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

f0485312_54a3f99be637a.jpg

대한민국의 국보
National Treasures Of Korea
공식명칭한글징비록
한자懲毖錄
영어Jingbirok / Book of Corrections
분류번호국보 132호
소재지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분류기록유산 / 전적류/ 필사본/ 고본
시설1책
지정연도1969년 11월 12일
제작시기조선시대, 1604년

1 개요

조선 선조 시기에 영의정과 도체찰사[1]를 지냈던 서애 류성룡임진왜란 발발 당시인 1592년부터 1598년까지의 전황들을 기록한 수기. 난중일기와 함께 임진왜란 당시의 상황을 자세히 묘사한 대표적인 저술 중 하나이다.

영어로는 한국어 발음을 옮긴 Jingbirok이라는 표기와 함께 '징비'를 의역해서 'The Book of Corrections'라고도 쓴다.

2 내용

징비록이라는 이름은 《시경》 소비편(小毖篇)에 적혀 있는 "내가 지난 잘못을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予其後患)"는 구절을 인용한 것이다. 류성룡은 징비록의 자서에 "난중의 일은 부끄러울 따름이다."라고 적었는데, 스스로 반성한다는 의미에서 이 책을 저술한 것이다.

내용은 전쟁의 배경, 전투 당시의 상황, 일본명나라 등 과의 외교 관계, 주요 맹장에 대한 묘사와 전투 성과, 이후의 백성들의 생활상 등의 임진왜란에 대한 총체적인 기록이다. 저자인 류성룡은 임진왜란 당시 주요 직책을 역임한 덕분에 당시 보고된 문서들을 확보할 수 있었고, 그 자료들을 바탕으로 징비록의 집필을 진행할 수 있었다. 당시 남인의 일원이었던 류성룡이지만, 징비록에서는 비교적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한다.

특히 일관되게 '왜적(倭敵)'이라는 표현만을 쓰기보다도 '일본(日本)'이라는 국호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무분별한 적개심 표현을 자제했을 뿐만 아니라, 전쟁 전의 배경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하여 '미리 살펴 전쟁을 막지 못한 것에 대해 돌이켜 반성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이 자기 반성을 곡해하여 근세 일본 국수주의자들이 조선을 나약한 국가로 매도했다는 건 넘어가자 또한 명군의 원조를 중시하면서도 이순신과 조선 관민(官民), 의병의 공로를 특히 강조하여, 임진왜란에 있어서의 조선 중심 전쟁 사관을 확립하였다.

징비록이 저술되기 전까지는 중국과 일본 모두 임진왜란을 자국 중심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전장부터 조선이었고, 조선 역시 엄연히 전쟁의 한 축을 담당했는데도. 명나라의 임진왜란 관련 기록인 '양조평양록'에는 "(당시 조선은) 정사가 해이해지고, 간신 류승총(柳承寵)(≒류성룡(柳成龍))과 이덕형이 국왕에게 아부하니"(…) 운운하는 기록이 버젓이 남아 있었다.[2] 뿐만 아니라 일본의 침략 목적에 명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도 굳이 드러내지 않았으며, 어디까지나 조선이 그 자체적인 문제 때문에 일본의 침략을 막지 못했으며, 명은 다만 도의적인 차원에서 조선을 도왔을 뿐이라는 식으로 서술되어 있었다. 그리고 조선에 대한 이런 왜곡된 시각은 일본에까지 여과없이 전해졌다. 일본 입장에서는 명이 조선의 상국이므로 어련히 잘 알고 썼겠거니 해서 이를 의심하지 않았던 것. 이러한 중국과 일본의 임진왜란 관련 시각이 균형 감각을 갖게끔 해 준 총체적 기록이 바로 징비록이었다. 징비록은 일본에 전해진 후, 청나라 학자 양수경에게도 전해져, 현대 중국의 임진왜란 연구에까지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아래 '해외 전래' 절 참고.

한편 이순신을 강조한 대목과 관련해서는, 이순신을 천거한 사람이 바로 류성룡 자신이었으므로 그를 일정 부분 띄울(…) 필요성도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렇다고 이순신의 공이 바래는 것은 절대 아니겠지만. 차라리 표현이 부족했으면 부족했지 사실 이 때문인지 이순신 모함에 자기까지 가세했던 사실을 적지 않았다.

