력고폭탄고폭탄 최대 공격력고폭탄 화재 발생률사거리
100 mm/56 B-34- 발/분---%-km
선체일반공격 능력대공 능력비고
내구도장갑방향타 변속 시간주포 수부포 * 탑재 수사거리대공포 * 탑재 수초당 평균 공격력사거리
Molotov2840013 - 70mm7.8초3x3문100 mm/56 B-34 6 x 1-km12.7 mm Dshk 4 x 1141.2km최종
12.7 mm Vickers 2 x 441.2km
45 mm 21-k 6 x 1122.5km
37 mm 70-k 12 x 1683.2km
100 mm/56 B-34 6 x 1163.5km
어뢰최대 공격력어뢰 사거리어뢰 속력장전 시간비고
53-38144004.0km65 노트70.0초스톡, 최종
사격 통제 장치사거리포탄 최대 분산 폭비고
GFCS VI mod. 115.5km139m최종
기본엔진일반
엔진 출력최대 속도회전 반경수면 피탐지 범위공중 피탐지 범위
110,000 hp36 knots860m12.7km7.5km

유리대포의 최종형

공격성능과 방어성능이 엄청나게 극단적인 함선으로 주포가 9티어 드미트리와 동일한 물건이라 무식한 화력을 보여준다. 동티어 순양함은 최대 사거리에서도 여유있게 관통하며말이 동티어지 8티어도 사정없이 뚫어버린다. 애초에 8티어 순양이나 6티어나 그렇게 장갑차이가 심하지도 않고 ㅡ.ㅡ 전함도 10km 이내라면 현측관통을 충분히 노릴수있다. 관통력이 너무 세서 과관통을 상시 의식해야 할 정도. 거기에 미친 탄속과 낮은 탄도를 보여주는데 집탄도 좋아서 시타델이 터지면 한개 터지는걸로 끝나지 않는다.

반면 장갑은 70mm급으로 그냥 없다고 볼 수 있는 수준으로 아무리 각을 준다고 용써봐야 일단 맞으면 관통은 기본이다. 거기에 선회반경 860m는 전함들이 비웃고 갈 정도로 넓은 수준이라서 일반적인 순양함 몰듯이 회피를 시도하면 택도 없다. 15.5km라는 동티어에서 좋은 편인 사거리와 12.7km의 위장에 의존해서 생존을 노리는 편이 훨씬 낫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포각이 아주 좋은 편이라 피탄면적을 최소화하기는 비교적 쉽다는 점 정도.는 어짜피 앞에 맞든 뒤에 맞든 시타델은 나간다

여기에 대공 화력까지 절망적인데 C함체 올린 패러것이 비행기를 더 잘잡는 수준이다. 그나마 대공강화 스킬은 가지고 있어서 일시적으로 에임을 흐트릴수는 있지만 격추를 거의 못 시키니 대공강화가 끝나는 순간 바로 다시 표적이 된다. 어차피 생존력이 워낙 절망적이어서 아군 뒤에 숨어다녀야 하니 대공능력이 되는 함선 주변에 붙어 다니자.

운용 자체가 굉장히 극단적이어야 하는데...절대로 1선을 나가면 안되는 배다. 앞에 항모나 구축밖에 없는 상황이 아니라면 절대로 1선은 나가면 안된다
그 만만한 클블, 아오바 따위에게도 고폭탄에 상부가 아작나고 불타 죽는다. 상대방이 전함이면? 얄짤없이 항구로 간다
절대로 어그로를 끌면 안되는 함선 후보 1번에 속하며, 그만큼 아주 얍삽하게 아군 뒤에서 적 전함 불이나 지르고 순양들 시타델이나 뚫어대는 식의 간잽이형 운용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말도 안되는 화력과 말도 안되는 생존성을 가진 극단적인 함선으로 쌍방향 원샷원킬을 심심치 않게 보는 함선이다. 굉장히 긴장하고 타야 하지만 그만큼 화력으로 보답을 해준다.

그 동안 한정판매로 풀렸었으나 어느 순간에 0.5.6 패치를 통하여 인게임 상점에서도 구매가 가능해졌다(북미서버 한정). 가격은 4.550 더블룬.

