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제갈근/기타 창작물, 삼국전투기/등장인물
목차
1 개요
최훈 작가의 작품 삼국전투기에서 등장한 제갈근을 서술하는 문서.
곰돌이 푸에서 등장하는 당나귀 캐릭터 이요르로 패러디되어 등장했다. 외모를 고려한 패러디인듯.
2 작중 행적
2.1 적벽 대전
오랜만에 재회하는 제갈양과 만나자마자 처음 속한 새 직장이 어떠냐느니 연봉은 잘 나오냐느니 걱정하면서 왜 사서 고생하냐고 말을 한다. 하지만 직후 주유가 등장하면서 공기화된다(...)
합비 전투에서 장료의 지원군이 도착하자 퇴군을 제안하지만 태사자가 합비를 점령할 계획을 내놓고 손권이 태사자의 의견을 따르며 퇴군제안을 거절당한다.
2.2 유수구 전투
유비가 익주로 들어갔다는 사실을 손권에게 보고하면서 손부인이 돌아오길 바란다는 이야기를 손권에게 전하자 손권이 거절하려하지만 이를 두고 기회라고 말하면서 유비의 아들 유선을 납치하자고 제안한다.
감택, 엄준과 함께 손권에게 조조의 남하루트를 설명한다.
2.3 환 전투
유비가 일부를 먹었다는 소식을 노숙에게 전해들은 손권이 빡돌아 유비에게 형주를 돌려받아야겠다며 사신으로 제갈근을 관우에게 보낸다.
관우에게 형주를 돌려달라고 요구하자 형주를 자신들의 힘으로 점령했다고 거절하는 관우에게 이릉과 강릉을 점령한 것은 자신들이라고 말한다. 이에 관우가 무시하려하자 강릉과 이릉을 자신들이 갖고 형남 4군은 유비군이 소유하는 것으로 절충안을 내놓지만 관우에게 거절당하고 쫓겨난다.
2.4 이릉 대전
관우가 죽은 일로 분노하여 동진하는 유비에게 화해 사신으로 찾아가지만 거절당한다.
유비군에게 속수무책으로 당하자 다급해진 손권의 명을 무창에 있는 육손을 불러온다.
2.5 삼로 전투
반장과 함께 강릉 방면으로 남하하는 위군을 저지하는 역할을 맡는다.
주연이 지키는 강릉이 위군에게 포위되자 도하하여 강릉의 포위를 뚫으려하지만 하후상의 기습으로 패퇴한다.
패퇴한 후 본진으로 돌아오면서 반장의 조롱에 가까운 훈계와 무시를 받고 발끈한다.
하후상이 부교를 만들고 쳐들어온다는 소식을 듣고 부교를 건너오는 위군을 습격해야한다고 주장하지만 반장이 이를 무시하고 하후상의 부대가 부교를 모두 건넌 뒤 뗏목에 인화구를 통해 화공을 시도하여 부교를 불태울 계획을 실행한다. 이에 하후상은 군을 이끌고 퇴군한다.
석양 전투 파트에서 손권의 지시에 따라 양양을 공격하지만 서황에게 털린다.
2.6 작피 전투
오장원 전투 파트에서 손권이 만총에게 패퇴하자 문빙과 대치중인 육손에게 찾아가 손권의 패퇴소식을 전한다.
아들 제갈각이 본격적으로 등장할 때, 몇몇 에피소드에 엮여 등장한다.
작피에서 전투를 치루는 것을 제안하는 전종의 의견을 듣고 작피가 사방에서 공격을 받을 수 있는 평야라는 이유로 반대하지만 전종이 강력히 추진하면서 전종의 의견이 반영된다.
주연과 함께 위군의 시선을 분산시키기 위해 조중으로 진격한다는 언급이 나오는데, 작피 전투가 끝나고 공기화 된 것을 항의하자 하지만 사마의가 출동한다면 어떨까?라는 작가의 말과 함께 사마의가 출격하면서 박살났다고 한다.
2.7 최후
제갈각에게 나대지 말라는 의미심장한 유언을 남기며 최후를 맞이한다.
삼국전투기에서 제갈근이 병사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고옹이 따라 사망처리되며 뭔가 험한 꼴 당하기 전에 탈출하는 기분 안 들어요?라는 대사를 하는데, 이것은 고옹뿐 아니라 반준, 제갈근, 감택에게도 적용된다(...)
3 작중 묘사
작가의 소개컷을 통한 평으로는 문무 양쪽에 재능이 있으며 주연과 함께 훌륭한 콤비였다고 언급되나...
3.1 실체
실상은 삼국전투기 최고의 피해자라 꼽힐 캐릭터이다.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왜곡의 정도가 심하다. 모범적인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서의 활동한 제갈근의 행적이 작품에서는 부각되기 힘들긴 하지만 여러가지 편견을 덧붙여서 제갈근을 무능한 인물로 만들어 버렸다. 현실에서는 제갈량과 제갈근을 용과 호랑이에 비유한 것을 생각해보자. 연의에서 전투력이 묘사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그 외의 부분에서도 무슨 영문인지 알기 어려울 정도로 깎아내린다. 게다가 문무 양쪽에 재능이 있다고 적어놓고서 실상은 반장을 띄워주기 위한 무능한 상사로 묘사했다.
더군다나 반장과 내기에서 지자 앙심을 품고 손권에게 반장을 천거하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장면을 넣으며 성격도 쪼잔하게 표현하였다. 작가가 아예 반장과 라이벌 기믹을 만들 생각인지 계속 반장과 비교하면서 무능하다고 까고, 석양 전투편에서는 서황과 일전을 벌이는 전투에 반장이 아니라 제갈근이 투입되어 패한 것처럼 묘사하였다.[1] 상대가 사마의+서황이라는 괴랄한 조합인데 반장이 갔다고 크게 달라졌을지는 의문인 기록을 언급하면서까지 제갈근을 까는 것는 이해하기 힘든 묘사다.
물론 반장이 우수한 무장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반장보다 무능한 꼰대처럼 묘사되는 제갈근은 222년에 이미 좌장군이라는 직책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반장은 그보다 늦은 230년 전후로 우장군에 간신히 오른다.[2] 작품에서와는 다르게 실제로 반장은 제갈근이 까라면 찍소리 못하고 까야 할 정도로, 제갈근은 문무 양쪽으로 오나라 전성기를 지탱했던 걸물이자 충신 중의 하나였다.
이요르 자체가 코믹한 캐릭터에 속하는지라 유능하게 그려주면 조금 괴리감이 느껴지는 문제점은 있겠지만[3] 작가가 제갈근을 개그캐릭터로 활용했냐하면 그것도 아니다. 여러 병크를 터트린 인물이나 개그캐릭터 기믹의 인물들은 유쾌하게 묘사되는 편이라 "캐릭터적" 측면에서는 병크짓도 나름의 매력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나 제갈근은 그런 거 없고. 그냥 진지 빠는데 무능한 캐릭터처럼 묘사한다.
거기다 후에 아들 제갈각이 등장할 때 아들인 제갈각보다 능력이 떨어진다고 표현하는데, 정작 역사학자들에게서든 당대 경험자들이든, 현실의 사회에서는 제갈근이 제갈각보다 훨씬 높은 평가를 듣고 있으니 오해 말자.
4 게임
손권군 카드로 등장.
소속 | 손권군 |
스텟 | |
무력 | 84 |
활력 | 97 |
맷집 | 97 |
스킬 | |
공격시 56% 확률로 아군 1명의 체력 회복 | 공격시 48% 확률로 적 전체의 버프 제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