징비록의 서술 목적 중 중요한 또 한 가지는, 류성룡 자신이 속한 남인의 반대 당파인 북인의 정치 공세에 의해 자신에게 덧씌워진 '주화오국(主和誤國)'[3]의 오명을 씻는 것이었다. 징비록에는 류성룡 자신이 명과 일본 사이의 강화[4]에 반대하였다는 내용의 적극적인 자기 변호가 실려 있으며, 이는 대체로 사실이기도 하다. 북인계에 가까운 데다가 의병 활동을 했던 곽재우 역시 전후 일본과의 화의를 주장한 바 있다.

반성도 반성이지만 자기 업적 어필을 위한 기록이기도 하다. 간첩 김순량을 잡은 일이라든가 스스로의 우국충정, 명나라 측 인물들을 상대하느라 겪었던 고충 등을 기록해 두었다. 물론 대부분 '하늘 덕', '전하 덕' 등으로 표현하고 있지만 이는 당대 사대부들의 의례적인 겸사로 해석된다. 물론 징비록의 어필이 아니더라도 전시재상으로서의 류성룡이 남긴 업적은 부정하기 힘들긴 하다.

3 판본

징비록은 류성룡 개인이 저술한 초본과, 나중에 인쇄로 간행된 간행본이 남아있는데 간행본은 일부 내용을 수정 추가하고 오류를 바로잡은 것이다. 또 초본에 남아있는 국왕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들은 상당수 수정되었다. 예컨대 선조가 한양을 버리고 몽진할 당시 초본에는 선조가 몽진 의사를 갖고 이를 주도한 것처럼 서술하고 있으나 간행본에서는 그냥 조정 내에서 몽진에 대한 논의가 돌았다고 서술하고 있다. 또한 칠천량 해전 패전 소식이 전해진 후 이순신 재기용에 대해 초본에는 선조가 중국의 고사를 인용하며 비변사에게 모든 책임을 전가하다 이항복 등이 이순신을 재기용해야한다 주장하자 아무말 없이 나가 버렸다고 적었으나 간행본에서는 신하들이 권하니 선조가 그냥 따랐다고 적고 있다. 원균에 대한 비판도 초본이 훨씬 강도가 높다.

초본과 간행본의 차이를 알 수 있는 한 포스팅 내용. 초본 내에서도 '上欲誅之(임금께서 를 죽이려고)'라고 썼다가 이를 취소선으로 지우고는 '命(명하여)'으로 고쳐 이어나간 부분이 확인된다고. 아 너무 흥분해서 본심이 나왔네요

4 해외 전래

이후 일본에 유출되어 큰 인기를 끌었는데[5] 언제 처음 전해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1683년의 쓰시마 번주 서적 재물 조사 목록에 이미 '징비록'이 보이고, 1687년에 간행된 다른 책에서도 징비록이 인용된 흔적이 있다. 1693년에는 중국과 한국 문헌상의 일본 관련 기록을 모은 '이칭일본전(異稱日本傳)'[6]에 징비록의 내용이 일부 인용되었으며, 1695년(숙종 21년)에는 징비록 전체 내용에 조선의 행정구역표, 조선지도가 첨부된 '조선징비록'이 간행되었다. 이 '조선징비록' 출간 사실이, 17년이나 지난(…) 1712년에서야 조선에 알려져 국가 안보 문제가 대두되는 한편, 서적 수출이 금지되고 조일 외교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한편 19세기 말에는 이 일본판 조선징비록이 일본에 체류했던 중국 학자를 통해 청나라에도 전해졌다고. 동아시아 베스트셀러

일본에서 간행된 '조선징비록'의 경우, 원서에서 비하적으로 쓰인 '관추(關酋)'가 본래의 관직명인 '관백(關白)'으로 수정된 정도 외에는 원서와 별반 차이가 없다고 한다. 참고로 '추(酋)'는 '두목, 추장' 등의 의미로, 미개한 종족의 우두머리를 의미하는바, '누르하치(奴兒哈赤, 努爾哈赤)'에 대해서도 조선에서 '노추(奴酋)'라고 쓴 바 있다. 원 저자인 류성룡의 입장에서는 침략의 원흉인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대해 결코 좋게 좋게 '관백'이라고 제대로 써 주고 싶었을 리가 없었을 것이다.

