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해 역사

滄海力士

1 소개

사마천의 《사기》 『유후세가』에 기록된 인물로, 장량과 더불어 진시황을 척살하려다 실패한 인물.

장량은 회양(淮陽)에서 동쪽으로 가 '창해군'이란 인물을 만났으며("東見倉海君"), 그에게 역사(力士)를 소개받았는데 그가 곧 창해 역사라 불리는 인물이다. 장량은 창해 역사를 위해 120근이나 되는 철추를 만들어줘서 진시황을 죽이려 했으나 실패하자 하비성으로 도망쳤다고 한다.

2 그는 어디서 왔는가?

역사상으로는 기록이 단 한 줄 나올 뿐인 수수께끼같은 인물이다. 게다가 창해라는 지명은 진나라에는 없는 군이다. 사기집해에서는 '창해군'을 '동이의 군장'으로 추측하였고, 당나라 시대의 인물 사마정이 집필한 '사기색은'은 한나라 때 동이의 예군이 투항하자 그곳에 '창해군'을 설치한 것을 근거로 해서 유사한 지역일 것이라고 추측해서 예맥계 이민족으로 보고 있다. 한나라 무제시절 예나라 사람 28만명이 고조선을 버리고 한나라에 투항하자 무제는 그들을 위해 창해군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사기의 동이열전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元朔元年,武帝年也。濊君南閭等畔右渠,率二十八萬口詣遼東內屬,武帝以其地為蒼海郡,數年乃罷

원년(B.C.128)에 예(濊)君 남려(南閭) 등이 우거(右渠)를 배반하고 28萬口를 이끌고 요동(遼東)에 귀속하였으므로, 무제(武帝)는 그 지역으로 창해군(蒼海郡)을 만들었으나, 수년 후에 곧 폐지하였다 - 《후한서》 동이열전번역출처

일단 무제가 설치한 창해군의 위치에 대해서는 학설이 분분한데 압록강에서 동해안까지 다양하다. 다만 창해군(蒼海郡)은 설치된지(기원전 128년) 3년만에 폐지된 행정명이고 한 무제가 기원전 108년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이미 한반도 북부지방에 한사군을 설치하였으므로 사마천이 사기를 집필하기 시작하던 기원전 104년 이후에는 거의 실체도 실제 쓰임도 없는 행정명/지명이었다. 일단 장량이 활동하던 진나라 시대에는 창해군(蒼海郡)이라는 행정명이 존재하지도 않았으니...

때문에 한 무제가 설치한 창해군(蒼海郡)과 장량이 만났다던 창해군(倉海君)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은 거의 부정되는 것으로 봐도 무방하고 사마천 역시 전대의 사료를 참고하였을 거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때문에 창해군을 동이족(예맥족)의 군장으로 보는 견해 역시 창해군(倉海君)의 정체를 간접적으로 유추하는 수준에서 그치고 있다. 예족->창해군(蒼海郡)->창해군(倉海君)->동이족!!

참고로 장량이 만났다던 창해군에 대해서는 진(秦)나라의 현인이었다는 설도 있고 남쪽의 이민족 제오(諸奧)의 군장으로서 나라가 나라에게 멸망하자 월왕 무강(無彊)의 아들이 독립하여 스스로를 창해군(倉海君)이라고 칭했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그 사람을 가리킨다는 설도 있다.

3 한반도와의 연관성?

대한민국에도 창해역사에 대한 전설이 있다. 가장 잘 알려진것이 조선시대 학자 홍만종이 쓴 순오지에 의하면 예국의 노파가 시냇가에서 호박만한 알이 떠내려 오는 것을 주워 두었더니, 얼마 안 되어 알이 두 쪽 나며 남자아이가 나왔다. 그 아이 얼굴이 보통 사람이 아니었으며, 6세가 되자 키가 8척이나 되고 얼굴빛이 검어서 성인과 같았으므로 검을 ‘여(黎)’자를 성으로 삼고 이름은 용사(勇士)라 불렀다. 여용사가 예국의 호랑이를 퇴치하기도 하고, 만 근이나 되는 종을 옮기는 등 괴력을 발휘하자 왕은 상객으로 대우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가 죽은 곳은 알지 못한다고 하였다.

홍만종은 여러 기록을 예로 들면서 예국이 예전에 강릉에 있었으며, 진한시대부터 중국과 상통하였고, 오대산에 창해군이라는 옛터가 있다는 사실로 미루어 확실히 믿음직한 말이라고 언급하면서, 창해 역사는 한국 사람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리고 놀랍게도 철퇴가 있었다. 그것도 실물로.

