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사자(삼국전투기)

파일:태사자 삼국전투기.png

1 개요

최훈 작가의 작품 삼국전투기에서 등장한 태사자를 서술하는 문서.
최훈 작가 작품의 구보씨로 등장. 순한 인상속에 무시무시한 전투력이라는 외유내강형 인물로 묘사된다. 무기는 암살검을 주로 사용하고 활도 가끔 사용한다.

2 작중 행적

2.1 초반부

download.blog?fhandle=YmxvZzI3OTUwQGZzMi50aXN0b3J5LmNvbTovYXR0YWNoLzk5Lzk5MjkuanBn&filename=ctt9929.jpg
북해전투에서 첫 등장시 부하 과정과 함께 공융을 돕기위해 황건적의 적진을 뚫을 계획을 세운다. 후에 등장할 주태를 위해 가츠드래곤 슬레이어를 잠시 보여주지만 무겁다고 버리고 팬티를 벗어 머리에 쓴 뒤(...) 황건적들을 속이고 공융의 성에 잠입하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공융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유비에게 구원요청을 해달라고 하자 다시 적진을 뚫고 나가야 하는 상황에 봉착하는데, 이때 캐치볼[1]만천과해를 보여주며 적진을 뚫고 유비에게 구원요청을 하여 관우, 장비와 함께 황건적을 섬멸하며, 관우와 콤비네이션으로 관해의 목숨을 끊는다. 웃긴 것은 관해의 최후는 정사에는 설명이 없고, 연의에는 관우 손에 죽는데 여기서는 태사자가 스틸했다.

전투가 끝났으나 태사자의 공보다 유비의 공을 더 치켜세워주는 공융을 보고 유요에게 가기로 결정한다. 이 때 관우와 장비의 권유로 이별주를 함께 하고 떠난다.

2.2 곡아 전투

북해 전투가 끝나고 유요에게 찾아가 몸담게 되고 상금과 황개와 함께 언덕 위에 서있던 손책과 대면한다.

download.blog?fhandle=YmxvZzI3OTUwQGZzMi50aXN0b3J5LmNvbTovYXR0YWNoLzEwMy8xMDMzMS5qcGc%3D?filename=download.jpg
손책을 지키기 위해 달려든 송겸과 황개를 동시에 제압한 뒤 곧바로 손책과 일기토를 벌이며 서로 크로스 카운터를 날리며 무승부로 끝낸 뒤 유요에게 돌아간다.

곡아전투에서 정보와 황개의 부대를 상대로 선전하지만 유요의 패배를 막지 못하고 유요가 패한 뒤 서번트인 과정과 단 둘이 저항하지만 장흠, 주태, 송겸 등에게 둘러 쌓인 뒤 손책에게 포로로 잡힌다. 손책의 귀부 제안과 유요의 잔당포섭 제안을 받자 단신으로 보내준다면 수락하겠다고 답한 뒤 손책이 승낙하자 약속을 지킨다.

2.3 오정 전투 ~ 환 전투

오정 전투에서 엄여를 상대로 눈을 가리고 싸우는 기행을 벌임에도 승리를 거두고 농성하는 엄백호를 향해 활을 쏴 엄백호의 손을 맞추는 모습을 보인다.

강동이 평정된 뒤 형주방면에서 유반을 제압하고 화흠을 회유하지만 상료에서 종교집단에게 막히지만 주유의 계략에 의해 힘 안들이고 유해를 협박해 상료를 차지한다.

2.4 합비 전투

제 1차 합비전투에서 장료에 의해 손권이 사로잡히자 장료를 향해 화살을 쏴 장료의 시선을 분산시켜 주태가 손권을 구출할 틈을 만든 뒤 손권의 안전을 확인하고 장료와 일기토를 벌인 뒤 장료와 이해관계에 따라 일기토를 멈춘다.

제갈근이 손권에게 후퇴를 제안하자 이에 반대하여 자신의 서번트 과정을 합비 내부에 잠입시켜 혼란을 일으키고 외부에서 습격하여 합비를 함락시키는 계책을 제안하고 실행한다. 허나 이를 역이용한 장료에 의해 화살들을 맞고 "대장부로 태어나 7척 검을 지니고 천자의 계단에 올라야하거늘... 아직 그 뜻을 이루지 못했는데 내 어찌 죽는단 말인가!?"라고 외치며 죽는다.

3 작중 묘사

손책군의 에이스[2]

조조군 가운데서 유일하게 최훈 오리지널 캐릭터가 장료였다면, 오군에서 최훈 오리지널 캐릭터는 태사자이다.

관우의 도움을 받았지만, 관해를 한 칼에 죽이고 송겸과 황개의 공격을 피한 뒤 한꺼번에 제압하였으며, 손책과의 실제 일기토는 물론이고 장료와 호각으로 맞붙을 정도로 무력이 부각된다.
더불어 만천과해의 사례를 보여준 태사자의 머리가 비상하다고 평하고 있으며 활 쏘는 실력은 단연 최고라고 추켜세운다.

합비전투에서 사망하는 것은 정사가 아니라 연의를 따라갔는데, 정사를 따라갔다면 남부지역에서 유반이나 산월과 대립하다가, 풍토병에 걸려서 병사하기 때문이다. 이건 정사에는 충실할지 몰라도, 맨 오브 라만차의 'Impossible dream'까지 인용했던 태사자의 최후묘사라기에는 정말 심심해질 수 밖에 없다.

4 게임

손권군 카드와 원술군 카드가 등장.

4.1 7성 손권군

소속손권군
스텟
무력90
활력96
맷집96
총합282
스킬
전투 시작시 56% 확률로 적 전체에게 수면 부여피격시 56% 확률로 적 전체에게 중독 피해

4.2 7성 원술군

소속원술군
스텟
무력95
활력97
맷집95
총합287
스킬
공격시 56% 확률로 공격 대상을 2번 공격피격시 20% 확률로 회피

4.3 7성 각성 원술군

소속원술군
스텟
무력98
활력100
맷집98
총합296
스킬
피격시 50% 확률로 회피공격시 70% 확률로 적 전체에게 화상 피해
부가효과군단 별생성율 6% 상승

4.4 8성 손권군

소속손권군
스텟
무력121
활력125
맷집125
총합371
스킬
전투 시작시 58% 확률로 적 전체에게 수면 부여피격시 60% 확률로 적 전체에게 중독 피해

4.5 8성 원술군

소속원술군
스텟
무력122
활력126
맷집121
총합369
스킬
공격시 60% 확률로 공격 대상을 2번 공격피격시 35% 확률로 회피

4.6 8성 각성 원술군

소속원술군
스텟
무력129
활력130
맷집129
총합388
스킬
피격시 50% 확률로 회피공격시 80% 확률로 적 전체에게 화상 피해
부가효과군단 별생성율 7% 상승

5 여담

단행본에서는 활약에 비해 높은 인기를 '이름이 멋져서(...)' 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최훈은 남긴 실적과 공에 비해서 태사자가 네임벨류가 있는 이유는 바로 이름 때문이라고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1. 원래는 활쏘기였으나, 작가가 야구 덕후인지라 캐치볼로 각색한 것
  2. 손책이 죽은 뒤 손권이 지도자로 있는 시점에는 감녕이나 여몽 등이 부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