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한민국
- 4대강[1]의 교량은 상류에 있는 교량부터, 나머지는 지역별로 가나다순으로 기재한다.
- 4대강의 교량을 제외하면 총 연장 200m 이상의 교량이나 특별한 특징이 있는 교량만 기재한다.
1.1 4대강
1.1.1 한강
1.1.1.1 북한강
- 안동철교 : 화천군 화천읍 풍산리에 위치한 옛 금강산 철도가 지나던 단선 철교이며, 현재는 민통산 내부에 위치해 있다.
- 평화의댐 공도교 : 화천군 화천읍의 북단에 위치한 평화의댐 공도교로 지어진 교량.[19]
- 잠수교(평화로) : 화천군 화천읍과 간동면을 연결하는 교량으로, 잠수교 형태이다.
- 구만교 : 화천군 화천읍과 간동면을 연결하는 교량이다.
- 대붕교 : 화천군 화천읍과 간동면을 연결하는 교량이다.
- 화천대교 : 화천군 화천읍과 하남면을 연결하는 교량이다.
- 칠석교 : 화천군 하남면 원천리와 거례리를 연결하는 교량으로, 잠수교 형태이다.
- 춘성교 : 춘천댐 공도교로 지어진 교량.
- 신매대교 : 춘천시 서면과 신사우동을 연결하는 교량으로, 위도(고슴도치섬)을 경유한다.
- 레고랜드대교 : 춘천시 근화동과 하중도롤 연결하는 교량으로, 현재는 공사중이다.[20]
- 신연교 : 의암댐 공도교로 지어진 교량.
- 의암교 : 46번 국도가 지나는 교량으로, 서단(덕두원리)에서 구 46번 국도(현재 박사로)와 분기된다.
- 제2강촌교 : 강촌교의 교통 수요를 보완하기 위한 교량으로, 현재는 공사중이다.
- 강촌교 : 46번 국도와 남산면 강촌리 일대를 연결하는 교량.[21]
- 춘성대교 : 46번 국도가 지나는 교량으로, 북단(안보리)에서 구 46번 국도(현재 보납로)와 분기된다.
- (구)경강철교 : 구 경춘선 철도가 지나던 단선 철교로, 현재는 레일바이크 전용 교량으로 바뀌었다.
- 경강교 : 46번 국도가 지나는 교량으로, 가평군과 춘천시의 경계에 위치해 있다.
- 경강철교 : 경춘선 철도가 복선 및 고속·직선화되면서 새로 만들어진 철교이다.
- 신청평대교 : 청평면과 설악면을 연결하는 교량.
- 서종대교 : 서울-춘천간 고속도로 전용 교량이며, 일반적인 접속은 불가하고 동쪽의 서종 나들목을 통해서만 진입이 가능하다.
- 양수철교 : 중앙선 철도가 복선 및 고속·직선화되면서 새로 만들어진 철교이다.
- (구)양수철교 : 구 중앙선 철도가 지나던 단선 철교로, 현재는 자전거와 도보 전용 철교로 바뀌었다.
- 양수대교 : 구 6번 국도가 지나던 교량으로, 동쪽과 서쪽의 북한강로가 나뉘는 기점이기도 하다.
- 신양수대교 : 6번 국도가 고속·직선화되면서 새로 만들어진 교량이다.
