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기스칸(요리)

Zingusukanyake.jpg

ジンギスカン(成吉思汗)[1]

1 개요

일본 요리의 일종으로 일본식 양고기 구이다.
칭기즈 칸으로 알면 심히곤란하다(...)
홋카이도하면 운하, 연어, 털, 초밥과 함께 반드시 떠올리는 것 중 하나. 전용 냄비[2]양파와 함께 양고기를 구워 먹는 홋카이도의 요리(?)이다. 사실상 바비큐 또는 구이에 가깝다. 보통 불구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불판에 얹어 구워 먹는 것이라 다른 연료로 하는 업소도 많다.

한국에는 훠궈(양고기 샤브샤브)를 징기스칸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간혹 있다.

아즈망가 대왕에서도 등장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현지화하는 과정에서 홋카이도강원도로 바꾸게 되어서 징기스칸 역시 삼수기탕[3]으로 바뀌었다.

프리티 리듬 레인보우라이브에서도 등장한다. 우리나라 더빙판인 꿈의 라이브 프리즘 스톤에서는 홋카이도가 제주도로 바뀌어 징기스칸이 흑돼지(...)로 바뀌게 되었다. 작중 캐릭터인 린네가 그렇게 좋아해서 환장할 정도.

일본 학원물에서 홋카이도로 수학여행을 간다면 절반이상 정도는 꼭 이것을 먹는 모습을 보여준다.

2 유래

일본에서 침략전쟁 때 군모를 위해 수많은 을 길렀으나[4] 태평양 전쟁에서 패망한 뒤 쓸모가 없어진 양을 먹기 위해 고안된 요리. 양은 나이를 먹을수록 특유의 냄새가 심해져서 냄새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먹기가 힘든데, 일본에 넘쳐나는 양은 양모용으로 길러진 노쇠한 양들이었기 때문에, 안그래도 육식 문화에 익숙치 않았던 일본인들은 잘 먹질 않았다. 그러던 중 고안해낸 요리가 이 냄비 요리이다. 하지만 그래도 머튼 특유의 역한 누린내를 극복하지 못하여 의외로 80년대까지는 와갤요리 취급을 받았다고. 지금은 대개 당연하다는 듯이 수입산 램(Lamb)을 사용하고 있고, 홋카이도에서 반드시 먹어야 할 인기 있는 음식이 되었다.[5] 이것을 야외에서 먹을 때는 신문지로 간단한 앞치마를 하고 먹는다. 이 요리가 널리 전파되어 현재 일본에서 양고기는 상당히 중요한 요리 재료로 쓰이고 있다.

요리 이름의 유래야 물론 칭기즈 칸. 이름이 이렇게 붙여진 이유는 '양고기 하며 떠오르는 게 몽골, 몽골하면 떠오르는 게 칭기즈 칸'이라는 설이 있으며 가장 많은 사람들이 믿고 있다.

이 요리는 지방에 따라서 요시츠네 전골이라고도 불리는데, 이건 그야말로 억지. 일본의 민간 전승 중에 일본의 고대 인물 중 '미나모토노 요시츠네'가 죽지 않고 몽골로 숨어가 칭기즈 칸이 되었다는 말도 안 되는 민간전승이 있어서 '칭기즈 칸=미나모토노 요시츠네'라고 믿는 사람들도 소수 있다. 절대미각 식탐정타카노 세이야는 관련 에피소드에서 이 작명 센스에 대해 "일본인들은 원래 이런 과대망상 설정질에 능하다. 예수 마을 같은 것도 있잖아."라고 깠다.

양고기 특유의 냄새가 심하게 나기 때문에 이 요리를 계기로 양고기를 싫어하게 되는 사람이 많다. 양고기의 냄새를 없애기 위해서는 할랄 푸드와 마찬가지로 피를 완전히 빼고, 후추 같은 향신료가 필요하지만... 그런데 본고장(?)인 몽골 사람들도 향신료도 안 쓰고 피도 안 빼고 요리하니까 본고장 요리법을 충실하게 재현한 것이 아닐까.(...) 홋카이도의 징기스칸 식당에서는 아예 카운터에 탈취제를 비치하고 있다.
  1. 인물명 칭기즈 칸의 일본어 표기는 チンギス・ハーン.
  2. 하지만 화로에 가깝다.
  3. 삼세기란 생선으로 끓인 탕. 표준어로는 삼세기. 강원도 방언으로는 삼숙이 또는 삼수기라고 부른다. 실제 강원도 동해안 지역의 별미이다.
  4. 일본에는 본래 양이라는 동물이 존재하지 않았다가 이 때 군수품을 만들기 위해 수입되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양을 쫓는 모험>에 대략의 내용이 정리되어 있다.
  5. 홋카이도 농민 출신자의 에세이로 인기있는 아라카와 히로무의 백성귀족에서는 징기스칸을 홋카이도의 소울푸드로 지칭하는데, 편집자 이시이가 '양고기 자급률은 달랑 2%잖아' 하고 태클 거는 내용이 있다. 일본 국내산은 고급식당에서나 취급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