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항공사관학교(陸軍航空士官學校). 일본 육군 내의 조종장교를 양성하던 사관학교. 일본 내의 약칭은 항사(航士)였다고 한다.
1 개요
항공전력을 보유한 국가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 때까지는 공군이 독립된 군종으로 탄생한 경우는 그렇게 많지 않았다.[1] 일본군의 경우에도 공군은 존재하지 않았고, 육군 소속의 항공대나 해군 소속의 항공대로 불렸다. 그때문에 일본군 육군항공대의 파일럿들은 육군에 속한 육군항공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일본 육군에서 항공병과가 생긴 것은 1925년이었다. 한동안은 일본육군사관학교 본과에서 교육을 했다. 항공병과의 사관생도들은 다른 생도들과 같이 교육을 받았고 졸업 후에 토코로자와육군비행학교(所沢陸軍飛行學校)에서 기본 비행 훈련을 9개월 받은 뒤에 을종교육 4개월을 받고 항공병과장교가 되었다. 당시 일본군에서 조종 병과 출신은 고위 장성에 전무했고 포병과 보병 출신들이 상층부를 이뤘기에 장교단의 화합을 위해 조종병과는 일반 육군과 같이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던 것이 1937년에 법안이 만들어지고 1938년에 독립된 사관학교가 된다. 1941년 쇼와는 학교를 방문하여 수무대(修武台)란 부대 별칭을 내렸다. 당시 일본이 곳곳에서 전쟁을 벌이고 있던 탓에 교육과정이 일률적이지 못 하고 여러 후보생 과정을 동시에 소화했다. 한마디로 개판. 만주국육군군관학교에서 인원을 받기도 했다. 기수는 이전의 육군항공장교 과정을 그대로 인수하였기에 1기부터 세진 않았다. 독립적으로 생도를 받아들여 시작한 것은 50기부터이다.
1945년에 이르면 미군의 폭격과 유류 부족으로 훈련 자체가 거의 힘들어져 만주에서 교육을 한다. 이러다가 태평양 전쟁에서 패전한 후인 1945년 10월에 폐지된다.
2 동문
대한민국 공군의 참모총장 중 초대와 3대를 지낸 김정렬과 8대 박원석이 육군항공사관학교 출신이다.
1937년에야 독립이 된 탓에 육항사 출신의 일본군 장성은 없다. 다만 항공자위대의 항공막료장인 이시카와 간시(石川貫之)가 육항사 50기 출신이다. 뒤를 이어 항공막료장을 지낸 시라카와 모토하루(白川元春)도 육항사 51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