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기의 일본군 군함 | |||||||||||||||||||||||||||||||||||||||||||||||||||||||||||||||||||||||||||||||||||||||||||||||||||
전투함 | |||||||||||||||||||||||||||||||||||||||||||||||||||||||||||||||||||||||||||||||||||||||||||||||||||
구축함 | 이소카제급,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후부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 아키즈키급, 마츠급 | ||||||||||||||||||||||||||||||||||||||||||||||||||||||||||||||||||||||||||||||||||||||||||||||||||
사쿠라급, 카바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 |||||||||||||||||||||||||||||||||||||||||||||||||||||||||||||||||||||||||||||||||||||||||||||||||||
잠수함 | L급, 해중형,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 | ||||||||||||||||||||||||||||||||||||||||||||||||||||||||||||||||||||||||||||||||||||||||||||||||||
경순양함 |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 | ||||||||||||||||||||||||||||||||||||||||||||||||||||||||||||||||||||||||||||||||||||||||||||||||||
중순양함 |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 ||||||||||||||||||||||||||||||||||||||||||||||||||||||||||||||||||||||||||||||||||||||||||||||||||
순양전함 | |||||||||||||||||||||||||||||||||||||||||||||||||||||||||||||||||||||||||||||||||||||||||||||||||||
전함 |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 ||||||||||||||||||||||||||||||||||||||||||||||||||||||||||||||||||||||||||||||||||||||||||||||||||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 호쇼, 류조, 쇼호급(쇼호-즈이호), 류호, 히요급(히요-준요), 치토세급(치토세-지요다), 신요, 다이요급, 카이요, 시마네마루급-야마시오마루 | ||||||||||||||||||||||||||||||||||||||||||||||||||||||||||||||||||||||||||||||||||||||||||||||||||
정규항공모함 | 아카기, 카가, 소류, 히류, 쇼카쿠급, 운류급, | ||||||||||||||||||||||||||||||||||||||||||||||||||||||||||||||||||||||||||||||||||||||||||||||||||
수상기모함 |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 ||||||||||||||||||||||||||||||||||||||||||||||||||||||||||||||||||||||||||||||||||||||||||||||||||
강습상륙함 |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 | ||||||||||||||||||||||||||||||||||||||||||||||||||||||||||||||||||||||||||||||||||||||||||||||||||
연습함 / 포함 |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다C | ||||||||||||||||||||||||||||||||||||||||||||||||||||||||||||||||||||||||||||||||||||||||||||||||||
어뢰정 |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제1호형 어뢰정,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 ||||||||||||||||||||||||||||||||||||||||||||||||||||||||||||||||||||||||||||||||||||||||||||||||||
해방함 |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 ||||||||||||||||||||||||||||||||||||||||||||||||||||||||||||||||||||||||||||||||||||||||||||||||||
군수지원함 | |||||||||||||||||||||||||||||||||||||||||||||||||||||||||||||||||||||||||||||||||||||||||||||||||||
공작함 | 아카시, 아사히 | ||||||||||||||||||||||||||||||||||||||||||||||||||||||||||||||||||||||||||||||||||||||||||||||||||
급유/급탄/급병함 |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 ||||||||||||||||||||||||||||||||||||||||||||||||||||||||||||||||||||||||||||||||||||||||||||||||||
급양함 | 마미야, 이라코 | ||||||||||||||||||||||||||||||||||||||||||||||||||||||||||||||||||||||||||||||||||||||||||||||||||
상륙함정 |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 ||||||||||||||||||||||||||||||||||||||||||||||||||||||||||||||||||||||||||||||||||||||||||||||||||
잠수모함 | 진게이급, 타이게이 | ||||||||||||||||||||||||||||||||||||||||||||||||||||||||||||||||||||||||||||||||||||||||||||||||||
잡역선 | 아스카C, 아타다C | ||||||||||||||||||||||||||||||||||||||||||||||||||||||||||||||||||||||||||||||||||||||||||||||||||
※ |
{{틀:해상병기 둘러보기}}
해상병기 둘러보기 | |||
1차 세계대전 | |||
미국 | 독일 제국 | ||
러시아 제국 | 영국 | ||
2차 세계대전 | |||
미국 | 일본 제국 | ||
영국 | 나치 독일 | ||
소련 | 이탈리아 왕국 | ||
폴란드 | 프랑스 | ||
스웨덴 | 핀란드 | ||
중화민국 | 만주국 | ||
냉전 | |||
소련 | 동독 | ||
현대전 | 미국 | 일본 | |
대한민국 | 인도 | ||
중화민국 | 러시아 | ||
영국 | 중국 | ||
프랑스 | 태국 | ||
독일 | 이탈리아 | ||
스페인 | 호주 | ||
북한 |
1 재원[1]
배수량 | 1,270 톤(경하), 1,400 톤(기준), 1,720톤(만재) | |
길이 | 97.5 m(기준), 102.6 m(개장) | |
폭 | 9.2 m | |
흘수선 | 2.9 m | |
속도 | 37 노트 | |
항속거리 | 6,700km(14노트) | |
승무원 | 약 154명 | |
무장 | 3식 45구경 (120mm)포 4문 | |
7.7mm 기관총 1기(2문) | ||
폭뢰사출구 1기(12발) | ||
533mm 어뢰 발사관 6문 (산소어뢰 6발) |
2 개요
8-8함대에 기반을 둔 건함계획에 기초하여 설계된 구축함이었다. 미네카제급의 확장 개량안으로 원래는 총 27척이 건조될 예정이었지만 워싱턴 해군 군축 계획에 의해서 18척이 취소되고 9척만이 건조되었다.
