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운하우스

주거용 건축물
공동주택아파트 ・ 연립주택 ・ 다세대주택기숙사
빌라타운하우스셰어하우스
단독주택단독주택저택
전원주택협소주택별장
준주택오피스텔고시원 ・ 실버타운

SSI_20111120182416_V.jpg
타운하우스의 전경. 후술하겠지만 이렇게 전경을 보여줘야 이해가 간다.만덕동 레고마을의 진화판

1 개요

공동정원에 연속 저층으로 건축된 주택.

원래 타운하우스는 영국 귀족들이 도시지역 내에 지니는 저택을 의미했다. 영국 귀족은 자신의 영지 내에 교외주택(Country house)을 가지고 있고, 수도 도시에 따로 주택을 가지는데 이것이 바로 타운하우스였다. 이 타운하우스라는 단어가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면서 지금의 주택단지를 뜻하는 말로 의미가 바뀐 것이다.

이러한 타운하우스는 당시에는 미국 부유층을 위한 호화 저택이었던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당시 서민들은 저가 공동주택이나 저가 아파트에서 거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굳이 이런 형태의 주택에 거주할 이유가 없고, 무엇보다 부지를 많이 잡아먹기 때문에 공급이 적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인구가 많이 몰리는 미국 수도권 지역에서는 타운하우스가 일반인들을 위한 주택이었다. 수도권에선 아파트는 돈없는 학생이나 저소득층이 거주했고, 타운하우스는 아파트보단 비싸고 콘도나 싱글 패밀리 홈[1]보단 싼 주거지였다.

보통 작은 앞뜰/뒤뜰이나 덱이 붙어있지만 워낙 면적이 작은데다 집끼리 딱딱 붙어있다 보니 뭘 하던 다 보인다.

2 특성

단독주택아파트의 장점과 단점을 겸한 것으로 1~2층의 단독주택이 여러 가구씩 모여 정원과 담을 공유하는 형태다. 위의 사진을 보면 알수 있듯이 개성없이 비슷하게 생긴 주택들이 여러개 옹기종기 사이좋게 모여있는 형태를 취한다. 당연하지만 단순히 비슷하게 생긴 단독주택 여러개 모였다고 타운하우스가 되는 건 아니다.

2.1 장점

당연하게도 단독주택과 아파트의 장점을 겸했다.

  • 아파트처럼 답답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가 정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아파트에 비하면 쾌적하다.
  •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되는 측면이 아파트보다 강하고[2], 각 주택간 간이 울타리가 있으면 더더욱 좋다.
  • 공동으로 거주하고 관리비를 징수하기에 치안관리나 기타 관리적인 측면에서 용이하다.

2.2 단점

당연하게도 단독주택과 아파트의 단점도 겸했다. (...)

  • 아파트보다는 덜 답답하나, 주어진 공간을 여러 세대가 나누어 쓴다는 점에서 단독주택만은 못하다. 특히 대지가 좁거나, 같은 건물을 벽을 사이에 두고 공유하게 되어 있는 형태라면 더더욱.
  • 단독주택만큼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되지는 않는다.
  • 공동주택이므로 관리비가 든다.
  • 단독주택만큼 마음대로 집을 꾸미기 어렵다.
  • 아파트처럼 대규모 단지를 구성하는 경우가 드물어서 자체 편의시설(어린이집 등)을 갖추기 어렵다. [3]

3 한국에서

한국에서는 주택전문가들이 10년 후 아파트 '대항마'가 될 주거유형으로 저밀도 공동주택인 타운하우스를 꼽을 정도로 위세를 떨쳤으나...

집은 낡아가고 팔리지는 않고…타운하우스의 눈물
경기일보: 타운하우스 체면 말이 아니네

망했어요

왜 이런 경우가 벌어졌냐면 경기가 둔화되어 소비심리가 위축된 데에 반해 타운하우스는 대형화 고급화만 추구했기 때문이다. 정작 타운타우스를 살 정도로 능력이 되는 부자들은 최고급 단독 주택이나 고급 아파트를 선호하고, 타운하우스 같은 거주공간을 원할 중산층은 비싼 가격 때문에 엄두도 못 내고 있으니... 부동산 거품이 꺼진것은 필연이고 관련 업계는 울며 겨자먹기로 분양가의 절반만 받겠다고 할 정도로 위상이 추락했다.