1.1.1.2 남한강
- 고수대교
- 상진대교
- 상진철교
- 단양대교
- 적성대교
- 옥순대교
- 청풍대교
- 청풍교
- 충주댐
- 충원교
- 동량철교
- 목행대교
- 구목행대교
- 우륵대교
- 남한강대교(고속도로)
- 목계대교
- 목계교
- 남한강대교(지방도)
- 남한강교
- 이호대교
- 여주대교
- 세종대교
- 이포대교
- 양평교
- 양근대교
- 양평대교
1.1.2 금강
1.1.3 낙동강
- 주진교
- 법흥교
- 영가대교
- 안동교
- 영호대교
- 안동대교
- 풍산대교
- 단호교
- 풍남교
- 광덕교
- 구담교
- 지인교
- 삼강교
- 영풍교
- 상풍교
- 경천교
- 상주보
- 강창교
- 중동교
- 낙단보
- 낙단교
- 낙단대교
- 선산대교
- 일선교
- 숭선대교
- 산호대교
- 구미대교
- 남구미대교
- 왜관낙동강교
- 덕산대교(2014년 예정)
- 왜관경부고속철교
- 칠곡보
- 왜관철교
- 왜관교
- 호국의 다리
- 제2왜관교
- 성주대교
- 강정고령보
- 사문진교
- 88낙동강교
- 고령교
- 성산대교(낙동강)
- 달성보
- 박석진교
- 낙동대교(달성)
- 우곡교
- 율지교
- 합천창녕보
- 적포교
- 박진교
- 남지교
- 남지대교
- 창녕낙동대교
- 낙동대교(창녕)
- 창녕함안보
- 본포교
- 수산교
- 수산대교
- 삼랑진교
- 낙동대교(삼랑진)
교량명 | 길이(m) | 서쪽 | 도로명 (철도명) | 동쪽 | 개통년도 | 비고 | ||||
양산낙동강교 | 0000 | 경상남도 | 김해시 | 대동면 | 중앙고속도로지선 | 경상남도 | 양산시 | 물금읍 | 1996 | |
부산광역시 | 북구 | 금곡동 | ||||||||
대동화명대교 | 0000 | 77번 부산광역시도[22] | 화명동 | 2012 | ||||||
구포낙동강교 | 0000 | 부산광역시 | 강서구 | 대저1동 | 남해고속도로 | 덕천동 | 1973 | |||
구포철교 | 970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구포동 | 2005 | ||||||
1060 | 1931 ~ 2003 | |||||||||
구포대교 | 0000 | 14번 국도 40번 부산광역시도[25] | 1993 | |||||||
강서낙동강교 | 3430 | 중앙고속도로 | 사상구 | 모라1동 | 1996 |
1.1.4 영산강
교량명 | 길이(m) | 서쪽 | 도로명 (철도명) | 동쪽 | 개통년도 | 비고 | ||||
대성교 | 70 | 전라남도 | 담양군 | 금성면 | 금성산성길 | 전라남도 | 담양군 | 금성면 | 0000 | |
석현교 | 130 | 24번 국도 담순로 | 0000 | |||||||
대곡교 | 100 | 897번 지방도 병목로 | 0000 | |||||||
금월교 | 125 | 담양읍 | 24번 국도 담순로 | 0000 | ||||||
학동교 | 190 | 죽향문화로 | 담양읍 | 0000 | ||||||
향교교 | 100 | 29번 국도 죽녹원로 | 0000 | |||||||
만성교 | 70 | 중앙로 | 0000 | |||||||
담양교 | 100 | 13번 국도 추성로 | 0000 | |||||||
양각교 | 210 | 13번 국도 죽향문화로 | 0000 |
- 영산교
- 용산교
- 지야교
- 용두교
- 첨단대교
- 첨단교
첨단대교와는 다르다! - 영산강교
- 산동교
- 광신대교
- 덕흥대교
- 어등대교
- 극락교
- 서창교
- 승용교
- 승촌보
- 나주대교
- 빛가람대교
- 영산대교
- 영산교
- 죽산교
- 죽산보
- 동강교
- 몽탄대교
- 무영대교
- 영산호하구언
- 목포대교
1.2 지역별
1.2.1 수도권
- 강화대교
- 서해대교
- 시천교
- 인천대교 - 대한민국 총 연장 최장교량, 주경간장 최장 사장교(800m)
- 영종대교
- 초지대교
- 통일대교
- 임진강철교
- 장안철교
- 소래철교
- 신답철교
- 중랑철교
- 이문철교
- 자유의 다리
-
평택대교- 미개통 - 용비교
- 응봉교
- 성동교
- 군자교
- 장평교
- 장안교
- 겸재교
- 중랑교
- 이화교
- 월릉교
- 한천교
1.2.2 강원도
1.2.3 충청도
추가바람.