2.1.5 미하일 쿠투조프 - 8티어

PRSC508.png미하일 쿠투조프는 소련 해군에서 가장 선진적인 경순양함의 하나로, 그 속력과 장갑은 다른 나라의 수많은 경쟁함들에 필적하였다. 그리고 뛰어난 설계의 포탑 마운트에 의한, 경순양함으로서는 매우 긴 주포 사정거리를 실현한 것이 큰 우위점이었다.
주포일반고폭탄철갑탄비고
분당 발사 속도180도 회전 시간최대 공격력화재 확률최대 공격력
152 mm/57 MK-5-bis7.5발/분25.0초220012%3300최종
부포연사력고폭탄고폭탄 최대 공격력고폭탄 화재 발생률사거리
100 mm/70 SM-5-1s16.7 발/분HE-5514006%5km
선체일반공격 능력대공 능력연막탄 사용회수비고
내구도장갑방향타 변속 시간주포 수부포 * 탑재 수사거리대공포 * 탑재 수초당 평균 공격력사거리
Mikhail Kutuzov (A)4070015 - 100mm6.5초4문100 mm/70 SM-5-1s 6 x 25km37 mm V-11 16 x 21473.5km기본 1개최종
100 mm/70 SM-5-1s 6 x 21175km
어뢰최대 공격력어뢰 사거리어뢰 속력장전 시간비고
53-51144008.0km60 노트131.0초스톡, 최종
사격 통제 장치사거리포탄 최대 분산 폭비고
GFCS VIII mod. 119.1km164m최종
기본엔진일반
엔진 출력최대 속도회전 반경수면 피탐지 범위공중 피탐지 범위
121,000 hp33 knots760m14.1km9.3km

스베들로프급 순양함에 속하는 기념함으로 10250 더블룬으로 구매 가능하다.

장거리 방화범 및 강력한 함대방공 순양함
12문에서 나오는 강력한 구축 견제와 전함 지원에 특화된 함대 보조의 최종 진화형
장갑을 깎고 사거리가 늘어난 너프 이전 시절 클리브랜드 재림

소련 순양함 트리 8티어인 차파예프의 개량형인만큼 내구, 어뢰, 사거리, 대공, 선회반경, 전타속도 등등 전체적으로는 쿠투조프의 우위이다. 그러나 속력, 은폐는 쿠투조프가 열세고, 차파예프는 레이더 소모품을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똑같은 보조형이지만 차파예프는 더 대구축 쪽으로 특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스킬과 이큅을 대공능력에 몰아주면 대공수치가 90으로 동티어 다른 순양함들과 비교가 안될 정도의 강력한 대공능력을 가지고 있다. 동티어 함재기는 가볍게 잡고 상위티어 함재기까지 노려볼 정도라 미하일을 조금만 아는 항모는 아예 접근을 안할 정도. 대공능력에 전부 몰아주면 9~9.5 티어 수치를 자랑하는 어마어마한 대공을 가지게 된다.

주포의 경우 기본사거리 19.1km의 재장전속도 8초의 저각포이다.[7] 6인치 급이기에 포탄의 성능은 동티어 순양함보다 공격력이 부족하지만 높은 집탄, 빠른 연사, 연사에 비해 높은 화재확률로 화재유발에 집중된 구성의 포이다. 탄속도 장거리에서도 준수한 속력을 자랑한다. 근거리에서는 시타델 관통에 유리한 저각포이므로 근접전이라면 철갑탄으로 시타델을 적극적으로 노려보자. 물론 저각포라 하더라도 6인치이니만큼 조금만 멀어지면 낙각이 수직에 가까워 지기 때문에 장거리 시타델은 기대하지 말자.

보조 무장으로는 53-51 어뢰로 양편에 1문씩 5연장 어뢰발사관을 달고 있는데, 어뢰 자체의 스펙은 소련 진영의 어뢰치고는 우수하지만 발사관이 하나여서 어뢰 화망을 만들기에는 어려운 편이다. 전함,순양함과의 근접 대결이나 연막 안에서 싸우고 있을 때 활용하는 쪽이 좋다. 근접에서 구축함의 행동반경을 제한시킬 때에도 좋다. 범위는 일본보다 훨씬 넓어서 발사하기 한층 편하다.

속력은 33노트로 일 순양함들에 비하면 느리고 미국 독일순양함에 비하면 빠른 편이지만 선회력이 둔한 편이다. 6.5초 라는 매우 뛰어난 전타속도를 가지고 있는 반면 선회반경이 760m로 크기 때문에 좁은 해역에서는 기동이 많이 답답해지니 위치선정을 신중하게 정해야한다. 동시에 0.5.2패치로 버프된 어뢰를 피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편이니 스킬이나 이큅의 도움을 받는것도 한가지 선택.

