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학파

1 개요

Jeune École. 프랑스 해군군사 교리 학파. 어뢰정 양산으로 쉽게 해군력을 증강하자는 이론을 주장한 학파다. 일본에서는 신생학파(新生學派)라고도 한다.

2 배경

640px-Battle-Mars-Le-Tour-large.jpg
1870년 11월 19일 작품, 프로이센-프랑스 전쟁/마르 라 투르 전투: 프로이센의 중장기병 7기가 프랑스 대포를 부수는 장면(1870년 8월 16일).

1870년의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패배로 여파로 프랑스프로이센에게 거액의 배상금 지급을 하게되고 이때문에 국내 경제도 위축되었다. 프랑스는 프로이센에 대항하기 위해 모든 전력을 육군 위주로 구성하고 군비증강도 그에 맞게 진행했고, 재정마저도 더 안 좋아졌기에 결과적으로 프랑스 해군의 예산은 대폭 축소됐다.

거기다가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당시 프랑스 해군이 보여준 활약이 미미했던 것도 문제였다. 프랑스 해군의 다수의 장갑함은 프로이센 해안 봉쇄에 실패하였고, 수병이 육지로 기어 올라가 파리 방어전에 참가해야 했다. 이런 타의적이며 환경적인 요인으로 프랑스 해군은 실질적인 전력이 되지 못하였고, 그러한 점 때문에 정부, 국민들에게 외면 받았다.

640px-The_Dutch_burn_English_ships_during_the_expedition_to_Chatham_%28Raid_on_Medway%2C_1667%29%28Jan_van_Leyden%2C_1669%29.jpg
1667년 ~ 1699년 작품, 영국-네덜란드 전쟁; 미드웨이 기습 (1667년 6월 9일 ~ 6월 14일).

사실 이러한 문제는 당시 프랑스만 겪은 건 아니다. 북한만을 상대해야하는 대한민국 국군이나 17세기 프랑스를 상대하느라 육군에 전력을 기울인 네덜란드군 같은 훌륭한 사례가 있다. 여기서 네덜란드는 육군에 치중하느라 해군을 내실화하는데 실패함으로써 영국-네덜란드 전쟁에 최종적으로 패배한다. 이후 네덜란드는 해양패권을 영국에게 내준다.

484px-William_Bell_Scott_-_Iron_and_Coal.jpg
1855년 ~ 1860년 작품, Iron and Coal: 산업혁명 당시의 상황을 보여주는 그림.

하지만 그건 그거고, 당시의 프랑스 여론이 프랑스 해군에게 좋지 않은 것은 사실이었다. 여기에 산업혁명은 불에 기름을 뿌리는 꼴이었다. 산업혁명으로 인해 해군의 건함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진보해 불과 수 년 전에 건조된 함선이 구식함으로 전락하였다. 이에 당황한 프랑스의 국민들과 전략가들은 기존의 장갑함 위주 전력은 쓸모없다고 생각하였다. 거기다가 보불전쟁으로 인하여 프랑스 해군의 군비가 줄어들자 이런 인식이 더욱 고착됐다. 결국 프랑스의 많은 사람들이 전함과 같은 대형함정들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기다려, 당황하지 마라! 이건 공명의 함정이다!

이 때 '테오필 오브 제독'을 중심으로 뭉친 일단의 장교무리인 '청년학파'가 그러한 사상적 배경을 체계화시키고 정리하였다.

7ytd.jpg
앙리 조제프 펙상(Henri Joseph Paixhans), (1783년~1854년).

그리고 청년학파는 이름에서 연상되는 것과는 달리 많은 숫자의 유력한 지지자가 있었다. 초기 청년학파의 지지자 중에는 그랑제콜 에꼴 폴리테크니크(École Polytechnique)를 졸업한 앙리 조제프 펙상(Henri-Joseph Paixhans) 장군도 있었다.