일본판 조선징비록에 일본인 유학자 가이바라 엣켄(貝原益軒)[7]이 쓴 서문에는 "전쟁을 너무 좋아하는 것과 전쟁을 잊는 것 모두 경계해야 한다"면서, "도요토미 가는 전쟁을 너무 좋아했기에 망했고, 조선은 전쟁을 잊었기에 망할 뻔했다"라고 되어 있다. 이어 재상 류성룡이 징비록을 쓴 것이 지당하다는 찬사와 함께 "이 책은 기사가 간결하고 말이 질박하니 과장이 많고 화려함을 다투는 세상의 다른 책들과는 다르다. 조선 정벌을 말하는 자는 이 책을 근거로 삼는 것이 좋다. ... (가히) 실록(實錄)이라 할 만하다."라고 쓰여 있다.

현대의 일본인들은 임진왜란에 그다지 관심이 없으나 당대 일본인들에겐 대단한 관심거리였고 징비록이 인기를 끌었던 이유도 이와 연관되는데, 이는 비록 실패했지만 임진왜란이 당시 일본에서 몇 안되는 일본의 대규모 해외원정사례였기 때문이었던 듯하다. 당시 일본에선 징비록을 토대로 각종 전쟁소설들도 만들어졌는데, 자료부족으로 소설 내 삽화의 조선인들이 중국인 복장을 하고 있다. 한 일본인 작가가 뒤늦게 조선의 민화를 입수하여 그에 맞게 고증을 하기도.(#) 의외로 적군인 조선군장수들을 띄워 주기도 했다.

5 비판

정작 무엇을 반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서술이 부족하다는 시선도 있다.

이를테면 류성룡은 의외로 우유부단한 면이 좀 있어서, 이순신의 2차 백의종군을 부른 어전 회의에서 왕의 원균에 대한 편애와 당시 조정의 분위기에 휩쓸려 이순신 모함에 가담한 일이 있었는데, 가장 반성해야 할 이런 사실에 대해서는 정작 기록이 별반 보이지 않는다.

또한 류성룡은 임진왜란 전에 이순신, 권율과 더불어 원균을 추천하였는데 원균은 경상우수사가 되기 전 더 낮은 직위를 받았을 때도 평이 좋지 않아 취소된 상황이었다. 후에 원균이 어떤 짓을 했고 전쟁을 어떻게 말아먹었는지(...) 생각해 본다면 사람을 잘못 봐도 한참 잘못 본 것. 이런 인사상의 오점에 대해서도 별다른 기록이 없다.

즉 반성을 주제로 하였으면서도 의외로 스스로의 과오를 숨긴 부분이 존재하는 기록물이니 일정한 교차 검증이 필요하다.

6 기타

2015년 2월 14일부터 동년 8월 2일까지 류성룡을 주인공으로 임진왜란기를 다룬 KBS 대하드라마 징비록이 방영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징비록(드라마) 항목 참조.
  1. 의정이 전시 상황에서 임시로 맡는 최고 군직. 아래에 체찰사, 도순찰사, 순찰사가 있다.
  2. 명의 입장에서는, 명 원군 지휘부 앞에서 끊임없이 조선의 이익을 대변했던 류성룡이 영 껄끄럽게 느껴졌기에 이렇게 기록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3. (일본과의) 화의를 주장해 나라를 그르침
  4. 정확히는 명의 심유경과 일본의 고니시 유키나가 사이의, 국제 사기극에 가까운 강화.
  5. 얼마나 인기가 좋았는지, 징비록하고 아무 관련없는 소설책의 제목에 징비록이라는 말을 넣어 팔았을 정도였다. 우리나라에선 동명의 예언서도 만들어졌었다.
  6. '다른 이들이 말하는 일본 이야기' 정도의 의미.
  7. '가이바라 에키켄'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