장갑은 꽤나 얇은 편으로 구축함의 5인치 철갑탄에도 시타델이 나가며 일반적인 6인치 고폭탄에 대해서도 저항성이 매우 적다. 가속에 시간이 꽤나 걸리고, 선회 반경 또한 넓어서 약점 노출 시간이 길기 때문에 선회시 주의해야 한다. 특히 연막에서 싸우다가 연막이 사라졌을 때가 제일 위험하니 끝날 시간을 생각하고 미리 퇴로를 만드는게 좋다.

이와키 알파와 함께 연막탄을 가진 유이한 순양함이다. 대형함이므로 연막의 효용성은 구축함 이하이지만[8] 급한 상황에서 적의 시선을 돌릴 수 있으므로 아껴두었다가 급할때 사용하자. 제대로 자리만 잡는다면 구축함에 비해 훨씬 강력하고 안전하게 공격할 수 있지만, 덩치가 크기 때문에 적들이 대충 노린 포탄에도 맞을 수 있고, 연막을 노리고 쏘는 어뢰를 피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주변 전장을 잘 파악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연막을 사용할 때의 팁이라면, 덩치가 큰 순양함이기 때문에 조금만 움직여도 바로 발각된다. 후진으로 설정해 속도를 최대한 낮추는 동시에 사용해야 연막 안에서 들키지 않고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다. 다만 위의 사항은 여전히 숙지하는게 좋다. 그리고 레이더가 있는 순양함들 앞에서는 덩치가 크기 때문에 잘못 물리게 되면 큰일난다. 그리고 소모품의 양이 상당히 적은 편인데 연막 한개와 대공 두개가 전부이다. 감독관 스킬과 골드 소모품까지 쓰면 연막탄을 3개 얻을 수 있다. 감독관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골드 소모품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

총평은 중장거리에선 과거 클리브랜드를 연상시키는 강력한 함대 보조함으로 아타고, 히퍼처럼 큰 구경의 탄환을 박아넣는 근접전을 통한 공격적인 활용보다는 후방에서 아군 함대를 지키고, 숨어들어온 구축함을 제압하며 불을 질러 짜증을 유발하는 용도로 사용해야 한다. 역할을 잘 모르고 공격적으로 굴리면 죽기 쉽다. 특히 선회와 장갑, 은폐가 평균 이하이기 때문에 장거리에선 전함의 집중 공격에 취약하고 구경이 딸리는점 때문에 히퍼,뉴올리언스,아타고,모가미와 같이 8인치 포를 쏘면서 6인치에 저항성을 가진 순양함들과의 근접전에서 매우 불리하다. 물론 팔이 순양함 치고 어마어마하게 길기 때문에 거리 조절만 잘하고 낙각이 수직에 가까운 탄을 전부 꽂아넣을 실력이 된다면 오히려 역상성이 되긴하지만 8티어 mm에서 만나는 6인치급 고폭탄에 면역을 가진 전함의 경우 화재도 잘 안일어나기에 미순양함들이 겪는 함대보조 순양함의 고통을 같이 겪을 수 있다.

0.5.3 패치로 평범한 순양함으로 돌아가버린 모가미의 뒤를 이어 장거리 방화범으로 활약하고 있다. 전함을 제외하고는 딱히 천적이 없기 때문에 소구축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워게이밍의 소련 편애의 수혜자라는 의혹을 받고 있는 중이다.

3 구매불가

프리미엄 상점에서만 팔거나 구매할 수 없는 프리미엄 함선

3.1 구축함

3.1.1 그리먀시 - 5티어

PRSD001.png
파일:Attachment/월드 오브 워쉽/소련 테크 트리/프리미엄 선박/6b82fa12-de31-11e4-b5fb-000c29e7faeb2.jpg
간지폭풍
일본구축의 어뢰를 가진 소구축

프리오더 패키지로 추가된 5티어 프리미엄 구축함으로 гремящий란 이름의 뜻은 "우레 같은"이다.

그리먀시(Гремящий)는 소련그녜브니(Гневный)급 구축함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하고 있는 190번 공장(즈다노프 제조소)에서 건조되어 1937년 8월 12일에 진수하였고 1939년 8월 28일 까지 소련 발트함대에 소속되어 있다가 1941년 북방함대에 배치, 1957년 노바야 제믈랴 주변에서 행해진 핵실험에서 표적함으로 함생을 마감한다.
주포인 130mm Б-13 함포는 대조국전쟁 당시 소련 해군에 가장 보급이 잘된 함포였는데 1945년까지 새 구축함들이나 보상받은 후부키급 구축함(베르니 함)의 주함포로 채택되는가 하면 1940년 당시 프로토타입인 SU-100Y에도 주포로 장착될 정도였다.