3 진행

이들은 당시에 개발되기 시작한 최신기술인 자주어뢰 등을 이용하여 '연안방어'와 '통상파괴' 수행을 하자고 주장했고, 이 이론에 딱 들어맞는 어뢰정이야말로 이상적인 대안이라고 생각했다. 당시의 장갑함은 속도와 함포의 장전 속도가 너무 느려서 빠른 소형함에게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반면 어뢰정은 단 한두방으로도 자신보다 훨씬 거대한 장갑함을 격침시킬 수 있는 위력을 갖추었기에 당시의 대형함에게는 매우 위협적이었다. 게다가 가격은 장갑함들보다 훨씬 싸고 운용 인원도 적었으니 군비가 감축되던 프랑스 해군으로써는 매혹적인 무기체계가 아닐 수 없었다.

이들은 이 어뢰정을 바탕으로 대형함들의 해안봉쇄를 막아내는 수세적인 전략을 세워 기존의 대형함 중심 전력체계를 대체하자는 주장을 내세웠다.

loj3.jpg
1880년 8월 7일 프랑스의 테오필 오브(Theophile Aube) 제독.[1]

1886년에는 청년학파의 핵심 인물인 테오필 오브 제독이 해군장관으로 취임했고, 이후 프랑스 해군은 청년학파의 주장에 맞춰 기존의 건함 계획을 연기하거나 취소하고 어뢰정과 순양함을 다수 취역하는 등 철저히 통상파괴와 연안해군 전략에 의존한다.

Smslussin.jpg
1894년, 오스트리아-헝가리SMS 루씬 어뢰순양함.
제조/운용국함급만재(전투)배수량기준 배수량취역
스웨덴HSwMS 클로스 우글라 어뢰순양함810톤1900년 11월 28일
스웨덴HSwMS 프실란더 어뢰순양함810톤1900년 7월 20일
오스트리아-헝가리SMS 루씬 어뢰순양함995톤1884년 7월 12일
오스트리아-헝가리SMS 티거 어뢰순양함(1887년)1,657톤1888년 3월

1880년 당시의 순양함은 현대의 순양함과 달리 800 ~ 2,000톤 사이의 경량급 전투수상함인 어뢰순양함이 있었는데, 이건 사실상 현재의 어뢰정이거나 초계함급이다. 이 당시는 순양함이라는 단어가 나온 초기라서 그냥 대양을 넘나드는 순양항해능력이 있으면 순양함인 거고, 현대의 순양함 함급과는 의미가 다르다.

Laperousse.jpg
제조/운용국함급만재(전투)배수량기준 배수량취역
프랑스라페루즈급 포좌순양함2,240톤1877년 11월 5일 진수
Amiral_C%C3%A9cille-Bougault.jpg
제조/운용국함급만재(전투)배수량기준 배수량취역
프랑스아미랄 세실급 방호순양함5,900톤1890년 10월 9일 취역

그리고 동일한 시기에 2,000 ~ 6,000톤 사이의 포좌순양함(Barbette cruiser)과 장갑순양함(Armoured cruiser), 방호순양함(Protected cruiser)이 현대 군함의 함급 분류인 '순양함' 급의 시초가 되었다.

640px-French_Torpedo_Boat_No._63.png
1884년 ~ 1895년, 프랑스 해군의 어뢰정 No. 63(33미터형).

19세기 말부터 프랑스 해군이 청년학파의 주장에 따랐고, 당시 프랑스는 거의 200척에 가까운 어뢰정을 보유한 당대 최대의 어뢰정 보유국이 되었다. 만약 청년학파의 예측대로 되었더라면 프랑스는 이 때 세계 최강의 해군이었을 것이다.

4 망했어요

하지만 청년학파의 예측과는 달리 점점 시간이 흐를수록 오히려 정반대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Alfred_Thayer_Mahan.jpeg
알프레드 마한(Alfred Thayer Mahan), (1840년 ~ 1914년).