1.2.4 경상도
- 영도대교 - 대한민국 최초의 연륙교, 도개교
- 부산대교 - 영도 제2연륙교
- 광안대교
- 남항대교 - 영도 제3연륙교
- 부산항대교 - 영도 제4연륙교
- 을숙도대교
- 거가대교
- 마창대교
- 거제대교
- 남해대교 - 대한민국 최초의 현수교
- 삼천포대교
- 삼호교 - 舊.삼호교와 新.삼호교가 공존
- 태화교
- 울산교 - 울산 최고(最古)의 교량. 1994년에 차량 통행이 금지됨.
- 번영교
- 학성교
- 명촌대교
- 명촌철교
- 울산대교
- 팔달교
- 월정교
- 야로대교 - 대한민국 최대높이의 교량(주탑포함 148.9m)
- 하양교
- 대부잠수교
- 안심교
- 범안대교
- 화랑교
- 아양교
- 아양철교
- 공항교
- 산격대교
- 서변대교
- 팔달교
- 매천대교
- 와룡대교
- 세천교
- 강창교
1.2.5 전라도
- 진도대교
- 완도대교
- 소록대교
- 목포대교
- 이순신대교 - 대한민국 주경간장 최장 현수교(1.545km 세계4위), 주탑 높이 세계 1위
- 돌산대교
- 김대중대교
- 거금대교
- 새천년대교
- 칠산대교 - 2019년 완공 예정, 그러나 2016년 7월 8일 오전 11시경 상판 구조물 붕괴 사고가 발생하였다. 자세한 것은 칠산대교 구조물 붕괴사고 참고 바람.
2 북한
2.1 4대강
2.1.1 압록강
2.1.2 두만강
2.1.3 대동강
- 청류교(교폭: 28.0m 총연장: 1,100m)
- 능라교(교폭: ??.?m 총연장: 1,070m)
- 옥류교(교폭: 28.5m 총연장: 680m)
- 대동교(교폭: ??.?m 총연장: 618m)
- 양각교(교폭: ??.?m 총연장: 1,???m)
- 양각철교(교폭: ??.?m 총연장: 1,???m)
- 충성의 다리(교폭: ??.?m 총연장: 1,750m)
- 고구려 목교
2.1.3.1 보통강
2.1.4 청천강
2.2 기타
3 일본
일본의 4대 섬 연결수단 | ||||
지역 | 혼슈 | |||
홋카이도 | 시코쿠 | 규슈 | ||
철도 | 세이칸 터널 | X | 칸몬 철도 터널 | |
고속철도 | 세이칸 터널 | X | 신칸몬 터널 | |
도로 | X | X | 칸몬 도로 터널 | |
철도 | X | 세토 대교 | X | |
고속철도 | X | X | X | |
도로 | X | 세토 대교 아카시 해협 대교 | 칸몬 대교 |
- 세토 대교 : 혼슈 섬과 시코쿠 섬을 잇는다.
- 아카시 해협 대교 : 혼슈 섬과 아와지시마 섬을 잇는다.
- 오나루토교 : 아와지시마 섬과 시코쿠 섬을 잇는다.
- 칸몬 대교 : 혼슈 섬과 규슈 섬을 잇는다.
4 중국
- 단양-쿤샨대교 : 2010년부터 세계 최장거리 다리. 길이가 무려 164km.[30]
- 시두 강 대교 : 세계에서 가장 높은 다리. 높이는 무려 500m에 달한다.
