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규

陳珪
생몰년도 미상

1 개요

후한 말의 명사로 진등의 아버지. 자는 한유(漢瑜). 회포 사람.

서주의 패상(沛相)이며 아들 진등과 마찬가지로 도겸, 유비, 여포, 조조 휘하에서 지냈다.

2 정사

어려서부터 명문이었던 관계로 원술과 친했다. 패국의 집정관으로 있을 때 같이 천하를 도모하자는 원술의 청을 받았으나 거절하고 민심이 조조에게 쏠려 있다고 충고했다. 하지만 원술은 그런 거 없이 친구의 충고를 넘겨짚고는 스스로 황제라 참칭했다.

여포와 원술이 혼인으로 동맹을 맺으려고 할 때 진규는 이 일로 한실의 혼란이 더해질 것을 염려하였고 여포에게 가서 다음과 같이 설득했다.

조공(조조)이 천자를 봉영(奉迎)해 국정을 보좌하고 그 위령(威靈)을 세상에 드날리고 장차 사해를 정벌할 것이니, 장군께서는 의당 그와 함께 힘을 모아 계책을 세워 태산 같은 안녕을 도모해야 합니다. 지금 원술과 혼인을 맺으면 천하에 불의(不義)의 이름을 덮어쓰게 되니 필시 누란지위가 있을 것입니다.

여포는 또한 원술이 예전에 자신을 받아들이지 않은 일에 원망을 품고 있었으므로 딸에게 돌아오게 하고선 혼인을 끊고, 원술군의 사자 한윤을 묶어 조조에게 보내니 한윤은 허도의 저자거리에서 효수되었다.

진규는 아들인 진등을 조조에게 사자로 보내고자 했으나 여포는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마침 사자가 당도해 여포를 좌장군에 임명하자, 기분이 좋아진 여포는 진등이 사자로 가는 것을 들어주었다. 사자로 간 진등에게 조조는 진규의 관질(官秩)을 2천석으로 올리고 진등에게 광릉태수의 벼슬을 내리고선 조조군에게 내응하도록 했다.

정략결혼이 파기당해서 화난 원술은 한섬, 양봉(楊奉) 등과 세력을 연결하고 대장 장훈을 보내 여포를 공격했다. 여포가 진규에게 당신때문에 원술군이 쳐들어왔다고 계책을 묻자 진규가 말했다.

한섬, 양봉과 원술은 졸지에 합해진 군사일 뿐입니다. 책모(策謀)가 평소에 정해져 있던 것도 아니니 능히 서로 유지할 수 없습니다. 제 아들인 진등이 이미 이를 헤아렸으니, 비유하자면 닭들이 서로 연결한 것으로 함께 둥지를 틀지 못하니 가히 뿔뿔이 흩어질 것입니다.

여포가 이를 따라 한섬과 양봉에게 서신을 보내 그들을 회유하자 한섬과 양봉은 이에 응하고 장훈을 대파한다.

이후 정사에서의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3 연의

여포의 딸과 원술의 아들이 혼인하여 두 세력이 동맹을 맺는다는 이야기를 듣자 유비가 위험하다고 생각하여 병든 몸을 이끌고 여포를 방문했다. 여포가 진규를 맞이하자 그는 "저승으로 가는 것을 축하드립니다."라며 천연덕스럽게 말한다.

여포가 그 이유를 묻자 진규가 다음과 같이 답한다.

원술은 황제를 참칭한다고 했는데, 장군께서 그의 편에 붙으신다면 후세에 역적을 도왔다는 오명을 쓰게 될 것입니다. 또한 장군께서 남을 정벌하실 때 그의 군사와 군량을 쓰게 될 것이니, 적들은 장군도 역적이라 판단하여 사방에서 공격할 것이니 지쳐 죽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데 어찌하여 스스로를 죽음으로 이끄십니까? 그러니 한윤(원술이 보낸 사신)을 조조에게 보내 환심을 사는 것이 상책입니다.

여포는 진규의 말에 따라 딸을 돌아오게 하고 한윤을 잡아다가 조조에게 보낸다.

도중에 여포의 아내 엄씨의 설득 때문에 여포가 마음이 흔들리고, 장비의 말도둑질(…)[1]이 발생했지만 결과적으로 여포와 원술의 혼인 동맹은 실패했다.

이후 여포를 설득하여 조조와 합류하게끔 했고, 이 과정에서 조조와 만나게 된다. 조조는 그들 부자를 눈여겨보고 "굴갱대호(堀坑大虎)를 할 계획을 세우고 있소. 그리고 호랑이는 바로 여포요."라며 언질을 준다. 이 대목을 자세히 생각하면, 원술은 이미 망했다고 확정이 된 셈이다.

여포는 이후 정사처럼 한섬, 양봉을 회유하여 원술군을 격파했고 여포는 그 둘을 자신의 부하로 삼으려 하는데, 이 때 진규가 나서서 "둘을 산동[2]으로 보내면 조만간 그 일대도 장군의 땅이 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여포는 그 말이 듣기도 좋고 한섬과 양봉을 설득했던 진등의 아비가 하는 말인지라 수긍했고, 둘을 산동으로 보낸다. 나중에 진등은 아버지 진규에게 "왜 그들을 여포의 부하로 두고 나중에 반란을 일으킬 사람으로 쓰지 않았습니까?"라고 묻자 진규는 "그들은 출신이 천하기 때문에 우리 편에 붙기보단 여포에게 아첨을 하려 들 것이다. 그렇게 여포의 앞잡이가 된다면 되려 손해가 아니겠느냐?"라고 대답했고 진등은 아버지의 헤아림에 탄복했다고 한다.