1890년알프레드 마한은 해군 역사를 정리한 책인 해양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2]을 발표하며 통상파괴 전략의 한계를 주장하였다. 이를 시작으로 청년학파의 의미는 점점 퇴색해 간다.

이때만 하더라도 아직까지는 비판을 덜받는 상황이었고, 어뢰정의 건조가 지속되었기 때문에 프랑스는 1895년 195척의 어뢰정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술발전으로 인해 제대로 된 전드레드노트급 전함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청년학파와 전통적인 거함주의자(함대주의자)들 간의 논쟁이 있었고, 1900년에 전함주의의 복귀로 청년학파의 시대는 막을 내린다. 이 20여년 동안의 기간 동안 프랑스 해군은 연안해군으로 머물렀다.

이들은 현대의 고속정과 비슷한 다수의 어뢰정으로 영국의 대형 함정을 상대한다는 비대칭 전략을 수립하였다. 대다수의 학자들은 청년학파에 대하여 비난하였고 역사적인 기록도 비난으로 점철되어 있다. 청년학파의 계획을 실행한 오브제독의 계획이 기각되었다면 프랑스 해군은 지금쯤 세계최강급의 해군이 되었을 것이라는 의견이 있을 지경이다.[3]

사실 이 청년학파의 어뢰정 중심 건조론은 시작부터 문제가 있었는데, 당시의 프랑스는 이미 해외 각국에 식민지를 보유한 해양 대국이라 어뢰정 중심 전력으로는 이 넓은 해양을 모두 수비하지 못해서 작전계획에 많은 애로사항이 꽃필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청년학파 몰락의 결정적 원인은 아니었다.

더 큰 문제는 기술의 발달이었다. 함선들이 속사포와 같은 신형 무기들을 속속 도입하기 시작하면서 점차 대형함들은 어뢰정에 대항할 힘을 갖추게 되었고, 어뢰정이 대형함을 공격하는 것이 예전만큼 쉬운 일이 아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영국이 어뢰정의 천적이라고 할 수 있는 구축함이라는 중간급 함급을 고안한게 결정타였다. 영국은 프랑스 해군이 어뢰정 위주로 함선을 건조하는 것을 보고 이에 대항하기 위해 1893년에 최초의 구축함을 개발하고 그 해부터 '5개년 건함계획'을 세워 총 82척을 찍었다.

크기도 더 크고 어뢰정을 사냥할 무기를 갖추었고 속도도 대형함보다 빨라서 어뢰로 공격하기도 힘든 구축함은 어뢰정으로 상대하는 게 힘들었다. 구축함이 대형함을 호위하기 시작하면서 실질적으로 어뢰정의 타격능력이 무력화되었고, 대형함 타격 이상의 작전능력을 갖추지 못한 프랑스의 200척에 가까운 어뢰정 전력은 그대로 무용지물이 되고 말았다.

1880년 ~ 1890년 기간 동안 프랑스는 장갑함전함 건조를 소흘히 하였다. 반면 동시기 프랑스의 경쟁국인 이탈리아는 여러 척의 장갑함과 전함 건조를 시작하여 프랑스와의 격차를 좁혔다. 일부 소규모 국가들만 프랑스 청년학파의 주장처럼 해군을 구성했고, 20여년 동안 프랑스 해군을 지배했던 청년학파의 전략은 선두 영국과 더 긴 격차를 벌어지게 했으며 후발주자인 이탈리아가 프랑스를 따라잡는 계기가 되었다.

