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가급 전함

제2차 세계대전기의 일본군 군함
전투함
구축함이소카제급,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후부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 아키즈키급, 마츠급
사쿠라급, 카바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잠수함L급, 해중형,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
경순양함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
중순양함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이부키급
순양전함B-40, 공고급, 아마기급, 13호급, B-65
전함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카가급, 키이급, 후지모토 전함 계획안, A-140, 야마토급, 슈퍼 야마토급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호쇼, 류조, 쇼호급(쇼호-즈이호), 류호, 히요급(히요-준요), 치토세급(치토세-지요다), 신요, 다이요급, 카이요, 시마네마루급-야마시오마루
정규항공모함아카기, 카가, 소류, 히류, 쇼카쿠급, 운류급, G18, 다이호, 카이다이호, 시나노
수상기모함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강습상륙함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
연습함 / 포함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다C
어뢰정치도리급, 오오토리급, 제1호형 어뢰정,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해방함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군수지원함
공작함아카시, 아사히
급유/급탄/급병함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타카노급, 하리오급, 무로토급(급탄함), 카시노(급병함)
급양함마미야, 이라코
상륙함정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잠수모함진게이급, 타이게이
잡역선아스카C, 아타다C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C: 노획 함선, 윗첨자A: 전후 완공

{{틀:해상병기 둘러보기}}

해상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미국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영국
2차 세계대전
미국 일본 제국
영국 나치 독일
소련 이탈리아 왕국
폴란드 프랑스
스웨덴 핀란드
중화민국 만주국
냉전
소련 동독
현대전
미국 일본
대한민국 인도
중화민국 러시아
영국 중국
프랑스 태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호주
북한

1 개요

카가급 전함은 일본에서 건조계획되었던 전함의 함급이다. 실제로는 전함으로 건조하다가 군축 협정으로 취소, 카가관동대지진으로 인해 대파된 아마기를 대신하여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었으며 토사의 경우는 건조 도중 취소되어 표적함으로 처분. 그래서 본래 전함이었기 때문에 전함에 붙이던 번국 명칭인 카가를 그대로 사용한다.[1] 본래 아마기급 순양전함의 자매함이었던 아카기도 마찬가지의 이유.

2 배경

88함대 계획을 세운 일본군은 전함 8척과 순양전함 8척을 건조하기로 결정했다. 그리하여 일본군은 나가토급(16×8)을 시작으로 카가급과 키이급, 아마기급(16×10),13호급 (16×8)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1916년 나가토급의 건조를 시작으로 카가도 건조를 해 나가기 시작했는데 이 즈음 유틀란트 해전이 일어났고 여기에서 순양전함이 털리는 사건이 발생하자 일본은 카가의 장갑을 강화하기에 이룬다. 원래는 1923년 진수될 계획이었으나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으로 취소되고 토사는 표적함이 되고 카가는 항모로 개장되지만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에서 SBD 돈틀리스의 공격으로 침몰된다.

3 무장

나가토급 전함의 확대개량형으로 설계되어서 주포탑은 2연장 16인치 포탑을 5기나 올려서 화력이 강했을 것이다. 카가의 경우는 3연장 주포탑 2기와 2연장 주포탑 2기를 올리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거부되었다. 주포탑을 혼용하면 생산, 조달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별로 좋지 않다.
그런데 문제는 주포탑 5기를 올린 것이었다. 당시 영국은 18인치 8문 (4개 포탑)을 단 N3급 전함과 16인치 3연장포 3개를 올린 G3급 순양전함을 건조하고 있었고 미국은 16인치 Mk2 3연장포 4기를 올린 사우스다코타급 전함[2]렉싱턴급 순양전함을 건조하고 있었다.
주포탑 5기를 올리면 가운데 3번 포탑을 중앙부 주포탑이라고 하는데 이 주포탑은 전함의 가운데에 있어 유폭 시 골격 손상으로 함이 굉침되기 쉽고 엔진의 열기를 그대로 받기 때문에 에어컨등 장비를 설치하느라 비용이 더 많이 든다. 레이더와 같은 신형 구조물 설치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덤이다. 참고로 언급한 혼용 방식은 미국이 뉴욕급 전함에서 네바다급 전함으로 넘어갈 때 쓴 방식이다. 다만, 카가급의 중앙부 주포탑과 건현 위 구조물 배치는 후소급과는 다르고, 1차대전기 영국 순양전함 트리와 비슷하다.

여담으로 해당 함급의 경우 일본어 위키피디아에서는 카가급, 영문 위키피디아에서는 토사급으로 각각 문서가 작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문서는 원래 건조하려던 국가인 일본의 기준으로 제목을 정했고, 토사급으로도 들어올 수 있다.
  1. 원래 항공모함의 함명은 상서로운 동물에서 유래한 명칭을 붙였다.
  2. 이는 1920년대에 계획되었다 취소된 함선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