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대교

李舜臣大橋 / YiYee Sunsin Bridge

l_2013012101002666200202751.jpg
뭔가 부실해보이지만 기분 탓...이 아니다! 주변에 있는 구봉산 전망대에서 바라보면 그냥 콘크리트 주탑에 판때기가 달려있는 꼴이다! 거기에 정식 개통 후 야간 조명을 켠 횟수가 한 달도 안 된다! 1년이 넘었는데!

08073826_2468992_cZD.jpg
그래도 야간 조명을 켜놓으면 꽤나 괜찮다.

1 개요

전라남도 여수시 묘도와 전라남도 광양시 금호동을 잇는 총연장 2.26 km의 현수교이다. 여수시 묘도(섬)으로 가는 이유는 여수산업단지진입도로가 섬을 이용해 2개의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순신대교는 이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2012년 5월 10일 2012 여수 엑스포를 대비해 임시 개통을 했으며, 엑스포가 끝난 직후에 폐쇄하였다가 2013년 2월 8일 정식 개통하였다.

2 건설배경

전남 동부권 산업단지의 물류허브인 광양항과 여수국가산업단지 간은 직선거리는 가까우면서도 바다로 단절되어 있어 이 지역의 물류량이 바다를 피해 굽이굽이 돌아가야 했다.[1] 실제로 이순신대교 개통 이후 원래 80분이나 걸리던 이동시간이 딱 10분[2]으로 감축되어 비용감축은 물론 화물 물동량의 우회를 통한 여러가지 긍정적인 효과를 내고 있다.

총 공사비는 약 1조 700억원이다.

3 특징

크고 아름다운 현수교인건 두말할 필요가 없거니와, 위 사진을 보면 알수 있듯이, 주경간장 즉, 현수교 주탑간 거리가 국내 최장 현수교이다. 무려 1545 m다. 이 1545는 바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탄생해인데 눈치챘겠지만 그렇다. 이순신장군의 탄생년도에 맞춰서 세운 것! 참고로 광안대교가 500 m이고, 인천대교(사장교)가 800 m인 걸 감안하면, 흠좀무. 세계 최장인 일본 아카시대교가 1.9 km인점을 봐도 꽤나 길다는걸 알수가 있다. 실제로도 세계 다섯손가락 안에 꼽힌다.

이를 위해 만든 주탑의 높이도 270 m로 세계에서 두번째로 높은 높이이며, 남산보다 높다! 총연장이 짧아서 그렇지, 규모는 정말 어마어마하다고 할수 있다. 관광자원으로 삼는건 보너스다만 계획에 있었던 전망대는 예산이 반영되지 않아 건설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런 크고 아름다운 다리가 과는 달리 무료도로다!
광양시에는 돈이 많아서

4 이순신대교?

다리 이름을 지을 때 이순신 장군을 모티브로 한 이유는 모든 남해안이 다 노리고 있지만 교량이 놓인 바다가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이고 주경간장인 1545m가 이순신장군 탄신년인 1545년을 기념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당연히 노리고 설계한거다다른 명칭으로 광양시가 내놓은 '광양대교'가 후보로 있었으나 여수시가 제시한 이순신대교의 명칭이 더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려 채택하였다.

5 이야깃거리

완공된지 1년도 안 돼서 아스팔트에 금이 갔다. 이것만 놓고 보면 부실공사 의혹이 생길 수도 있지만, 이 교량이 연결하는게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공업지대인 여수국가산업단지포스코 광양제철소, 광양항이라 대형 화물차량의 통행이 매우 많으니 어쩌면 당연한 결과다. 광양시쪽만 봐도 제철소에서 제품을 싣고 나오는 트레일러에 실린 짐이 4~50톤이 넘는 경우가 허다하며, 이는 본 교량의 제한 중량인 40톤을 가볍게 넘어선다.이 동네에 공장이 얼마나 많은데, 미리 이걸 감안하고 축중을 높게 설계했어야지... 이 때문에 교량 관리를 맡은 전라남도에서 과적 차량에 대한 단속을 크게 강화하고 있다.

이 다리가 완공되자마자 여수 ~ 광양 시계외 시내버스 운행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정식 개통 2년이 지난 15년 7월까지도 해당 노선에 대한 소식은 없다.

이용객이 적은 일부 고속버스 노선은 여수에서 시작해 이순신대교를 경유하여 여수-광양-순천을 순회해서 승객을 태우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런 노선의 경우 순천에서 탑승하는 승객들은...

'쭉 뻗은 1545m 직선 도로 + 속도감이 안 느껴짐 = 과속'이란 공식이 잘 성립되는 곳이기도 하다. 60km/h라고 생각하고 달리다 계기판을 보면 100km/h이 넘어있다. 참고로 이순신대교 전구간 제한 속도는 60km/h므로 주의해야한다. 이걸 모르고 속도를 냈다가 50km/h 과속딱지가 날아온 사람도 있을 정도.

2014년 7월 4차선을 2차선으로 줄이고 보수 공사를 시행했다. 시공사인 대림산업에서 자비로 진행했다고. 10월 26일, 개통 1년여 만에 심한 흔들림 현상이 발생해 차량 통행이 전면 통제됐다. 위대하신분 이름달아놓고 뭔짓거리야 이순신대교 흔들림현상은 보수공사시 설치한 가림막이 바람의 흐름을 막아 발생함. # 그러다가 2014년 10월 27일 부터 통행을 다시 재개했다고 한다.
  1. 거가대교부산광역시-거제시의 사정이 비슷하다.
  2. 10분을 뺀 70분이 아닌, 70분을 뺀 10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