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시아의 경제 | ||||||||||||
튀르크계 | 키프러스 | 캅카스 6국 | 페르시아계 | |||||||||
터키 | 키프로스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나고르노 카라바흐 | 조지아 | 압하지아 | 남오세티야 | 이란 | |||
레반트 | 아라비아 반도 | |||||||||||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 레바논 | 요르단 | 이라크 | 시리아 | 사우디아라비아 | 바레인 | 예멘 | 아랍 에미리트 | 오만 | 쿠웨이트 | 카타르 |
지금은 멀쩡하려냐?
아니나 다를까. 2015년 7월 6일 수도 다마스쿠스 근교.
1 개요
그냥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망했어요.
시리아 전국민 거지화.
시리아는 프랑스 식민지 시절 공업화 억제 정책으로 공업개발이 억제된 역사가 있었다. 이후 2차대전을 겪으며 물자부족에 시달리게 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시리아는 경공업 등의 제조업을 발전시켰었다. 그 당시 발전한 제조업은 식품가공, 피혁, 시멘트, 섬유 등이었다. 이후 공업화를 시도하기도 했지만 실패하였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시리아도 산유국이었다. 대한민국 국군이 처음에 파병될 뻔한 이라크의 키르쿠크 유전지대와 비슷한 지대인 수웨이디야 유전지대를 비롯하여 여러 곳에서 석유가 꽤 나오는 곳이며 아랍 석유 수출국 기구(OAPEC) 가입국이다. 그만큼 석유 수출도 꽤 하는 편이었다. 다만 품질은 그다지 좋지 않으며 정제 기술 부족으로 정제된 석유를 이집트와 튀니지와 더불어 산유국이면서도 역수입해왔었다. 그러나 아사드 정부가 반미 친러를 지향하여 미국과 적대적이다보니 미국에게서 경제제재를 받아왔기에 경제가 성장을 할수가 없었다.
그.러.나. 이건 모두 옛날 이야기일 뿐이고 지금은 여행금지국가에 분류된 지상 최악의 파탄국가가 되었다.[1] 게다가 시리아 내전으로 4400달러에 육박했던 1인당 국민소득이 지금은 1500달러에 최악의 경우 800달러도 안된다는 얘기도 나올 정도다. 이래서 다에쉬는 뒤져야 한다![2] 이게 사실이면 진짜 빼도 박도 못하고 어디의 1인당 GDP와 동급이 된 셈이다.[3] 게다가 서방의 경제제재가 이전보다 더 강화되었고 심지어 아랍연맹의 국가들에게도 경제제재를 받게되었다. 이러니 가뜩이나 내전으로 개판이 된 경제는 성장 자체가 할수 없어진 상황이다.
2 산업 구조
2.1 수출 구조
2012년 시리아의 수출 구조, 초록색이 의류업, 파란색이 제조업, 노랑색이 농업, 흑색에 가까운 고동색은 석유-천연가스 관련 산업, 붉은색이 건설자재, 분홍색이 의료-약학-화학-플라스틱산업, 진한 갈색이 철강 등의 제철업, 연갈색은 식품업, 주황색에 가까운 갈색은 광산업, 회색은 기타 미분류이다. [4]
수출에서 석유관련 제품이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2 GDP 구조
시리아의 GDP 구성은 아래와 같다.[5]
2005년 시리아의 GDP - 산업별 구조 | |
서비스업 | 58% |
농업 | 24% |
공업 |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