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1 죽은 자의 환생
한글판 명칭 | 죽은 자의 환생 | |||
일어판 명칭 | 死者転生(ししゃてんせい) | |||
영어판 명칭 | Monster Reincarnation | |||
일반 마법 | ||||
① : 패를 1장 버리고, 자신 묘지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
죽은 자의 소생과 이름은 비슷하지만, 효과는 다르다. 일러스트는 확실히 해외판 죽은 자의 소생에 영향을 받은 듯.
묘지에서 부활이 불가능한 카드를 손패로 불러와 재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샐비지 카드. 패에서 한장을 버리는 디메리트가 있기는 하지만 반대로 이를 이용해 패에 있는 필요없는 카드나 묘지에 보내고 싶은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데 활용할 수 있으니 잘 활용하면 오히려 이득이다.
강제 접수와의 연계로 디메리트를 줄이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고, 창세신, 명계의 마왕 하데스, 사령기사 데스칼리버나이트처럼 묘지에서 소생이 불가능한 카드를 묘지에서 건져오는 용도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혹은 삼환신을 패로 건져 올려 다시 일반소환시켜 특수 소환시 엔드페이즈에 묘지로 보내지는 효과를 없앨수 있다. 하지만 제물 3개는 무겁기에 준비해두자. 또한 일반 소환시에 효과가 발동하는 카드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제왕, 선봉 대장, 고블린드버그, 마도전사 브레이커라든가. 대부분이 특수 소환이 불가능한 스피릿한테는 필수나 다름 없다.
사실 이 카드가 가장 많이 쓰이는 데는 바로 라이트로드. 라이트로드들의 효과로 덱을 깔 때 혹여 중요한 몬스터가 묘지에 가버릴 경우를 대비해 넣는 케이스가 많다. 게다가 라이트로드에서 이 카드를 사용할 경우 주로 건져오는 카드들이 저지먼트 드래곤이나 카오스 솔저 -개벽- 되시겠다. 그런고로 패 버리는 코스트는 코스트 축에도 못 든다. 사실 환생도 같이 갈려서 패에 들여보내기 힘들지만
텍스트를 잘 보면 알겠지만[1], 패를 버리는 건 코스트. 묘지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때 이 카드를 발동할 수는 없다. 암흑계에도 대응되지 않는다. 단 마굉신은 먹힌다. 패와 묘지를 오가며 노는 마굉신들의 특성과 매우 잘 맞으니 진지하게 채용을 고려할 수 있다. 그리므로로 버릴 마굉신을 서치->환생으로 버리고 그리므로 회수->다시 서치하는 등 암흑계의 거래 따위보다 훨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M 애니메이션 등장 당시 일러스트는 죽자소마냥 앙크였고 패 코스트가 없었으며, 덱으로 되돌린다는 효과였다. GX부터는 OCG효과지만. 사용자는 어둠의 유우기, 라펠, 유우키 쥬다이.
2 죽은 자의 생환
내수판 | 해외판 |
한글판 명칭 | 죽은 자의 생환 | |||
일어판 명칭 | 死者の生還 | |||
영어판 명칭 | Return of the Doomed | |||
일반 마법 | ||||
자신의 패에서 몬스터 카드 1장을 묘지에 버린다. 이 턴에 전투에 의해서 파괴된 자신의 몬스터 1장을 턴 종료시에 패로 되돌린다. |
카지키 료타가 범골과의 듀얼에서 전설의 어부를 생환시키는 데에 사용했던 카드. 애니에서는 그냥 이번 턴에 전투에 파괴된 몬스터를 소생하는 마법카드였는데. OCG화되면서 저렇게 바뀌었다. 죽은 자의 소생과 저 위의 환생과는 하위호환이기에 턱없이 구리다. 속공 마법카드였다면 상대 턴에 자신의 몬스터가 전투에 파괴되었을때 쓸 수 있었을 것인데. 일반 마법이라서 오히려 쓸 데라고는 자신의 몬스터가 자멸한 것 외에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리고 해외에서는 사람의 누드가 탄압되었고 옷이 추가되었다.- ↑ 예전에도 효과와 코스트의 구분 자체는 되어있었다. 단지 그게 그냥 문장 단위로 떼어놓기만 했기 때문에 헷갈리게 된 것이지. 결국 후기 텍스트에선 "~~하고 발동한다" 식의 문구를 넣어 헷갈리지 않게 만들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