여포가 죽은 후, 조조가 차주에게 밀명을 내려 유비를 죽이라고 시켰을 때 차주는 비책을 진등에게 묻는다. 진등은 대충 둘러댄 후 아버지 진규에게 물어온다. 진규는 예전부터 쭉 유비 편이었기에 아들더러 유비에게 사실을 알려주라고 시킨다.

그러나 차주가 죽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조조가 침입해오고 유비 삼형제는 물론 유비의 세력 모두가 뿔뿔이 흩어지는 참사가 벌어진다. 진규와 진등은 서주성을 지키고 있다가 조조가 무혈입성하는 것을 돕는다. 조조는 유비를 도왔다가 자신을 돕는 진규 부자가 못마땅했지만, 민심 수습이 우선인지라 그들더러 서주성을 관리하라고 시킨다. 이 과정에서 진등은 하비성을 지키는 관우에 대해 여러가지 정세를 알려주지만, 하비성과 관우를 어떻게 무너뜨릴 것인지에 대해선 절대 얘기하지 않았다.

이후 진규와 진등은 쭉 조조의 밑에서 벼슬을 하며 생활하게 되며, 이후 등장하지 않는다.

4 미디어 믹스

삼국지 12,13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아들인 진등보다 통솔, 무력 등이 낮은 관계로, 총합 능력치는 떨어진다.

삼국지 3에서는 군사가 되면 참 좋았을 것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아까운 능력치를 갖고 있다. 육지 30/수지 11/무력 36/지력 68/정치 77/매력 79에 야망 1/운 8/냉정 15/용맹 0인데 중요한건 제갈량도 달성하지 못한 냉정 15를 이 녀석이 달고 있기 때문에 군사가 되지 못한게 아까운 것이다. 냉정 15라면 어떠한 계략에도 안걸리고 자신이 쓰는 계략은 거의 걸린다고 봐도 될 정도로 계략본좌가 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냉정이 15인 대신 용맹이 0. 일기토하면 무조건 죽는다 초선빼면 무력 꼴찌라는 조식과 일기토를 떠도 승리를 장담할 수가 없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1/무력 5/지력 82/정치 80. 도겸군에서 지력이 가장 높다. 파괴, 혼란, 덫, 배반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6/무력 5/지력 83/정치 79/매력 71에 군사 특기를 가지고 있지만 통솔이 16밖에 안 돼서 전투에서 쓰기가 곤란하다. 도겸군 최고의 지력을 가지고 있으니 아쉬운대로 참모로 쓰거나, 상업 셔틀로 쓰기 좋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5/무력 4/지력 82/정치 77/매력 76에 특기로 언독을 갖고 있다. 비교적 높은 지력에 언독 특기를 갖고 있어 도겸군에서는 에이스로 활약한다.

삼국지 12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0/무력 4/지력 82/정치 77에 상재, 명사, 인맥, 변설 특기를 소유하고 있다. 전법은 전법봉인으로 좋은 전법이기는 하나 저질 통솔과 무력 때문에 전장에 나갈 일은 거의 없겠지만, 내정에서는 어디에 넣어도 밥값을 한다. 시장이거나 외교관이거나 하는 경우가 많다.

삼국에서도 등장한다. 한국 더빙판 성우는 김소형. 여기서 진규는 난데없이 배신의 특기인 간신배로 묘사된다. 원술 정벌 전후 부터 조조와 내통한 것으로 보인다. 진궁은 도겸 때부터 원소와 내통한 전력이 있는 간신배라고 대차게 깠다. 하지만 여포는 저리 겸손하니 아첨을 잘하니 충신, 호인이라고 두둔하기만 한다.(...) 결국 진궁의 예언이 적중해 여포의 뒷통수를 크게 때린다.

삼국지 가후전에서는 가후, 희지재와 같은 염충의 제자로, 강족을 내세운 염충의 반군을 토벌하기 위해서 도겸의 군사로 등장한다.

삼국전투기에서는 호머 심슨으로 등장. 광기 전투(2)에서는 이미 죽어있는 관계로 영정으로 등장하는데, 진등이 영정 앞에 놓인 도넛을 집어들자 아쉬워하는 듯한 표정을 짓는다(!)

인기가 많은 캐릭터인 여포와 진궁, 그중에서도 특히 진궁과 척을 지는 캐릭터로 등장하며, 진궁이 여포에게 좋은 계책을 들려주면 여포를 혀로 현혹시켜 진궁의 계책을 쓸모없게 만들어, 보는 이를 화나게 하는 캐릭터이다(..) 특히 아들 진등이 그렇다.
  1. 연의의 서술일 뿐 진짜 말도둑질은 아니었다. 장비 지못미.
  2. 북해군 일대로 추정된다. 당시에는 청주로 조조의 세력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