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상형문자

틀린그림찾기숨은그림찾기에서 사랑받는 문자



이집트 象形文字 / Hieroglyph


1 소개

고대 이집트 문명에서 사용된 문자를 이르며, 상형문자로 분류된다. 왕조 이전시대인 기원전 4000년경부터 이미 문자의 전신이 되는 간단한 기호나 도형들이 발견되며, 기원전 3000년경에는 이미 문자로써 완전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발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자체계가 갖추어진 후에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시대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상형문자로 기록된 가장 최근의 비문은 서기 394년에 만들어진 것이다. 거의 4500여년 가까이 쓰여온 문자인 셈이니 가히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오랫동안 쓰였던 문자라고 할 수 있다.
이 문자는 고대 이집트어를 기록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이 고대 이집트어의 후예가 중세까지 쓰이던 콥트어이다. 현재는 아랍어로 대체되어 사어가 되었다.

이집트 제 1왕조의 파라오인 호르 아하의 이름이 적힌 도편. 이 시절에 이미 이집트
상형문자의 초창기 형태가 드러난다. 참고로 이 분 기원전 3100년경 사람이다.

흔히 '히에로글리프'라고도 하며, 이는 그리스어로 '신성한 글귀'라는 뜻의 'τὰ ἱερογλυφικὰ γράμματα'(타 히에로글리피카 그람마타)에서 비롯된 단어이다. 이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자신들의 문자를 md nchr(메두 네체르 = 신성한 글귀)라고 부른 것에서 유래하였으며, 이 때문에 히에로글리프를 '신성문자'로 번역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 문자의 해독과 관련된 이야기는 로제타 석 문서 참고.

2 변화 과정

사용된 기간이 매우 오래된 탓에 시대에 따른 변화 정도가 큰 편으로, 대체적으로 시대가 갈수록 자형이 점차 단순해지고, 글자수는 더 많아지는 양상을 띈다. 이 때문에 후기의 히에로글리프는 그림을 그대로 문자로 만든 상형문자보다는 기호화된 표의 문자에 더 가까운 모습을 보이며, 표음 문자로서의 기능 또한 가지고 있는 복잡한 체계를 가지게 된다.

가령 예를 들자면 이집트어로 '가르치다'라는 뜻의 동사는 오리모양의 글자와 발 모양의 글자, 새모양의 글자 그리고 매를 들고있는 남자의 그림으로 표기된다. 이 아무런 상과없는 글자를 어떻게 해석하느냐하면 여기서 오리모양의 글자는 s, 발모양의 글자는 b, 새모양의 글자는 â[1]의 음가를 나타내는 발음기호이며, 맨끝에 매를 들고있는 남자의 모양이 바로 sb의 뜻이 무엇인지 한정시켜주는 한정사인 것. 고대 이집트인들의 격언 중에 학생의 귀는 등에 있다. 때려서 귀를 열어주어야 한다.라는 말이 있는데, 매를 든 남자는 바로 선생을 묘사한 것. 근데 이집트 문자에는 모음을 전혀 표기하지 않기 때문에 원 발음이 어떤지는 알 수 없다. 때문에 학자들은 콥트어를 바탕으로 적당히 모음을 붙여서 읽는데, 여기에 따르면 'sebâ'(세브'아)가 된다.

3 문자의 변화 과정

3.1 신관문자와 민중문자

이집트 상형문자는 다른 문자들과 마찬가지로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가령 기원전 24세기경부터 문자를 기록하던 서기들은 공식기록이외에 정부문서나 행정업무를 위한 기록을 위해 기존의 복잡한 도형들을 간소화한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을 신관문자(Hieratic)라고 부른다. 신관문자는 시대에 따라 점차 더 추상화되는 양상을 띄는데 가령 중왕국 시대의 신관문자와 신왕국시대의 신관문자만 하더라도 비전문가조차 파악이 가능할 정도로 흘려쓴것이 보인다. 이후 식자층이 좀 더 광범위하게 퍼져가면서 극도로 단순화된 글자체가 사용되는데 이것은 '민중문자(Demotic)'라고 부르며 이집트 상형문자의 최종진화형으로 여겨진다. 유명한 로제타 석에 기록된 문자도 그리스 문자와, 오래전부터 내려온 정체, 그리고 민중문자이다.

신관문자의 좋은 예시. 이집트 제 18왕조 시절인 아멘호테프 1세 제위때(기원전 1514~1493년경) 글씨연습용 석판에 쓴 글귀로 중왕국시대의 문학작품인 <아메넴하트의 교훈>을 담고 있다. 본 텍스트는 제 12왕조의 개창자 아메넴하트 1세가 아들 센우세레트 1세에게 써준 교훈서로, 쿠데타로 전왕을 죽이고 왕이 된 아메넴하트 1세의 사정을 반영하듯 "네 주변 부하들을 항상 철저하게 감시하라. 아무도 믿지 마라. 네 형제도, 알고지내는 친구들도, 친밀한 관계를 만들지 말아라."라고 쓰여 있다.

demotic_sample.jpg

이집트 제 26왕조 시절에 민중문자로 기록된 계약서의 모습이다. 극도로 추상화되어 원래 글자가 어땠는지 도저히 분간이 안 되는데, 이 문서는 갑과 을의 상품거래 내용을 기록하고 있으며 상품의 양도일자와 대금 지불방법, 그리고 계약 당사자들의 이름이 쓰여 있다.