3 상세
초기 5척의 경우 파슨스식 터빈 2기 2축을 사용하였지만 후기 4척은 함본식 터빈으로 교체되었고 예비어뢰를 추가탑재하는 등의 소소한 변경점이 있다. 양자의 출력은 동일하다.
1921년과 22년 사이에 9척이 기공되었다. 이 함선들은 일본 해군에 의해서 1등 구축함이라 명명 받은 첫번째 함선들로 88함대 계획을 통해 위에서 언급한대로 27척이라는 많은 수가 건조되어 주력 대형 구축함으로 채용될 예정이었다. 취역 초기에는 제대로 된 함선명칭을 받지 않고 함선 명칭을 숫자로 받았다. 더 정확히 말하면 1,2,3번함의 경우 각 함선에 부여할 명칭이 키요카제, 카루카제, 마카제등이 예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군비확장을 통해 구축함에 쓰일 이름이 부족해진 탓에 구축함의 명명법이 변경되어 각 함선들은 제 1구축함부터 제 17구축함까지 홀수 번호 이름을 차례로 단 채로 취역이 되었다.[2] 이후 워싱턴 군축조약을 통해 당초 건조예정의 함선이 크게 줄어들어 이름부족의 우려가 사라진 것을 계기로 1928년에 재명명을 통해서 기존 1등 구축함의 명명법에 따라 기상현상에서 따 온 함명을 부여받게 되었으며 이는 1928년 4월 이전에 진수된 무츠키급과, 기존 2등 구축함식 명명법에 따라 식물명을 부여받은 와카타케급도 동일했다.
3년 먼저 기공된 미네카제급처럼 카미카제급의 모든 함선들도 태평양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이미 충분히 구식화 되었기때문에 주요 임무는 호위 임무에서 사용되었다. 특이한 기록을 가진 함선은 7번함 하야테로 그 이름답게 1941년 12월 11일 웨이크 섬 공격 당시 해안 포대에 의해서 침몰하여 가장 먼저 공식적으로 침몰된 일본 수상함선이 되었다.[3] 1944년에 4척이 잠수함에 의해서 격침되었고 한척이 트럭제도 공습에서 침몰한다. 1945년에 다시 한척이 잠수함에 의해서 격침된다.구축함인데 잠수함을 잡지못하는 [4] 9척중 7척이 대전중에 침몰했고 하루카제는 대파상태로 종전을 맞이했다. 살아남은 1번함 카미카제는 1946년 해안가에 좌초되어 그대로 해체되었다.
노카제, 누마카제, 나미카제 등의 미네카제급 후기형 3척[5] 과 함께 제 1구축대에 속했던 네임쉽 카미카제를 제외하면 다른 함선들은 각각 제5구축대와 제29구축대에 배속되어있었다. 제5구축대는 2~5번함인 아사카제, 하루카제, 마츠카제, 하타카제가 배속되어 있었다. 제29구축대는 6~9번함인 오이테, 하야테, 아사나기, 유우나기가 배속되어 있었다. 아사나기와 유우나기의 경우 임무를 위해서 잠시 제28구축대로 따로 편성되기도 했지만 대전전에 해체되어 다시 제29구축대로 복귀했다.
4 카미카제급 구축함 목록
4.1 제 1구축대
- (미네카제급 13번(노카제급 1번)함 노카제)
- (미네카제급 14번(노카제급 2번)함 나미카제)
- (미네카제급 15번(노카제급 3번)함 누마카제)
- 1번함 카미카제(神風). 예정명 키요카제(清風) → 최초 명명은 제1호 구축함.
4.2 제 5구축대
- 2번함 아사카제(朝風). 예정명 카루카제(軽風) → 최초 명명은 제3호 구축함
- 3번함 하루카제(春風). 예정명 마카제(真風) → 최초 명명은 제5호 구축함
- 4번함 마츠카제(松風). 최초 명명은 제7호 구축함.
- 5번함 하타카제(旗風). 최초 명명은 제9호 구축함.
4.3 제 29구축대
- 6번함 오이테(追風). 최초 명명은 제11호 구축함.
- 7번함 하야테(疾風). 최초 명명은 제13호 구축함.
- 8번함 아사나기(朝凪). 최초 명명은 제15호 구축함.
- 9번함 유나기(夕凪). 최초 명명은 제17호 구축함.
5 매체에서
- 월드 오브 워쉽: 프리미엄 5티어 구축함으로 등장한다.
- ↑ 어째 배수량, 승무원수빼고 미네카제급과 흡사하다
- ↑ 참고로 짝수 번호대는 비슷한 시기에 건조된 2등 구축함 와카타케급의 함선들에게 부여되었다.
- ↑ 진주만 공습당시 갑표적들이 침몰한 적이 있지만 보통 비공식이고 공식 기록상 일본 해군의 최초의 침몰 기록은 12월 10일에는 I-70이 엔터프라이즈의 항공기에 의해서 격침된 것이다.
- ↑ 카미카제급은 이미 구식화되어 있었고 일본해군의 상당수의 구축함이 그러하듯 소나도 장착하지 않은 상태여서 대잠작전능력은 그리 좋지 못했다. 다만 폭뢰는 장비 하고 있었기 때문에 3번함 하루카제의 경우 잠수함을 잡은 전과가 있기는 하다.
- ↑ 이 3척은 기존의 미네카제급에서 포탑, 어뢰관, 마스트배치를 일부 변경했기 때문에 노카제급 또는 개(改)미네카제급으로 따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 노카제급에서 이루어진 개장은 성공적이었던 것으로 평가받아 이후 건조된 카미카제급이나 무츠키급, 이후의 특형 구축함의 설계에도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