- 베이판장대교 :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교량
5 태국
6 미국
7 영국
8 프랑스
9 덴마크
10 관련항목
- ↑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 ↑ 퇴계원 방향은 1991년, 판교 방향은 2002년 개통
- ↑ 2014년 11월 21일 개통, 단, 강변북로 및 올림픽대로 접속 램프는 2015년 개통
- ↑ 과거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다리로, 노후가 계속되어 1994년 철거 후, 1997년 다시 건설에 들어가서 2003년 임시 개통 후, 2005년에 완공되었다.
- ↑ 원래 하저터널로 통과하나 하저터널 통과 지점이 천호대교 바로 한가운데 밑이라 하저터널로 천호대교를 건너는 것에 해당한다.
- ↑ 대한민국 최초의 사장교이다.
- ↑ 수위 조절용 보인 잠실보가 있다.
- ↑ 2001년에 새 다리를 개통 후, 기존의 도로는 보수공사를 하여, 2004년에 재개통하였다.
- ↑ 일제강점기에 한강 위에 최초의 인도교로 건설되었으나, 여러차례 파괴된 후, 1954년 완전 복구되었다. 이후, 확장공사에 들어가서 1981년에 신교를 만들어 왕복 8차로로 개통되었다.
- ↑ 한강 남쪽 둔치를 따라 건설된 다리.
- ↑ 1900년 단선으로 개통 이후, 1912년, 1944년 선로를 늘렸으나, 한국전쟁 이후 1951년 단선, 1957년 복선을 거쳐 1969년 복복선으로 운행하였고, 이후 1992년 3복선화되었다.
- ↑ 대한민국 최초의 근대식 교량이다.
- ↑ 1970년 개통된 이후, 2000년 하류 쪽으로 새로운 교량을 개통한 이후, 기존의 교량을 철거하고 2005년 다시 개통되었다.
- ↑ 1983년 개통된 이후, 성수대교 붕괴사고에 따라 실시한 한강 교량 점검에서 붕괴 가능성이 높게 제기되어, 전면 재시공에 들어가 1999년에 재개통되었다.
- ↑ 1965년에 처음 개통하였고, 1982년 상류 쪽에 하나 더 교량을 개통하였다. 이후 보강에 들어가, 2000년에 구교를 재개통하고 2002년 신교를 재개통하였다.
- ↑ 1978년 구교가 개통된 이후, 1995년 하류쪽 신교, 2000년 상류쪽 신교가 개통되었다.
- ↑ 수위 조절용 보인 신곡보가 있다.
- ↑ 2014년 3월 현재 착공하지 않았지만 이 다리가 완공되면 한강 최하류 교량이 될 예정이다.
- ↑ 평화의댐 상단으로는 평화로가 통과하는 도로가 지난다.
- ↑ 춘천 중앙로터리부터 금강로, 춘천역 지하차도(현재 공사중)와 바로 연결될 예정이다.
- ↑ 과거에는 바로 서쪽에 일명 '흔들다리'가 최초의 강촌교로 존재했으나, 붕괴 위험으로 해체되고 현재는 양 끝의 교각만이 그 흔적으로 남아있다.
- ↑ 서낙동로.
- ↑ 2008년에 철거되었다
- ↑
낙동북로. - ↑ 낙동북로.
-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의 일부.
- ↑ 생곡-북항 도로의 일부. 2014년 현재 아직 착공하지는 않았다.
- ↑ 엄밀히 말하자면 교량이 아니라 말 그대로 둑이지만 교량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기재한다. 수문이 있는게 일반적인 둑과 다른 점이고 하구둑 특성상 둑위에 도로를 개설하는 경우가 많다.
- ↑ 해안순환도로의 일부. 낙동강이 아니라 바다를 지나는 교량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낙동강의 동서를 잇는 역할을 한다.
- ↑ 다리가 육지 위에 건설되었는데 이는 다리 전체가 철로이기 때문이다
- ↑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아래의 타워 브리지와는 전혀 다른 교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