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操縱
다른 사람을 자기 뜻대로 움직이게 하거나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 기계를 운전하는 일. 후자의 경우에는 보통 비행기를 가리킬때가 많다. 자동차는 운전이란 말을 많이 쓰고 선박은 항해나 운항이란 말을 많이 쓴다.
1.1 공군에서
육군의 보병에 해당하는 특기로 공군의 지휘관인 편대장, 대대장, 전대장, 비행단장, 공군기능사령관 등을 두루 거친다. 공군의 장군을 가장 많이 점하는 군사특기로 육군의 보병, 포병, 해군의 항해 특기와 비견할 만하다.
기본적으로 전투기를 조종하는 일을 하게 되며 전투기에서 근무하게 된다. 전세계 공군에서 장성급의 절대다수가 전투조종사 출신이며 중장급 이상에서는 무조건 조종사만 있다. [1]
특기번호 14XX. 파일럿을 양성하는 특기로 공군의 꽃이다. 조종은 공군 전력의 핵심으로, 항공통제 특기와 방공통제 특기와 함께 전투병과로 분류된다. 그 외의 모든 병과를 기지방호전대 및 작전지원전대에 보내버리는 조종 특기의 위엄. 공군사관학교, ROTC, 조종장학생, 학사장교에서 선발된 조종 장교들이 초급, 중급 과정 등 몇 년을 거쳐 100시간 이상의 비행 경력을 쌓은 뒤에야 정식으로 조종 장교가 되며 하다가도 성적이나 신체자격 요건이 안 되면 그라운딩(grounding)되어서 조종 병과에서 다른 병과로 이전(특기 재분류)된다. 계급은 소령인데 해당 병과에 대한 이해도는 소위 수준인 사람들도 있다. 악명 높았던 팬텀후방석(현재는 F-15K 동승조종사)은 중령이상까지 진급할수있다
수송기보다 전투기 조종사가 더 높이 진급한다. 공군에서 별을 다는 이들은 극소수 방공포병 병과와 일부 임기제 직위를 제외하면 전부 전투조종사 출신이다.[2][3] 다만 조종사들이 전역하고 민간항공사에 취업할 경우엔 항공사에서는 전투기 조종사들이 대형 여객기에 적응하는 기간이 필요한지라 금방금방 써먹을 수 있는 수송기 조종사 출신을 선호한다고.[4] 전세계적으로 공군에선 이런 인원 유출을 크게 작게 겪는 편인데[5] 자위대는 공자대와 해자대 출신의 조종사가 전역했을 때 2년 간 항공업계에 취직을 못 하게 막는다.
제2차 세계대전까지만 해도 부사관들이 비행기를 모는 일이 꽤 있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비행기라는 것이 단순한 비행기를 넘어 날아다니는 최첨단 컴퓨터의 수준으로 조종사에게 많은 지식을 요구하게 되면서 즉 뉴타입이 필요해지면서 장교로만 뽑는 식으로 전환됐다고.[6] 사실 조종 스킬의 문제도 있지만 전투기라는게 하나의 무기이기 때문에 발포 등 조종사의 독단 결심이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장교가 하는 것이기도 하다. 육군에 흔한 회전익 조종사가 준위인 것도 같은 이유. 탑승인원을 막론하고 항공기 조종사는 함정의 함장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절대적인 권한이 부여된다. 다만 미 육군 등에선 무인기를 부사관이 운용하기도 한다.
An-2, L-2 등 한국군에서 대항군 등으로 운용하는 특작기도 있는데 이 비행기는 특이하게 장교가 아닌 부사관들이 조종한다[7]. 자세한 부분은 군사 기밀이라 추가 안 바람. 관련 글
조종사 민간 유출을 막기 위해서 중령 이상의 베테랑 조종사들을 전역과 동시에 별정군무원 조종사로 채용하는 방안도 추진중이다. 군인 신분이 아닌 만큼 전투(유인) 임무를 제외한 교육, 시험비행, 정찰, 무인기 운영 등의 임무를 맡게 된다.#
1.2 조종훈련
파일:/image/001/2014/05/22/PYH2014052210060001300 P2 99 20140522165709.jpg
고등비행을 마친 신임조종사들. 2년 정도가 걸리기 때문에 중위로 교육을 수료하게 된다. 그라운딩 비율이 높아 공군사관학교 출신들도 입문비행에 든 사람 중 30% 정도는 그라운딩된다.
약 2년간의 교육을 마치면 빨간 마후라를 받는다.
이를 마치고 나면 전투기입문과정(LIFT·Lead In Fighter Training)이나 작전가능훈련(CRT·Combat Readiness Training) 과정을 거쳐 전투기나 수송기 조종사가 된다. 즉 고등비행을 마친다고 바로 커리어가 시작되는 건 아니다.
