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시아의 경제 | ||||||||||||
튀르크계 | 키프러스 | 캅카스 6국 | 페르시아계 | |||||||||
터키 | 키프로스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나고르노 카라바흐 | 조지아 | 압하지아 | 남오세티야 | 이란 | |||
레반트 | 아라비아 반도 | |||||||||||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 레바논 | 요르단 | 이라크 | 시리아 | 사우디아라비아 | 바레인 | 예멘 | 아랍 에미리트 | 오만 | 쿠웨이트 | 카타르 |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 Aa2 | 2013년, 3등급[1] |
1 개요
쿠웨이트는 산유국으로 서아시아의 부국 중 하나이다. 또한 쿠웨이트의 무디스 국가신용등급은 매우 높은 수준. 쿠웨이트의 경제는 전적으로 석유에 의지하는 구조이다. 또한 중동의 인구가 적은 산유국들 중 하나이다.
쿠웨이트는 1963년 부터 최고수준의 1인당 국민소득을 기록한 나라이다. 그 시절 쿠웨이트의 1인당 국민소득 3,257 달러였다. 1974년 ~ 1975년, 쿠웨이트는 석유자산을 100% 국유화하였다.[2] 이전까지 석유생산이 외국자본에 의하여 지배받는 구조였다. 다만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사이에 있는 중립지대의 일본계 회사는 국유화되지 못했다고 한다. 쿠웨이트는 천연가스 자원이 열악하다. 때문에 쿠웨이트에 생산되는 천연가스는 전부 국내에서 소비한다고 한다. 쿠웨이트는 자체적인 정유시설과 석유화학산업을 진흥하여 자력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또한 부비안섬 일대의 걸프지역을 교역중심지로 키우려는 야심을 가지고 있다.
쿠웨이트는 공업 진흥에 어느정도 성공하여 석유정제, 화학비료, LPG플랜트 등을 가동시키고 있다. 쿠웨이트 공업진흥에는 금융과의 연계성을 강화하려는 노력도 있다. 그것은 민간투자와 은행융자를 기반으로 한 사적 자본주의 진흥이다. 어업도 이 나라의 대표적 전통적 산업이다.
2 산업 구조
2.1 수출 구조
2012년 쿠웨이트의 수출 구조, 초록색이 의류업, 파란색이 제조업, 노랑색이 농업, 흑색에 가까운 고동색은 석유-천연가스 관련 산업, 붉은색이 건설자재, 분홍색이 의료-약학-화학-플라스틱산업, 진한 갈색이 철강 등의 제철업, 연갈색은 식품업, 주황색에 가까운 갈색은 광산업, 회색은 기타 미분류이다.[3]
전형적인 땅파서 먹고사는 나라. 수출에서 석유관련 제품이 87%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2 GDP 구조
쿠웨이트의 GDP 구성은 아래와 같다.
2007년 쿠웨이트의 GDP - 산업별 구조[4] | |
서비스업 | 47.5% |
공업 | 52.2% |
농업 | 0.3% |
3 무역
3.1 주요 수출 지역
※ 2006년, 쿠웨이트의 주요 수출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