청년학파의 이론과 현실은 철저한 비대칭 전략과 연안해군에 의존한 해군이 어떠한 결과를 만드는 지에 대한 좋은 예시다. 간극을 메꾸기 위한 무리수는 어차피 위험한 도박이 따른다. 때문에 무리한 전략의 추진은 위험성이 있다. 더군다나 그것이 잘못된 선택일 때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틀란트 해전이나 쓰시마 해전, 명량 해전 같이 비슷한 성능의 군함을 보유한 해군이 일정한 규모의 격차를 극복한 사례는 있다. 하지만 청년학파처럼 기술의 출현에 따라서 상대도 안될 수 있는 소형군함들을 수량으로만 도배한다면 일방적인 학살극이 벌어질 수 있다[4]. 이때는 작전이나 운도 바라기 힘든 지경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비대칭전략이나 요행은 상황에 따라서 격차를 회복하는 것이 아닌 더 크나큰 격차를 벌릴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5 현대전의 비슷한 사례

19세기의 구형 어뢰정 → 20세기의 어뢰정 → 미사일 고속정

비슷한 사례는 현대전에서도 존재한다. 구축함의 출현으로 몰락한 프랑스의 어뢰정과 다르게 세계대전에서도 어뢰정은 출현하였다. 현대전의 어뢰정은 1935년 이후 더욱 빠른 속력과 강력해진 어뢰로 인해 나름 성과를 거두었으나 생산된 척수에 비하면 여전히 별다른 활약을 할수 없었다[5]. 주요 해전이 벌어진 태평양 전쟁을 잘 살펴보면 왜 어뢰정이 활약할 수 없었는지가 잘 드러난다. 미군 함대와 일본군 함대는 어뢰정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해역에서 해전을 벌인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거의 항상 어뢰정의 천적 구축함들이 함께 돌아다녔다. 구축함 뿐만이 아니라 이미 해전의 대세는 항공모함의 항공전으로 넘어가던 추세였고, 함재기의 기총소사조차 견디기 힘든 어뢰정들에게는 너무 가혹한 환경이었다. 그러나 어쨌든 연안방어에는 잘 써먹기도 했다. 비스마르크해 해전 같은 곳에서도 간간히 모습을 드러낸다. 하지만 이러한 신형 어뢰정들도 19세기의 어뢰정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병기인 대함 미사일이 출현하면서 몰락하였다. 이 대함 미사일을 장착한 미사일 고속정은 '에일라트 쇼크'라는 충격을 주며 임팩트있는 출현을 하였지만 다시 대함 미사일을 장비한 대잠헬기에 학살당하며 몰락했다. 이처럼 소혐함은 신기술이 출현할 때 단기간의 선점은 가능하다. 하지만 이후에는 통상 대형함에서도 유사한 체계를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다른 대응할 체계가 탄생하게 되면 바로 망테크로 직행하는 결과가 나온다.

6 관련 문서

7 관련 서적

8 관련 항목

  1. http://en.wikipedia.org/wiki/Th%C3%A9ophile_Aube
  2. 1999년 <책세상> 출판사에서 1,2권으로 나누어 번역출판하였다. 2015년 현재도 쉽게 구매할 수 있으며, 웬만한 도서관에는 모두 비치되어있다.
  3. 당연히 예산과 실전경험이 압도적인 미국을 제외한 수준에서라는 이야기이다.
  4. 비슷한 성능의 함선을 갖추었으나 수적으로 열세인 경우에는 전술로 어느 정도 커버가 가능한 범위일 수 있다. 그러나 '강력한 한 방'을 갖춘 소형선으로 대형함을 상대하는 경우에는 그 '강력한 한 방'이 무력화 되는 순간 전술이고 뭐고 없다. 이쪽의 그 어떤 무기를 들이대더라도 상대에게는 아무런 피해를 주지 못하는 반면, 이쪽은 상대의 화력을 견딜 수 없기 때문이다. 게임이라면 물량으로 찍어누르는 것도 가능하다지만 현실은 게임이 아니다.
  5. 일본 제국산소어뢰로 재미를 보긴 했지만 이 산소어뢰들은 어뢰정에서 운용되지 않았다. 작은배가 항해하기 힘든 태평양을 돌아다녀야했던 일본 연합함대로서는 어뢰정을 끌고 다닐수가 없어서 최소 구축함부터 어뢰를 싣고 다니면서 쏘아댔다. 그나마도 태평양 전쟁 중반부터는 더 이상 활약을 기대하기 힘들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