3.2 콥트 문자

이 문단은 콥트 문자(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들어서자 이집트인들은 빠르게 그리스 문화에 물들기 시작했다. 고대 이집트의 종교와 풍습은 여전히 지켜졌지만, 당장 파라오부터 이집트어를 구사할 줄 몰랐고, 배울 생각도 없었기 때문에 밑의 토착인 관리들이 알아서 그리스어를 배워 세금을 내는 이집트 서민들과 파라오 사이의 중개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한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치하에서 이집트인이 출세하는 법은 이와 같은 궁정관리나 행정관이 되는 방법밖에 없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그리스어는 이집트어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고, 기존의 어렵고 난해한 민중문자는 이윽고 그리스 문자를 개량한 새로운 문자로 대체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콥트문자.

500px-CopticLetters.svg.png

콥트문자는 그리스 문자를 그대로 받아들인 가운데 그리스 문자로는 표기할 수 없는 소리들과 인두음을 표기하기 위해 기존의 민중문자 기호 7개를 추가로 받아들였다. 오메가(ω) 뒤로 자리잡은 문자들이 바로 그것인데 이것은 훗날 샹폴리옹이 로제타 석을 통해 이집트 상형문자가 표음문자의 기능도 하고있었음을 밝혀낸 힌트가 되기도 했다.

4 문자의 종말

2093092240_dd9f927599.jpg

최후로 새겨진 이집트 상형문자 비문의 모습. 상형문자 자체가 쇠락하던 시기라 그런지 리즈시절에 비하면 글씨도 매우 조잡하고 상태도 별로 좋지 않다. 문구로는 이렇게 쓰여있다.

"로마황제 디오클레타아누스의 치세로부터 110년 (394년 8월 24일), 호루스의 아들 메룰앞에서, 에스멧 아콤 (판독불가) 손에 의해 (판독불가) 에스멧의 아들이자 이시스 여신의 두번째가는 예언자, 영원할지어다. 위대한 신이자 아바톤의 군주 메룰[2]이 말하다."

그림에는 실려있지않지만 아무래도 기록자가 상형문자를 제대로 모르는지 아래에는 민중문자 비문도 있는데, 민중문자로는

"나는 에스멧 아콤이며, 이시스 여신의 기록의 (판독불가) 집의 서기이자, 이시스 여신의 둘째가는 예언자이자 어머니가 에스웨레인 에스멧 하네카테의 아들이다. 나는 이 만둘리스[3]의 조각을 영원히 남기는데, 그는 나에게 언제나 자애로운 얼굴 (판독불가) 이었기 때문이다. 오늘, 오시리스의 탄신일 그의 (판독불가) 봉납축제에서, 110년"

한편 이집트가 그리스의 문화권에 들고, 그리스도교를 받아들이면서 상형문자를 아는 이들의 수는 점차 줄게되었다. 애초부터 정통 글씨체를 읽을 줄 아는 사람들은 신관들밖에 없었던 상황이었고, 민중 문자는 로마 제국 통치기에는 콥트 문자에 밀려 거의 사라진 상황이었다. 더군다나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이교도 사원들을 폐지하기 시작하면서 상형문자를 아는 이집트인은 더더욱 줄게 되었다. 결국 서기 540년에 아스완의 필레섬에 자리잡아있던 최후의 사원인 이시스 신전이 폐쇄되면서 상형문자를 전수해 줄 수 있는 사람은 사라지게 되었다. 이후 불과 100년 후인데도 이슬람 제국이 이 땅을 정복했을 때에 이미 이집트 상형문자는 깡그리 잊혀진 문자가 되어버렸으며, 당대에 이미 상형문자는 악마의 주문이 새겨진 비밀의 문자 취급을 받았다고 한다.(...)

5 기타

여담으로 고대 이집트어로 '안녕하세요!'를 Iwy em hotep(이위 엠 호텝)이라고 한다. 뜻은 "평화 속에서"라는 뜻인데, 이가운데 htp(호텝)은 한 글자로 제단 위에 놓여진 제물(빵)을 본땄다. 또한 고대 이집트어를 계승한 콥트어로는 인사를 'nofri'라고 하는데, 이건 고대 이집트어의 nefer에서 온 단어로 이 단어도 한글자로 표기하는데 시스트럼이라는 신을 위한 제사 때 흔들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 모양에서 가져왔다. 뜻은 '즐겁다' 혹은 '흥겹다'라는 뜻.

hiero_R4.png ← '호텝' 글자의 모습. 아무리 봐도 빵이 아니라 바나나맛우유같은데 참고로 임호텝평화로운 자라는 뜻이다. 근데 미이라를 보면

국내에서 가끔 이집트 관련 행사가 열리면 자기 이름의 이니셜을 상형문자로 그려주는 이벤트가 거의 포함되어 있다.

2009년 10월에 유니코드에 등록되었으며, U+13000 ~ U+1342F 영역으로 무려 1,072자. 물론 한자의 7만여 자나 한글 완성형의 11,172자 앞에서는 명함도 못 내민다 UTF-8로는 한 글자당 4바이트를 잡아먹는다.

음모론자들이나 호사가들은 상형문자 중 일부는 헬리콥터를 의미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1. 모음 a가아니라 아랍어의 '아인' 같은 인두음(자음)발음이다.
  2. 아래의 만둘리스와 동일한 신이다.
  3. 호루스가 누비아식으로 변형된 태양신의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