1.3 타군에서
육군의 경우 육군항공작전사령부에 헬리콥터를 조종하는 준사관이 있으며 해군도 헬기 모는 항공장교가 있다. 제6항공전단이 해당 부대이다. 가끔 대잠초계기 같은 고정익기 몰 일이 필요한 경우에 공군에 파견하여 조종 교육을 받게 한다.[10] 근데 이건 국방일보에 기사가 날 만큼 잘 안 일어나는 일이라 한국 해군의 조종사는 대부분 헬기라고 봐도 무방하다. 요새는 해군에 고정익도 꽤 생겼다. 공군에 비하면 한없이 적지만...
다만 미합중국 해군의 경우는 전혀 다르다. 항공모함과 그에 붙어다니는 항모전단이 해군력의 주축인 미 해군의 경우는 단순히 해군이 전투기도 날린다 수준을 넘어 세계 2위급의 공군(...)이라 평가받고 미합중국 해병대 역시 항공모함에서 F/A-18을 운용하거나 강습상륙함에서 해리어나 F-35B 같은 VTOL 고정익기를 운용하는 규모가 상당하다. 오히려 항공모함에서 근무하는 해군/해병 파일럿들이 지상에서 근무하는 타군 조종사들(지상근무하는 해군/해병/공군 모두)을 하수로 취급할 정도.
육군의 헬리콥터를 조종하는 항공준사관과 조종 장교. 참고로 이 사진의 주인공들은 장인과 사위, 처남이 모두 헬기 조종사인 집이다. 항공준사관들은 조종에 전념하지만 장교들은 여러 지휘/참모 보직을 두루 거쳐야 하는 특성상 준위들이 비슷한 시기 조종 시작한 장교들보다도 비행 경력이 길기 때문에 헬기는 준위가 정조종사고 계급 상으로는 위인 장교들이 부조종사를 맡는 경우가 꽤 있다.
해군 초계기를 모는 조종 장교. 최초의 해군 초계기 여성 조종사
파일:/image/001/2008/12/28/PYH2008122800690001300 P2.jpg
35년 만에 나온 해병대 헬리콥터 조종 장교. 원래 해병대 항공대는 해군 항공대에 흡수됐는데 그 때문에 해군과 육군에서 위탁 교육을 받았다고 한다. 출처
2 弔鐘
죽은 사람을 추도하여 치는 종. 군인이나 공무원의 경우엔 예포의 일종인 조포를 쏘기도 한다.- ↑ 애시당초 공군의 주 전력이 전투기인데 그 전투기를 지휘하고 작전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위관이나 영관급 장교일때 전투기를 조종해본 경험이 있는 장교를 사령관으로 보임시키는게 정상이다.
- ↑ 물론 미 공군처럼 B-2라던지 크고 아름다운 폭격기를 운용하는 공군에서는 폭격기 조종사도 전투기 조종사에 못지않는 대우를 받으며 미 공군 같은 대규모의 공군에서는 비조종병과(라고는 하지만 이쪽도 대개는 우주사령부 등에서 엄청난 공밀레를 견뎌내고 살아남은 용자들이다)에서도 장군이 심심치 않게 나오긴 한다. 하지만 대한민국 공군의 규모는 결코 크지 않기에...
- ↑ 일단 미 공군도 항공기의 수 자체는 전투기가 훨씬 많기 때문에 전략폭격기 조종사들도 전투기나 수송기 조종 보직을 오가기도 한다. 그리고, 미 공군의 전략폭격기 조종사라는게 잘못하면 인류멸망의 도화선이 될 핵무기를 운용하는 무지막지한 보직이라서 이 쪽 조종사들은 전투기 조종사들과는 좀 다른 이유로 강도 높은 교육과 정신적인 압박을 받는데 이를 견디지 못하고 다른 기종으로 전환하거나 아예 이직하기도 한다.
- ↑ 동기생 대비 계기비행 시간이 넘사벽이다.
- ↑ 독일은 예외적으로 독일 공군 출신들을 채용하지 않는다. 나치 시절의 과오 때문에 군적인 분위기를 풍길 수 있는 제대군인을 피하는 것인지 아니면 민간자원을 중시하는 것인지는 불명. 다만 조종사 출신 기장과 부기장이 군 시절의 버릇을 고집하다 사고로 이어진 사례 등에서 보이듯이 군 출신을 일부러 걸러내는 것도 나름대로 이해 못할 것은 아니다.
- ↑ 미 육군 항공대의 헨리 아놀드 원수가 이를 강력히 주장했다.
- ↑ 이들은 공군에서 조종사로 분류되지 않을 뿐더러 비행로그를 증명 해 주지도 않는다.
- ↑ 운항과 출신들은 바로 여기로 입과한다.
- ↑ 운항과 출신들은 90% 정도가 합격하고 공사는 70%, 군장학생은 30% 수준이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 ↑ 다만 해군 자체의 교육대대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