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른 다면체 | |||||||
정다면체 | 준정다면체 | 반정다면체 | |||||
볼록 정다면체 | 오목 정다면체 | 오목 준정다면체 |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 각기둥 | 엇각기둥 | 오목 반정다면체 |
고르지 않은 다면체 | |||||||
존슨 다면체 | 카탈랑 다면체 | 다각뿔 | 쌍각뿔 | 엇쌍다각뿔 |
정다면체 | ||||
플라톤 다면체 볼록 정다면체 | 케플러-푸앵소 다면체 오목 정다면체 | |||
정사면체 | 정육면체, 정팔면체 |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 | 작은 별모양 십이면체, 큰 십이면체 | 큰 별모양 십이면체, 큰 이십면체 |
1 개요
正多面體/Regular Polyhedron
흔히 플라톤의 다면체라고 말하는 볼록 정다면체 5종과 일상적으로는 정다면체라고 부르지 않는 오목 정다면체 4종까지 일컫는 말. [1] 예로부터 정다면체는 다섯 가지만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었는데, 케플러는 이 정의에서 사용하는 면을 오목정다각형까지 확장시켰고, 두 개를 정다면체의 개념에 추가하였다. 이후 푸앵소는 이 정의에서 한 꼭지점에서 만나는 면의 개수를 분수번까지 확장시켜 케플러가 만든 다면체의 쌍대에 해당하는 두 개의 다면체를 찾아내었다.
주사위에서는 공평함을 위해 정다면체를 쓰는 일이 많다. 반정다면체의 쌍대다면체인 카탈랑 다면체 등도 공평한 주사위로 쓸 수 있으나, 드문 편이다.
2 볼록 정다면체
볼록 정다면체에는 오로지 다섯 가지 정다면체(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만 존재한다.
3 성질
오로지 다섯 개의 볼록 정다면체만 존재한다는 것은 다음과 같이 매우 간단하게 증명할 수 있다.
- 다면체에서 최소한 세 개의 면이 있어야 하나의 꼭짓점이 만들어진다.
- 각 꼭지각의 합은 360보다 작아야 한다.
- 다면체를 구성하는 면은 모두 합동이므로 각 꼭지각의 크기는 같다. 한편, 이런 꼭지각이 최소 세 개로 구성되므로 모든 꼭지각의 크기는 360°÷3=120° 보다 작아야 한다.
- 내각의 크기가 120°보다 작은 정다각형은 정삼각형 · 정사각형 · 정오각형 뿐이다.
- 정삼각형: 내각의 크기가 60°이므로, 하나의 꼭짓점에 모일 수 있는 삼각형면의 개수는 3개 · 4개 · 5개이다. 이것은 각각 정사면체 · 정팔면체 · 정이십면체에 해당한다.
- 정사각형: 내각의 크기가 90°이므로, 하나의 꼭짓점에 모일 수 있는 사각형면의 개수는 3개이다. 이것은 정육면체에 해당한다.
- 정오각형: 내각의 크기가 108°이므로, 하나의 꼭짓점에 모일 수 있는 오각형면의 개수는 3개이다. 이것은 정십이면체에 해당한다.
4 오목 정다면체
오목 정다면체에는 네 가지 다면체(작은 별모양 십이면체, 큰 십이면체, 큰 별모양 십이면체, 큰 이십면체)가 존재한다.
5 선과 점의 개수
아래에서 모든 볼록 정다면체의 [math]V-E+F=\,[/math][math]2[/math]가 나온다.
이를 오일러 지표라고 하는데, 모든 볼록 다면체에 대해 성립한다.
오목 다면체는 오일러 지표가 제멋대로이다.
정다면체 | 꼭지점의 개수(V) | 모서리의 개수(E) | 면의 개수(F) | V-E+F |
정사면체 | 4 | 6 | 4 | 2 |
정육면체 | 8 | 12 | 6 | 2 |
정팔면체 | 6 | 12 | 8 | 2 |
정십이면체 | 20 | 30 | 12 | 2 |
정이십면체 | 12 | 30 | 20 | 2 |
작은 별모양 십이면체 | 12 | 30 | 12 | -6 |
큰 십이면체 | 12 | 30 | 12 | -6 |
큰 별모양 십이면체 | 20 | 30 | 12 | 2 |
큰 이십면체 | 12 | 30 | 20 | 2 |
- ↑ 여기에서 의미를 더 확장시켜 모든 면이 같은 종류의 정다각형인 평면 타일링 3종(각각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정규 테셀레이션)까지 포함하기도 하나, 이렇게 정의하는 경우는 정말로 드물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포함시키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