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명제

(유송 태종에서 넘어옴)
유송의 역대 황제
5대 전폐제 유자업6대 태종 명황제 유욱7대 후폐제 유욱
묘호태종(太宗)
시호명황제(明皇帝)
연호태시(泰始, 465년 12월 ~ 471년)
태예(泰豫, 472년)
유(劉)
욱(彧)
생몰기간439년 12월 9일 ~ 472년 5월 10일
재위기간466년 1월 9일 ~ 472년 5월 10일

중국 육조시대 유송의 제6대 황제로 장남인 후폐제 유욱과 발음이 같아서 대(大) 유욱으로 부르기도 한다. 묘호는 태종(太宗), 시호는 명황제(明皇帝).

재위 7년 동안은 태시(泰始), 마지막 1년 동안에는 경화(景和)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무제 유유, 효무제 유준과 더불어 천수를 누린 황제다.

원가 16년(439년) 10월 유의륭과 심용희 사이에서 11남으로 태어났다. 모친이 일찍 죽어 유준의 어머니인 계모 노혜남이 유욱을 키웠다. 유욱은 원가 29년 상동왕이 되었고 유준이 즉위하자 진군장군, 옹주 자사가 되었다. 유욱은 바둑과 문학, 서예를 좋아했고 비록 뚱뚱했지만 풍채가 단아해서 아버지 유의륭의 사랑을 받았다.

유욱은 이전에 조카 유자업에 능욕을 당하다가 주의 원전부, 내감 왕도륭, 환관 수적지 등 11명과 유자업을 폐하기로 밀모했다. 영광 원년(465년) 11월 29일 밤, 유자업이 죽림당에서 귀신을 잡으러 다니는 것을 보고 수적지가 들어가서 칼로 유자업을 죽였다. 그리고 유욱은 12월에 태극전전에서 즉위했는데 장사 등완 등이 유자업의 아우이자 유준의 셋째 아들이었던 8살 진안왕 유자훈을 받들어 심양에서 황제에 즉위시키고 건강을 공격했다. 게다가 전체 274군 가운데 단양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유자훈을 황제로 인정했다. 이렇게 불리한 상황에서 유욱은 이부상서 채흥종의 건의를 받아들여 유자업의 폭정을 일소하고 관대한 정치로 인심을 안정시켰다. 또 반란군들을 설득시키고 건강에 있던 그들의 가족을 후하게 대우했다. 동시에 사도 유휴인, 보국장군 심유지, 어사 오회 등을 장수에 임명하고 이듬해 8월에 유자훈을 주살하고 그 일당을 제거했다.

그러나 유욱도 황제가 되자 잔인해졌고 곧 자신의 은인이었던 유휴인을 포함한 자신의 형제들과 그 후손들을 도륙내기 시작했다. 결국 유의륭의 아들들은 이전에 북위에 투항한 유창과 유욱 본인, 계양왕 유휴범 외에는 모두 죽었다.[1] 이래서 이복형이었던 유준의 자손은 아예 없어졌는데 그래서 내린 조치가 형의 자손들이 죽었으니 선심쓴다고 양자를 삼아줬다.

유욱은 후환을 제거하기 위해 유준의 아들 10명을 모두 죽였고 결국 유준의 대는 끊기고 말았다. 그런데 여기서 잘못 처리한게 있다면 유자훈을 인정했던 서주 자사 설안도, 익도 태수 소혜개, 양주 자사 유원호, 연주 자사 필중경, 예장 태수 은부, 여남 태수 상진기 등이 모두 항복을 구걸하지만 이걸 거절한 것이다. 정확히는 유욱이 이미 난을 평정하자 이들은 괘씸한 놈들이라면서 5만의 군대로 무력으로 진압하려고 하자 결국 이들과 청주 자사 심문수, 기주 자사 최도고 등은 모두 북위에 투항한다. 그리고 귀신을 지나치게 믿어 해로운 글자는 말하지도, 쓰지도 못하게 했고 이를 어기면 즉시 죽였다. 또 침대를 옮기고 벽을 장식할 때도 토지신에게 제사를 드렸다. 더구나 유욱의 판단 실수로 서주, 청주, 기주 3주가 북위로 넘어가면서 송나라는 촉 지역과 장강 이남, 장강 이북 극소수의 영토로 크게 줄어들었다. 이에 황제의 위엄도 날이 갈수록 떨어졌다.

유욱도 이전 황제들 못지 않게 음란하고 사치스러워 궁 안에서 황실의 부녀자들을 알몸으로 발가벗기고 웃고 즐기는 잔치를 벌이는 것을 좋아했다. 왕황후(왕정풍)가 이를 보고 낯뜨거워하며 부채로 얼굴을 가리자 유욱은 너희 친정은 한문[2] 이 아니던가? 그래서 이런 잔치를 함께 즐기자는데 왜 보지 않는가?라며 벌컥 화를 냈다. 그러자 왕황후는 '즐기는 방법은 매우 많습니다. 하지만 어찌 시어머니와 자매들이 서로 모여 앉아 아낙의 몸을 벗겨 이것으로 즐거움을 삼겠습니까? 우리 친정은 비록 한문이나, 이런 일은 실로 있을 수 없습니다.'라고 하자 유욱은 크게 노했지만 틀린 말이 아니라서 뭐라 못했다. 유욱은 어느날 갑자기 고자가 되자 일부러 종친들의 첩 가운데 임산부가 있으면 데리고 와서 아들을 낳으면 생모를 죽이고 자신의 아들로 삼았다. 유욱은 말년에 매우 부패해져서 관리들의 봉급을 중단하고 축재한 재산을 숨기기 위해 상궁사라는 절을 짓고 그 절 아래에 재산을 숨겼다. 태예 원년(472년) 3월에 예주 자사 유음이 반역을 저지른다고 꿈속에서 누군가 알려주자 일어나서 즉시 유음을 죽였다. 4월, 유욱은 경복전에서 43세의 나이로 죽었고 5월에 고녕릉에 안장되었다.

  1. 그나마 계양왕 유휴범은 무능해서 살아남은 것이다. 그러나 이후 대(大) 유욱의 '아들 소(小) 유욱'이 즉위한 뒤 사소한 문제로 난을 일으켰다가 죽는다.
  2. 寒門. 별 볼일 없는 한미한 가문을 말한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유욱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