미국 등지에서는 아주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타운하우스이지만, 한국에서는 비좁은 대지때문에 불가피하게 생겨나는 여러 단점들(세대 당 면적도 좁아지고 마당도 공유하는데다가 소음등의 프라이버시 문제)이 부각되고 가격도 싸지 않아 장점이 없다는 평이 많다. 위에 나온 책 블로그에도 나오듯이 이후 같은 집이 마당도 좁은 채로 따닥따닥 붙은 것은 더 단점이 드러난다. 차라리 아파트에 사는 것을 선호하는 편. 애초에 이런 이유때문에 한국에서 아파트가 크게 발달한 것이다.

다만 유명 연예인들은 돈 걱정 없이 넓은 곳에 살 수 있으니 관리가 편하다는 장점때문에 여전히 타운하우스를 선호하고 있다.

3.1 땅콩집

이렇게 한국에서 기존 개념의 타운하우스들이 실패를 맛보았지만, 대신 중산층이나 서민층을 목표로 설계된 타운하우스가 유행하고 있다. 보통 땅콩집이라고 하는데, 집 한개 지을 땅을 반 정도로 나눠 집을 두 개 이상 짓는다.
파일:Attachment/타운하우스/2.jpg
사진작가 구본준과 친구인 건축가 이현욱이 살 집을 같이 만든 집이다. 참고로 집이 좁아도 앞 마당은 훨씬 넓다. 자세한 건 이 두사람이 이 집을 만들면서 겪은 이야기랑 정보를 적은 두 남자의 집짓기 참고. 이른바 땅콩집으로 한 때 인기를 끌긴 했다. 그러나 이현욱은 이러한 땅콩집에 대하여 어려움을 털어놓은 바 있다.

사실 이 건물 자체만 놓고 보면 대지 하나를 나눠서 두 세대가 벽을 맞대고 거주할 수 있도록 설계한 듀플렉스에 가까우며, 여러 세대가 거주할 수 있도록 단지를 구성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타운하우스로는 보기 어렵다. 그런데 이런 형태의 집도 땅콩집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땅콩집과 타운하우스는 동일한 개념이라고는 볼 수 없다. 땅콩집이라 하면 비교적 좁은 면적에 2~3층 이상으로 올린 주택의 생김새와 그로 인한 비용절감을 표현하는 용어에 가깝고(그래서 단독주택도 땅콩집으로 불리는 경우가 있다), 타운하우스는 거주형태를 표현하는 쪽이라 할 수 있을 듯. 즉, 타운하우스이면서 땅콩집은 아닐 수 있고, 땅콩집이지만 타운하우스는 아닐 수도 있는 것이다.

4 매체에서

f2f903c7b68e64cec778aefad3edd718.jpg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에피소드 중 하나에서 등장 인물인 징징이가 잠시 이사를 간 곳이 징징빌라인데, 단지 안의 집 구조나 생긴 모습이 모두 같은 것으로 보아 서구권의 타운하우스를 모티브로 패러디한것으로 보인다.

티미의 못 말리는 수호천사에서도 더그 디마돔이 디마돔 타운이라는 이름의 타운하우스를 만들어서 사람을 입주시킨 후, 입주민들을 세뇌시켜 노예로 쓰는 에피소드가 나온 적 있다.
  1. 한국의 전원주택 개념. 호화스런 저택급은 아니지만 돈 좀 있는 사람이 사는 단독주택이다. 대개 시내보다는 조금 외곽 지역에 많으며, 출퇴근이 좀 길더라도 집끼리 딱딱 붙어있지 않아서 정원을 제대로 가꾸거나 그냥 좁은 게 싫거나(...) 아이들이 가까운 곳에서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는 걸 바라는 사람들이 선호한다. 뒤뜰엔 잔디딸린 정원 말고도 덱(deck)이라고 해서 집 후면에 크게 오픈된 베란다 같은 공간이 붙어있는 경우가 많다.
  2. 층간소음 문제등
  3. 테니스장이나 체력단련실, 수영장 등 소규모 단지에서도 운영 가능한 시설들은 외국의 타운하우스에서 어렵잖게 볼 수 있으나, 대개 자체 수익이 아니라 관리비로 운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