게임상에서는 이 우수한 주포 성능 덕분에 전반적으로 높은 데미지와 연사성능을 가져 포격 성능이 우수하지만 미국과 달리 미칠듯이 느린 포탑 회전속도를 가졌고, 동티어 일본 구축함보다 어뢰 성능이 약간 더 떨어진다. 하지만 일본이 원래 어뢰가 강한 진영임을 생각하면 일본 트리를 타기 싫을 때 좋은 대체재가 될 수 있다. 무엇보다 티어를 불문하고 어느 구축함이든 뺨을 후려갈기는 날쌘 선회력이 강점. 속도와 조타력을 십분 활용해 전함과 항모들의 옆구리를 어뢰로 터뜨리고 다니자.

느린 포탑 회전 속도 때문에 함장 스킬이나 업그레이드도 주포 위주로 하는 것이 좋다. 최대한 주포 속도 위주로 해도 미국 구축함의 회전속도 절반이나 겨우 따라갈 수준이지만(...) 없는 것보다는 낫고 사거리도 길기 때문에 구축함의 근거리 전투력이 대폭 깎인 지금 상황에서는 오히려 고폭탄을 활용한 화재 유발을 유도해 추가 데미지를 노리고, 무모하게 돌격해 오는 순양함이나 전함, 혹은 자기가 어디 있는지도 모르고 함재기 통제하느라 바쁜 항공모함들에나 어뢰를 쓰는 것이 현명하다. 어뢰미국보다는 나은 수준이니 이 정도만 해도 익숙한 사람 손을 타면 우수한 구축함이 될 수 있다.

가끔 좋은 성능의 주포에 취해 순양함이나 전함에게 주포를 쏘면서 달려가는 그리먀시가 있는데 절대 그러지 말자. 정직하게 딜교환하면 그리먀시가 대형함들에게 밀리는게 당연한 이치이고 팀이 그리먀시에게 바라는 것은 은신어뢰를 통한 끊어먹기지 체력과 장갑 없는 순양함이 아니다.

0.5.0.3에서 그녜브늬급의 네임쉽이 5티어 정규 트리로 등장했다. 동급함인만큼 화력, 기동력과 느린 포 선회력은 그리먀시와 거의 동일하지만 이쪽은 소련구축함 정규트리 특유의 약한 어뢰를 가진다.

유튜브 리뷰영상(노어) [1]

3.1.2 레닌그라드 - 7티어

PRSD507.png
CqDopQPVUAAbrHI.jpg

레닌그라드급 선도구축함

화력을 덜고 모든 부분을 강화한 키예프급

한정 판매로 추가된 소련 7티어 프리미엄 구축함이다. 구축함이어서인지 다른 7티어에 비해 가격이 싸게 측정된 편이다.

레닌그라드의 가장 큰 특징은 엄청난 기동성에 있다. 기본 속력이 43노트로 7티어 구축함 중에는 압도적인 속력으로 한번 물리면 때어내기가 힘들다. 엔진부스터를 써주면 혼자서 이니셜D를 찍는다. 동시에 전타시간이 3초대로[9] 선회도 우수한 편이기에 회피기동도 쉬운편이다. 이 때문에 생존력이 우수하고 적 구축함 추적이 편하다.

공격 능력은 우수한 편이다, 그녜브늬급 구축함의 주포탑 설계를 그대로 물려받았기 때문에 주포탑의 회전속도 민첩하지는 않다.[10] 게다가 포문이 5개로 키예프보다 떨어졌기에 포격성능은 키예프보다 떨어진다.[11]

포격능력이 떨어진 대신 8km 4연장 어뢰발사관을 2개 가지고 있어서 뇌격면에서는 크게 강화되었다. 고티어 소련구축함의 특권인 은폐뇌격이 가능하다는 점은 덤. 이전처럼 회피포격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은폐를 유지하며 뇌격을 섞어주면 키예프에게는 부족했던 한방딜을 챙길 수 있다.

결정적으로 전혀 소구축스럽지 않게 7.3km라는 엄청난 은폐를 가지고 있다. 미구축이 소련구축함을 상대할때 가지는 선스팟의 이점을 상당히 희석시킬 수 있고 은폐뇌격이 가능하다.