20130924_1044_A65c.jpg
보라 이 크고 아름다운 철퇴를
황성신문 1909년 10월 27일자 기사다. 영국의 ‘깃지나 원사’가 한국으로 와서 궁내부 박물관에 들렀다가 창해역사의 철추를 잠시 빌려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며칠 뒤인 11월 2일에는 깃지나 원사가 경부선 열차를 타고 일본으로 건너갔다고 실려 있다. 이 철추에 대한 행방은 동아일보 1929년 11월 7일에 등장한다. 동아일보 기사는 1909년 11월 6일자 대한민보를 다시 기록하면서 깃지나 원사가 철추를 보고 돌려주었는데, 어제는 일본군 사령부가 보겠다고 가져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먹튀한거 아닌지 의심된다 역시 만악의 근본 왜군 사령부

당연히 이 철퇴진시황 암살에 사용된 철퇴일리는 없다. 일단 시황제에게 날라간 철퇴가 돌고 돌아 한반도까지 오는게 불가능하고 설사 그게 가능했다 하더라도 이런 엄청난 유물이 2천년이 넘는 시간동안 단 한번도 사서에 기록된 적이 없었던 걸로 보아선 대한제국 후기에 만들어진 모조품일 것이다.

결정적으로 은 매우 산화가 잘되는 금속이다. 2천년간 저 형태를 유지하며 떠돌아 다닐수가 없다. 다 바스라져서 형태도 알아 보기 힘들게 되었을것이다. 당장 삼국시대의 철제 검 유물을 보면 알수있다. 오랜세월 땅속에 묻혀 있었음에도 산화가 일어나 간신히 형태만 유지하고 있는 모습이다. 더군다나 저 시기의 조잡한 철기 제조 수준으로 2천년간 지속된 철제 무기를 만들어 낸다? 판타지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4 대중매체에서의 모습

  • 환단고기나 여러 판본에는 그의 성이 여씨이며, 본명은 여홍성이라고 한다. 아마 홍만종의 순오지에서 내용을 빌려왔을 것이다.
  • 진순신은 자신의 소설 십팔사략에서 창해군이 사실은 산동 반도에서 조선 유민들을 이끄는 우두머리이며,그 밑에서 역사를 얻어 진시황을 저격했다고 썼다.
  • 고우영초한지에서도 이 설을 차용해 창해 역사가 원래 조선사람이나 피치 못할 사정[1]으로 중국으로 도망쳐 장량을 만난 걸로 되어있다.
초한지에서는 장량은 평소 진시황을 노리고 있었으나 황제의 경비가 삼엄해서 자신의 능력으로는 안 될 것이라 판단하고 수소문 끝에 천하장사로 소문난 창해 역사를 포섭해 박랑사 계곡에서 진시황을 노리고 있었다. 하지만 진시황은 평소에 여러 번 암살 위협을 겪고 있었으므로 자신이 타고 다니는 수레와 같은 가짜를 몇 대 더 만들어서 순행을 하고 있었다. 이에 장량은 고심끝에 가운데 수레를(판본에 따라 세 번째 수레라고도 한다.) 진시황이 타고 있다고 판단해 창해 역사로 하여금 철퇴를 던져 명중을 시켜 좌중을 혼란케 했으나(이 역시 어떤 책에는 창해 역사가 직접 철퇴를 들고 돌진한 걸로 되어 있다.) 그 수레는 텅 비어있었고 바로 앞 수레에 진시황이 수레에서 얼굴을 내밀고 있더란다. 그러자 장량은 일이 실패했음을 알고 이름과 외모를 바꾸어 멀리 도망쳤다고 하는데 문제는 바로 창해 역사의 행방이다.
  • 어떤 책에는 창해 역사가 계속 남아 진나라 군대를 살해하다가 붙잡혀 능지처참되었다고도 하고, 장량이 도망치기 위해 시간을 끌다 자살을 하였다고도 하고, 일이 실패하자 장량과 같이 도망쳤다고 하는데 어찌되었든 창해 역사는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 이문열의 초한지에서는 창해군을 중국 동해안에서 다수의 역사(力士)를 육성하던 협객 정도로 간주하고 창해 역사를 창해군 산하 역사 중 한 명으로 보고 있다.
  • 초한전기에서는 제나라 군 출신으로 사냥으로 연명하면서 진시황에 대한 불만을 품고 있다가 장량을 만나서 뜻을 같이 하고 진시황을 노리다가 다른 수레를 박살낸 후 수적 열세에 중과부적으로 사망한다.
  1. 거사 전날 마지막으로 거나하게 술을 나눌 때 장량은 치정문제(...)로 짐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