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웹코믹

틀:국가별 만화

日本ウェブコミック

41TX93SHTKL._AC_UL320_SR228,320_.jpg
51hbr7AQ5tL._AC_UL320_SR224,320_.jpg
[1]

1 개요

이 항목은 일본웹코믹에 대해 다룬다.

일본의 웹코믹은 주로 커뮤니티 사이트나 홈페이지(전문 투고 사이트, 온라인 연재처 등), 개인 블로그 등에 게재된다. 그리고 대한민국 웹툰과 같은 '스크롤 형식'보다는 일반적인 서적처럼 페이지를 열람하는 형식이 주류이다. 일부 작품은 애니메이션 같은 동적인 요소를 넣는 등의 차별화를 추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니코니코정화/만화에서처럼 어도비 플래시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만화가 재생되는 포맷도 있다.

대부분의 웹코믹은 무료로 열람이 가능하나, 유료 서비스를 시행하는 곳도 있다. 이미 오프라인에서 연재 종료된 만화(특히 절판된 만화)를 웹에서 다시 서비스하는 경우도 있다.

2 일본 웹코믹의 발전

일본은 기존의 출판만화가 만화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에 컸기에, 인터넷 포털에서 웹코믹 서비스를 개시할 생각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웹툰 시장에서는 1990년대의 대세였던 잡지만화가 쇠락한 후 인터넷 포털에서 웹툰 서비스를 빠르게 갖춰 점점 시스템을 갖춰가고 있었는데, 일본의 웹코믹은 그렇지 않았다. 예를 들면, 야후 코리아에서 웹툰 서비스를 런칭했을 때 야후 재팬에서는 웹코믹 서비스를 따로 런칭하지 않았다.

그런데 그런 일본 인터넷 포털의 움직임과는 별개로 누구나 손쉽게 웹코믹을 그려 인터넷에 공개할 수 있는 환경이 일본 인터넷 곳곳에 조성되어 있었고, 아마추어 작가들이 웹코믹 형태로 만화를 그려 사람들에게 작품을 알리는 것이 어렵지 않았다. 그리하여 2000년대부터 다양한 웹코믹이 일본의 인터넷에 게재되었다.

그런데도 일본의 웹코믹이 일찍부터 흥할 수 없었던 이유는 크게 다음과 같은 측면이 있다.

  • 초기 웹코믹 중 대부분이 아마추어적인 작품이었기 때문에, 좋은 작품을 찾기가 상대적으로 힘들었다.
  • 잡지만화(출판만화)의 입지가 이미 확고했다. 기존에 축적되어 있던 잡지만화의 노하우가 상당히 많았기에, 많은 웹코믹 서비스들은 기존 출판만화를 그대로 컨버전하는 형태로 제공되었다.[2]
  • 모바일 만화시장이 일찍부터 활성화되었기는 했지만, 매니악한 장르가 많았기 때문에 주요 만화잡지에서 연재되는 만화들을 대체하기에 무리가 많았다.

일본에서는 만화잡지의 판매 부수가 매년 줄어드는 상황 속에서도 웹코믹이 잡지 만화를 뛰어넘기란 힘들 거라고 예측되고 있었다. 그러나 2014년을 기점으로 코미코망가 박스가 일본 만화업계에 파란을 불러일으키면서부터는 사정이 달라졌다.[3] 심지어 청소년층 사이에서는 코미코가 소년 점프를 뛰어넘는다는 동향까지 나올 정도였다. 소년 점프에서도 디지털 만화 앱을 따로 마련해 둔 것은 그런 위기감을 느껴서일 거라는 의견도 있다.

한국 만화계에서 2000년대 초중반에 일어난 변화가 일본 만화계에서 뒤늦게서야 일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상황인데, 이것을 역으로 얘기하자면 그만큼 일본의 기성 잡지만화업계 시스템의 기반이 한국이나 대만에 비해서 탄탄했기 때문이다. 한국과 대만에서는 만화산업의 기반 자체가 약했기 때문에 만화잡지-단행본 시스템이 빠르게 허물어진 데 반해서, 비슷한 시기에 인터넷이 보급된 일본은 만화잡지 판매 부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기는 했지만 그래도 상당수 만화잡지의 판매 부수가 함꺼번에 무너지지 않고 일정수준은 유지했기에 인터넷의 파고에도 20년 가까이 버틸 수 있었던 것.

3 투고 사이트

대표적으로 망가★겟(マンガ★ゲット)과 같은 사이트가 있다. 현재 일본에서 제일 거대한 웹코믹 투고사이트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도 회원제로 운영되는 픽시브, 니코니코 정화같은 사이트가 존재한다. 2010년대 이후에는 망가박스(マ ンガボックス) 인디즈 같은 애플리케이션도 서비스하기 시작했다.

좀 더 자세한 목록은 일본어 위키백과 웹코믹 서비스 사이트 목록 참고

4 일본 웹코믹 목록

4.1 2차 창작 웹코믹

  1. 현재는 상업 만화지만 WORKING!!은 본래 웹코믹으로 시작한 작품이었다. 2005년부터 영 간간에서 연재하기 시작하면서 오프라인으로 전환되었다.
  2. 현재도 망가 박스가 이런 형식을 이어받고 있다.
  3. 물론 이전에도 뒷면 선데이나 간간 온라인같은 사이트가 있었지만 아무래도 인지도 면에서 밀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