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원 융합

유희왕의 마법 카드.

1 차원 융합

파일:Attachment/차원 융합/card100002260 1.jpg

한글판 명칭차원 융합
일어판 명칭 次(じ) 元(げん) 融(ゆう) 合(ごう)
영어판 명칭Dimension Fusion
일반 마법
2000 라이프 포인트를 지불한다. 서로 제외된 몬스터를 각각의 필드 위에 가능한 만큼 특수 소환한다.
유희왕/OCG 금지제한금지 카드
유희왕/TCG 금지제한금지 카드

이차원으로부터의 귀환의 어나더 버전. 이쪽은 라이프 2000에 마법카드에 상대의 몬스터도 불러온다. 이차원으로부터의 귀환과는 달리 턴이 종료되어도 몬스터가 사라지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 카드의 금지로 블레이드덱은 사실상 구축이 불가능해졌다.

자신과 상대 모두 몬스터를 불러온다는 디메리트가 있지만 애초에 몬스터 제외는 어느 한 쪽이 차원덱이 아닌 이상 그렇게 많이 있는 경우가 아님으로 얼마든지 피해갈 수 있다. 또한 라이프 포인트가 4000 이하가 아닐 경우 이차원으로부터의 귀환에 비해 코스트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함정이 아닌 마법카드라 세트하지 않아도 되는 점, 돌아온 몬스터가 다시 제외되지 않는 점 등의 여러가지 요소가 금지에 한몫했다. 강력한 몬스터를 여러 마리 제외해놓고 필드 싹 비운 뒤에 이 카드로 몽땅 데려오면 상대는 그야말로 캐☆발☆살.

애니메이션에서는 카이바 세토지크 로이드전에서 마법 재생으로 묘지에서 서치해와서 제외당한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푸른 눈의 백룡 3마리, 에머랄드 드래곤을 다시 끌고 왔다. GX에서도 등장. 그것도 무려 3번으로서 블랙 매지션 걸, 닥터 컬렉터, 마루후지 쇼가 사용했다.

상당히 구린 하위 호환카드로 차원유폭이라는 속공 마법카드가 존재한다.

이름은 차원 융합인데 어째 엑스트라 덱과는 관련이 전혀 없다. 다만 미러클 퓨전, 오버로드 퓨전, 용의 거울등의 묘지 융합 카드들과의 조합은 발군. 일반 융합으로 튀어나오고, 묘지 융합으로 튀어나오고, 제외존에서 필드로 튀어나온걸 다시 써먹어서 또 튀어나오게 하는등 약간만 머리를 굴려도 엄청난 콤보를 보여줄수 있다. 덕분에 엘리멘탈 히어로에릭실러 빼고, 사이버 드래곤 융합체, FGD등등의 몬스터들이 날뛰게 만들어줬던 일등공신.

게다가 정룡덱과의 시너지는 그중에서도 엄청난데, 안그래도 용의 거울 덕분에 제외존을 알차게 써먹는 드래곤족 들이 자체 효과로 패와 묘지 제외존을 들락날락 거리는데 이 마법까지 더해지면 정말(...). 물론 그 미친 효과들 덕분에 지금은 금지의 지옥으로 떠나버렸지만.

일러스트에서 원래 세계로 돌아오고 있는 것은 이차원의 전사이차원의 여전사.

2 차원의 왜곡

13232745.jpg

한글판 명칭차원의 왜곡
일어판 명칭次元(じげん)の歪(ひず)み
영어판 명칭Dimension Distortion
일반 마법
자신의 묘지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제외된 자신의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한다.

혼돈의 지배에서 발매되었다. 아무 코스트도 없이 대상을 가리지 않고 완전 소생이 가능하지만, 발동 조건이 상당히 힘들어서 D.D.R이나 암흑차원의 해방보다 압도적으로 써먹기 힘들다. 뭐, 그래도 카오스 그리드보다는 발동 조건이 쉬운 편이지만.

쓰고 싶다면, 매크로 코스모스, 영혼의 해방, 사령의 소굴 등 묘지에서 열심히 제외를 시켜 줄 수 있는 카드들을 적극적으로 써먹어야 할 것이다. 아니면 데스티니 히어로 다이아몬드 가이를 이용해서 발동조건 무시하고 써먹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덱 조작 능력이 필수적이지만.듀얼력이나 운명력을 이용하자.

특이한 건, 일본어 이름의 「歪み」가 보통과 다르게 「ゆがみ」가 아니라 「ひずみ」라고 읽힌다는 점이다.

사실 더 중요한 건, 이 카드는 게임에서 제외된 몬스터를 특수소환하는 첫번째 카드라는 것이다.

DM 오리지널인 도마편에서 라페르가 2번째로 어둠의 유우기와 듀얼을 할 때, 라페르의 패에 있었다. 라페르의 듀얼 스타일이 묘지에 몬스터를 두지 않는다는 점에서 생각하면 상성이 좋을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