체력은 15200으로 7티어 구축함 최상위권으로 포격/어뢰/은폐/기동을 모두 잡은 상당히 강력한 고스펙 구축함이다.
그리고 덩치가 무려 카미가제보다도 작다...선고는 카미가제의 3/4정도밖에 안되며 길이가 약간 더 길뿐이다.
고각포로 덤비는 미구축이 노리고 쏴서 근거리에서 홈런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진짜다

명백한 단점도 있는데, 주포 배열이 단장포 2/1/2로 매우 불리하다. 선수를 밀고 돌진하거나, 후퇴할때 노는 포가 많으여,[12] 우수한 기동을 느린 포탑 선회가 못 따라가서 기동 중 딜로스가 심한편이다. 이 때문에 미구축[13]과의 근접전에 취약한 편. 서로 도그파이트를 하면 딜과 회피 중 하나를 포기해야한다. 빠른 속력을 살려 전장에서 이탈하는 방법은 유효하지만 비효율적인 주포배치 때문에 때리는 것보다 더 많이 맞으면서 나온다. 반대로 브위스카비차나 키예프 같이 전문적인 포격 구축함과의 원거리 포격전인 포문 수에서 밀리기에 승리를 장담할 수가 없다.

소련 구축함이 베이스기에 연막 시간이 부족하다는 점과 엔진 내구도가 낮다는 점도 주의해야한다.

총평은 각분야에 전문적인 구축함들보다 조금씩 떨어지지만 독보적인 기동성과 모든 부분에서 평균 이상의 스펙을 가진 강력한 구축함.

3.2 순양함

3.2.1 크라스니 크림 - 5티어

PRSC505.png

애리조나 판매 종료후 판매를 개시한 스베틀라나급 순양함으로 정규와 달리 5티어다.
자세한 정보 추가바람

3.3 전함

3.3.1 임페라토르 니콜라이 1세 - 4티어

PRSB001.png
0285fe9e-77cc-11e5-98b4-e4115be59678.jpg

4탑방의 황제

임페라트리차 마리야급 전함중 가장 마지막에 건조된 전함으로 1916년에 진수했지만 10월 혁명 «데모크라시» 로 완공되지 못하였다.

속도는 21.0노트의 저속이며 사정거리 14.1km인 305mm 3연장 포탑 4개의 주무장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부문에서 미국 4티어 와이오밍의 상위호환 격인 함선이다. [14]

12문의 포탑을 가지지만 느리고 일전함보다 사정거리가 짧다. 재장전속도가 36초당 1발로 느리므로 신중한 사격이 필요하다. 대신 높은 시그마분산도 [15] 덕분에 와이오밍 따위와는 비교도 안되는 집탄을 보여준다.

주포의 단점으로 포구속도가 낮아서 탄 궤적이 미묘하다. 그래서 10 ~ 12km 근처에서 전함 상대로 시타델 관통을 기대하기가 힘드므로 화재율이 높은 고폭탄을 던지는것도 나쁜 선택은 아니다. 물론 근접전으로 들어가면 철갑탄으로 다시 바꿔주자.

전방을 향한 주포배치가 엄청 잘 되어있어서 머리 들이밀고 플레이하기가 좋다. 시타델 구획의 장갑도 150mm~300mm라는 어처구니없는 수치를 자랑하며 갑판위가 정말 휑해서 덕분에 매우 못생겼다 고폭탄에 대한 내성까지 높아서 생존성에 관련한 특징들이 시너지를 일으킨다. 4탑방에서는 정말 패도 패도 안 죽는 수준인데다 앞서 말한 주포의 위력도 합쳐져서 그냥 적수가 없다.

중앙 갑판부의 장갑이 철갑을 막기에는 좀 불안하다는 약점이 있지만 저티어에서는 대부분 근접전이 벌어지는터라 갑판 상부를 뚫고 들어오기보단 현측을 후려갈기기에 심각한 약점은 아니다. 다만 4탑방이 아닌 5~6탑방의 경우 티어의 차이를 무시못하기에 현측도 뚫리고 포탑도 자주 파손되기에 4탑같이 패왕의 분위기는 못내니 주의해야한다.

