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대성(한백무림서)

1 개요

무협소설한백무림서의 등장인물. 3부 천잠비룡포에 등장한다. 신마맹 소속이며 이름 그대로 제천대성의 가면을 쓰고 있는 인물. 기본적으로 요마련 소속이지만 제천대성이 천신으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어서 신화회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신마맹에서도 손꼽히는 강자이며, 소연신위타천, 염라마신과 같은 범주 내에서 언급할 정도로 강하다. 진천과도 싸워볼만한 자들 중 한 명이고 순수한 무공으론 신마맹주를 능가한다고 한다.[1] 팔황측에서 십익에 대응시킬만한 젊은 고수 중 한 명이며, 나이는 태자후보다 좀 어린 편. 천잠비룡포 시점에선 제천대성 가면을 물려받은 지 얼마 되지 않은 모양이다.[2]

성격은 이중인격자 소굴에 이상한 사람이 많은 신마맹에서도 단연 손꼽히는 문제 덩어리(...) 설화와 경극에서처럼 싸움을 좋아하고 유쾌한 성격이지만 변덕이 심하고 제멋대로여서 제어 불능, 최악의 가면이라고 불리는 모양이다.[3] 다만 저 성격 역시 가면에 의한 이중인격일 가능성이 높다.

2 무공 및 술법

주무기는 당연히 여의금고봉. 실제로 봉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봉끝에서 유형화된 진기가 뻗어나와 적을 타격, 실제로 봉이 늘어나는 것이나 다름없는 무공을 구사한다. 뇌신 상태인 단운룡을 내공으로 압도하고 음속 상태의 단운룡을 가볍게 상대하는 초절정고수.

신마맹 소속답게 이능도 물론 보유하고 있다. 이랑진군과는 반대로 기척을 몇 배로 불리는 쓸데없어 보이는 수법을 사용한다. 그 외에도 제천대성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원영신[4]을 응용하여 진기로 분신을 만드는 모습도 보여주였으며, 분신은 본인보다 약간(…) 약하고 분신이 당하면 본인도 어느 정도는 타격을 입게 된다.

3 작중 행적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천잠비룡포 12권에 등장한다. 참룡방을 도와 구룡보에 쳐들어간 단운룡 일행의 적으로 등장하며 [5], 원천군을 지원하기 위해 불려왔지만 정작 단심맹의 계획이 틀어지고 아군이 죽어나가는 상황에서는 강건너 불구경만 하다가 싸움이 거의 끝나갈 즈음 갑툭튀해 단운룡을 상대로 재미있겠다며 전투를 벌이게 된다.

헌원력, 태자후, 단운룡과 3:1로 맞붙어 시종일관 3명을 압도하지만, 양무의가 다른 동료들을 데려오자 "이건 못 당하겠다~"하면서 물러나는데, 아마 그대로 싸웠어도 이겼을 듯(...) 본인의 지랄맞은 성격 때문에 물러난 모양이다. 이후 숭무련주, 비검맹주, 성혈교주와 함께 4명이서 소림사를 습격했으며, 현판과 대불상을 부수고 유유히 물러갔다. 이 사건은 팔황을 드러내고 세인들에게 난세가 무르익었음을 각인시킨 사건이 되었다.

4 기타

한백림의 말에 따르면 신마맹에서도 독특한 인물로 그려질 것이며, 주인공으로 삼아 외전을 쓰고 싶은 인물 중 하나라고 한다. 보고싶은 팬들도 많다. 이군명단운룡의 적이 될 거라는 복선이 은근슬쩍 있었고, 게다가 무기로 봉을 사용했기 때문에 이군명이 제천대성이라는 추측이 나돌았지만 결국 이군명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6]

과거에는 산동 출신의 고아로 골목대장 노릇을 하던 모양이다. 아마도 대충 본 것만으로도 무공을 따라할 수 있는 재능을 갖고 있었던 걸로 보이며, 태자후가 예전에 만나서 싸웠던 적이 있는데, 수년동안 꾸준히 무공을 익히고 17살 정도인 나이에 비해 상당한 실력이었던 태자후가 제대로 무공을 익힌것도 아닌 10살배기 꼬맹이에게 손도 못 쓰고 나가떨어졌다(…) 그 이후에 신마맹 족에 포섭된듯. 태자후가 절치부심하여 재도전하러 갔을 때 없었다고.

5 떡밥?

공선의 제자가 아니냐는 설이 있다.

제천대성이 황금빛 진기를 발한다는 것에서 시작된 추측인데, 현재까지 진기가 황금색으로 나오는 것은 백무한뿐이었기 때문이다.[7]

제천대성 자체가 불가와 연이 깊다는 것, 나찰사의 실패, 십익의 측근 중 하나가 팔황에 귀의한다는 것, 소림 습격 때 염라나 옥황을 제치고 신마맹 대표로 나왔다는 점, 위타천이 천룡이니 그와 동급인 제천대성도 뭔가 뒷배경이 있지 않겠냐는(...) 마음 등 꽤나 흥미로운 가설.

실제로 신마맹에 10살때 포섭됐다면 가면을 쓰는것에 익숙해질만한데 천잠비룡포 시점에서도 가면이 어색하다는 언급이 있다. 공선의 제자가 아니더라도 10살때 바로 신마맹에 포섭된것이 아니라는 근거중 하나.
  1. 물론 무공+이능의 총합은 신마맹주가 위다.
  2. 제천대성 가면의 전승자는 가면만 전승하는 것이 아니라 내공까지 전승한다고 한다.
  3. 이 제천대성을 제어할 수 있는 유일한 가면이 삼장법사라고 한다.
  4. 이거 구사하는 사람으로 무당파의 허도진인이 있다.
  5. 가면을 쓴지 얼마 안된 듯
  6. 신마맹에서 이군명의 직책은 나타삼태자이다. 거기다 애초에 이 추측이 여러정황상 무리한 추측이었는지라, 이 추측이 나왔을때도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애기가 많았다.
  7. 백무한의 필살기인 전륜법광은 황금색 진기가 원을 그리며 전방의 적을 박살내는 무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