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국번

증국번
曾國藩
1811.11.26~1872.3.12

%E6%9B%BE%E5%9B%BD%E8%97%A9.PNG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군인-학자이다. 호남성(후난 성) 출신이다.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한 의병대장이며, 같은 호남성 출신 의병대장인 좌종당, 그리고 자신의 제자인 이홍장등과 함께 양무운동을 추진하였다.

후난성의 부농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공부를 엄청나게 잘했던지, 여러 단계를 통과하는 과거시험을 모두 통과하고 진사에 임용되었다. 조선의 과거도 어렵다고 정평이 나 있었지만, 청나라는 그보다 인구가 20배가 넘게 많기 때문에 대단한 학식이 없으면 이렇게 과거에 급제하기가 어려웠다.

이후 과거급제자의 경력코스이자 일종의 관립 학술기관인 한림원[1] 에서 일하면서 자신의 학문을 좀 더 갈고 닦았다. 이때 성리학에 대한 여러편의 논문을 남겼는데, 이 글들은 학문적으로 상당히 가치가 있는 것들이다. 그리하여 후의 캉유웨이와 함께 공양학의 시조로 평가받고 있다. 이렇게 증국번은 학자로서도 무시못할 업적을 남겼다.

이후 예부 우시랑에 제수되어으나, 1849년 모친이 별세하자 3년상을 지내려 고향에 돌아갔다. 그러나 1850년에 봉기한 태평천국이 세력을 뻗어 중국전토를 쉽쓸게 되자, 그의 능력을 눈여겨 보았던 함풍제의 어명을 받고 곧 고향에서 의병을 보집하게 되었다. 이때 제자인 이홍장뿐만 아니라 호남성에서 초야에 묻혀있던 좌종당을 발탁하여 상군의 지휘관으로 삼았다.

그가 모집한 의병은 상군(湘軍)이라고 하는데, 湘은 호남성을 가리키는 말이므로, 호남군이라는 이야기도 된다. 그리하여 영어권 자료에서는 Hunan army라고도 표기 된다. 어쨌든 그는 한족에게 군권을 주는 것을 꺼리는 만주족 고위 관리의 견제를 받으면서도, 태평천국군을 상대로 연전연승했고, 그 공로로 양강총독 겸 직예총독에 임명되어 태평천국 토벌을 이끌게 된다.

또한 그는 제자인 이홍장에게 안휘성으로 가서 회군(淮軍)을 조직하도록 했다. 회(淮)또한 안휘성을 가는 한자이다. 어쨌든 상군과 회군은 거의 쓸모 없어진 청나라의 관군인 팔기군대신 태평천국의 토벌에서 혁혁한 공을 세우고, 태평천국의 본거지인 남경(난징)을 함락하였다. 이후 대륙에서 일어난 반청운동인 염군(捻軍)의 토벌에도 큰 공을 세웠다.

증국번은 태평천국을 진압하여 구질서를 회복시키려고 했지만, 단순한 수구파는 아니었고, 세금을 덜고 탐관오리를 척결하여 민생의 어려움을 개선하려는 등, 정치의 쇄신을 적극 주장했다. 이 때문에 이후 천하를 두고 건곤일척의 대결을 벌였던 장제스마오쩌둥 조차도 모두 증국번을 존경했다고 한다.

태평천국이 진압된 후, 구질서하에서 서양의 기술을 도입하여 체제를 강화하려는 양무운동을 적극 추진하였다. 그리하여 동치제 중후반에는 청나라는 어느정도 안정기에 접어들고, 이를 "동치중흥"이라고 한다. (물론 양무운동의 성과는 청불전쟁-청일전쟁 이후 쇠락했고, 청나라는 더 막장화되지만..) 한편 증국번의 상군과 회군은 이홍장이 건설한 북양군의 주축이 되며, 북양군의 지휘관들은 신해혁명 후에 민국 초반을 주름잡는 군벌이 된다. 북양군의 해군인 북양함대는 나중에 동아시아 최대의 함대가 된다. 하지만 지휘관이 막장이었기 때문에 청일전쟁에서 참패한다.

증국번은 몰락한 팔기군을 대신하여 청나라에서 가장 강력한 무장집단이었던 상군과 회군을 실질적으로 지휘할 수 있었고, 이렇게 군권을 쥐고 있었기 때문에 주변 한족 부하들[2]에게 황제에 오르라는 부추김을 많이 받았으나,(실제로 당시 청 조정의 실권은 이미 증국번을 위시한 한족 세력에 넘어가 있었다.) 끝까지 청조의 충신으로 남았다. 조조 대신 제갈량의 길을 걸었다

1872년 양강총독 재직중 홍수전의 이전 거처인 남경에서 사망하였다. 1870년에 양강총독으로 갓 부임한 마신이가 장문상의 칼에 찔려 죽는 사건이 생기고 마신이가 죽은 뒤의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증국번이 양강총독으로 부임하여 사건을 마무리한다. 살인자인 장문상은 능지처참형을 받고 죽게 되었으나 민심은 어수선했다. 양강총독 마신이 살해 사건은 자마(刺馬)사건이라 부르며 청나라말의 미스테리한 사건으로 남게 되었고 여러 편의 영화(자마, 명장(영화) 등)로도 만들어진다. 직예총독의 자리에서 양강총독으로 자리를 옮기며 급히 마신이 사건을 수습한 증국번은 1872년에 사망하고 만다.
  1. 조선으로 치면 집현전이나 규장각 정도의 위치이다.
  2. 증국번이 태평전쟁 진압을 지휘하면서 발탁한 각 성의 순무와 총독(주로 남중국 지역)으로 있었던터라 이들의 반란가담은 최소한 양쯔강 이남지방에 한해서 한족 왕조가 세워질 가능성이 충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