통계상으로 이 배의 말도안되는 티어대비 강함이 증명되는데, 모든 배를 통틀어서 압도적인 최고의 승률을 자랑한다. [16] 정말 무서운 점은 너무 강해서 워게이밍이 프리미엄 함선인 주제에 MM 페널티를 먹여서 6탑방까지 끌려가는 유일한 4티어 전함인데 (나머지는 5탑) 이런 페널티를 안고도 저 괴물같은 승률을 유지한다는 사실이다.(...) 너무 오버밸런스라서 워게이밍이 재판매를 하지 않겠다고 공언한 두 함선 중 하나이다.[17]

그런데 5.9 패치로 MM이 고쳐지면서 5탑까지만 가게 되었다. 이젠 빼박캔트 OP함선인줄 알았는데 독일트리에 새로운 황제가 나타나서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1. 노어로는 типа «Диана» (지아나급)
  2. 세인트 루이스의 최대 사정거리와 같다.
  3. 참고로 2대 무르만스크는 1955년의 스베르들로프(Sverdlov)급 순양함 중 하나이다. 스베르들로프급 또한 소련 순양함 프리미엄에 8티어로 등장하였다.
  4. 사실 순수 소련제도 아니다. 소련에서는 러시아 제국 시절의 12년형 456mm 어뢰와 17년형 533mm 어뢰를 베이스로 첫번째 자국산 어뢰인 53-27 어뢰를 만들게 되었다. 이 어뢰의 성능이 좋았는지 1935년까지 양산이 계속되었다. 이에 만족하지 못하고 더 강력한 성능을 추구하게된 소련은 53-27의 근대화 개수형인 53-36을 개발했지만 원판과는 달리 실망스러운 성능이었고 100발만을 제작한채 1938년에 생산이 중단된다. 그래서 1936년에 새로 개발하기 시작한것이 53-38 어뢰였는데 이 어뢰는 1932년에 이탈리아에서 사온 어뢰가 베이스였다. 더 강력한 성능을 추구하게된 소련은 53-38의 최대 사정거리를 희생하지 않고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개량을 실시했다. 그 결과물이 바로 이 53-39다.
  5. 그 오마하도 5티어 순양함중 최강자리를 놓고 경쟁한다는걸 생각하면 이게 얼마나 무서운 말인지 알 수 있을것이다
  6. 속칭 무르만스크 사태(Murmanskgate)라 불리고 있다.
  7. 본래 사거리 스킬을 찍어서 19.1km이었지만. 고등사격 스킬이 139mm 이하에만 적용되도록 바뀌면서, 기본 사거리를 아예 19.1km로 버프시키는 패기를 보여줬다(...), 향상된 연사력과 주포탑 선회력은 덤.
  8. 몸집이 작고 가감속이 빨라 연막 안에서도 움직이면서 싸울수 있는 구축함과 달리 미하일은 조금만 움직여도 연막 밖으로 나가게 된다.
  9. 노 이큅시 3.7초. 동국가 정규트리 키예프가 노이큅 풀업시 4.8초
  10. 스킬과 이큅을 주포 선회에 죄다 몰아준다면 18초 정도가 나온다. 대충 함체 선회는 따라올 정도이다. 하지만 소구축은 최후의 저항을 포기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고렙 함장이 아니면 전부 주포로 몰긴 부담이 있는편.
  11. 하지만 구축함계의 명품 130mm 저각포 5문은 어디 안가서 객관적으로도 상당한 포격력을 가지고 있는 편.
  12. 특히 5번 주포가 뒤쪽의 대공포 때문에 정후방사격이 불가능하다.
  13. 특히 근접 구축함 킬러인 심즈, 이건 8티어 구축함에 어뢰만 너프했다고 생각하자
  14. 대공능력과 선회력, 연사력 정도가 밀린다. 따라서 와이오밍과의 근접조우시 dpm으로 찍혀 눌리는것을 유의해야 한다.
  15. 분산도가 최대분산도를 나타낸다면, 시그마분산도는 그 분산도 안에서 얼마나 잘 모이는가를 나타낸다. 보통 다수의 포문을 가진 전함들은 시그마값이 낮게 설정되는데 니콜라이는 12포문 전함을 통틀어서 유일한 2.0을 자랑한다. 보통 12포문 전함은 1.5인데다 2.0은 나가토나 콜로라도같은 8문전함의 전유물에 가까운데 말이다.
  16. 통산승률이 혼자서 60%에 근접한다, 2위 이하는 55%. 승률이 뻥튀기되기 마련인 한정판 중저티어 프리미엄 함선이지만 그걸 감안해도 궤를 달리하는 승률이다.
  17. 다른 하나는 그리마시, 왠지(...) 둘다 소련함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