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핸디드 소드

1 개요

Two-handed sword, 또는 짧게 two-hander. 이 경우에는 two-handed와 sword가 띄워져있으므로, 투핸디드 소드라고 띄어쓰는 것이 옳다. 대개 대검 또는 양손검으로 옮긴다.혹은 '손잡이가 두개인 어마어마한 칼'이라고 옮기기도 한다.

사전적인 의미로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검을 말한다. 서양대검이 아니더라도, 양손검 종류면 전부 다 투핸디드 소드라고 부를 수 있다. 프랑스에서는 espée a deure mains, 이탈리아에서는 spada da due mani, 독일에서는 Zweihänder, Bidenhänder, Bihänder, Dopplehander, 영국에서는 twa handit swordis, too honde swerd[1] 등으로 불렀는데 전부 양손으로 사용하는 검이라는 뜻이다. 즉, 투핸디드 소드라는 단어 자체는 르네상스 시대의 폴암에 가까운 거대한 양손검을 일컬는 독점적인 용어는 아니다.

그래서 지금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서양 르네상스 시대에 사용하던, 롱소드를 거대화시킨 양손검을 칭할때는, 트루 투핸더(true two-handers) 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게 보통이다.

2 투핸더의 크기와 능력

츠바이핸더로 대표되는 르네상스 시대의 트루 투핸더는 1.5~1.8m 정도의 사람 키에 맞먹는 어마어마한 길이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전투용으로 사용된 투핸더의 무게는 2~4kg 내외로 평균사이즈는 1.7m내외였고 무게는 3Kg정도로 생각보단 무겁지 않았다. 사실 1.5m 짜리 길이로 만들어 휘두르면 원심력 때문에 2kg도 절대 가벼운건 아니지만, 10kg[2]은 넘겨야 무겁다고 생각하는 판타지 (비)상식에 찌든 사람들의 느낌으로는 가벼워보이는 수치일 것이다. 하지만 실용적으로는 4kg을 넘기면 숙련된 사람도 다루기가 버거워지고, 5kg을 넘기는 경우는 결코 실전용이 아니다.[3][4] 중세, 그리고 르네상스 시대에는 퍼레이드 소드라는 의전용, 장식용 대형 검을 만들어서 승전행진할때 하나씩 짊어지고 행진하는 일이 자주 있었기 때문에, 발굴된 옛 트루 투핸더 유물 중 지나치게 무거운 경우는 이런 경우. 아니면 르네상스 시대에 만든게 아니라 후세인들이 '옛날 검은 이렇게 무식했지…' 라고 믿고 만든 가짜이거나.

검신 길이는 1.2~1.5m 가량, 힐트 길이는 30~45cm 가량으로 손잡이 길이가 두손으로 잡고도 한참 남을 정도로 길다. 양 손의 폭을 좁게 해서 잡고 휘두르면 이렇게 긴 칼의 원심력을 이겨내기 힘들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사용하고 무게중심을 당기려면 그립이 길어야만 한다. 너무 길어서 기민하게 다루기 힘든 점을 감안해서 크로스가드도 매우 길게 만들어 방어를 고려했다. 검신에서 가드에 가까운 하부 쪽에는 칼날을 세우지 않는 부분인 리캇소가 존재하는데, 그립과 리캇소의 길이를 합하면 전체 길이의 1/3 가량은 날이 안선 부분이므로 장검이 아니라 폴암처럼 넓게 쥐고 운용할 수 있다.

리캇소 상단에는 패링 훅이라는 두 번째 크로스가드처럼 보이는 것이 돌출해있는데 상대의 무기가 리캇소로 미끄러져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한 용도. 판화나 조각에서 등장하는 트루 투핸더에는 패링 훅이 생략된 경우가 제법 있기 때문에 패링 훅이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패링 훅이 없으면 그냥 덩치만 큰 그레이트소드처럼 보이기도 하며, 사실 중세말 그레이트소드와 르네상스 초 트루 투핸더 사이의 과도기적인 시대의 투핸더는 별 차이가 없다.

날이 둔하고 갑옷을 때려부수기 위한 칼이라는 편견이 많지만, 츠바이핸더의 검신 두께나 단면형태는 다른 장검과 차이가 없으며 보통의 검과 마찬가지로 매우 우수한 절삭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플레이트 아머에 대고 휘둘러서 절단한다거나 일격에 반으로 접어버려 내부파손을 일으키는 등의 만화적 묘사는 말 그대로 과장이다. 위력에 있어서는 운 좋게 아주 잘 맞추는 경우에 투구[5]를 깊게 찌그러트리거나 어느정도 찢는 경우는 가능한데, 대개의 폴암들도 이정도는 한다. 더군다나 폴액스나 할버드 같은 중량을 실어서 타격을 가하는 망치머리나 꿰뚫는 부리를 가진 폴암은 더 쉽게 갑옷 입은 적에게 타격을 입힐 수 있으므로, 본질적으로 베는 무기인 투핸디드 소드로 갑옷을 정면 상대하는 무리를 할 필요는 없다.

2.1 전장에서

전장에서 투핸디드 소드는 다양하게 쓰였다. 파이크 방어진형에서 상대편 창대를 때려 걷어치우는 역할이나 아군 방어진으로 돌파해온 적, 기동성있게 파고드는 기병을 격살하는 역할은 츠바이핸더와 할버드 같은 단병접전용 무기에게 맡겨진다. 한편 지휘관이나 부대기를 방어하는 위병 역할도 투핸더 도검수가 맡았고, 파이크를 들고는 실행하기 어려운 적 장창방어진을 파고드는 돌격의 선봉 역시 투핸디드 소드가 적합하다. 한손검? 한손검은 부무장. 도펠졸트너도 카츠발거 같은 한손검을 예비로 휴대한다.

3 오해와 진실

투핸디드 소드를 전용의 칼집에 넣어서 등에 메고 다녔다는 것은 흔한 편견. 칼집에 넣어서 허리에 휴대하는 아밍 소드나 보통의 양손검인 롱소드 [6] 같은 보통의 장검은 높으신 분들의 장신구 겸 신분 증명서이다 보니 특별히 휴대성이 좋은 예외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일단 츠바이핸더의 경우 그냥 어깨에 걸치고 다니거나 수레에 싣고 다녔으며 안전 문제나 날씨 등의 이유로 가죽으로 덮어씌우거나 하기도 했지만 따로 칼집이 있는 것은 아니다. 행군에서의 편의성을 따져보면 분명 등에 메고 움직이는게 편하다보니 등에 매는 칼집이 있을 법도 하긴 한데 딱히 관련 유물은 없다. 기습을 당했을 경우 칼집째 벗은 다음 뽑으면 되니 어깨에 지고 다니는 것만은 못하지만 수레에 싣고 다니는 것보다는 낫기도 하고.

아무튼 양손검은 운반하는 물건이지 차고 다니던 물건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해두자. 게임이나 영화에서 대검을 등에 메고 다니는 장면이 나와도 현실에서 그랬다고 여기기 보다는 그냥 연출적 허용으로 이해하면 된다. 양손검 착용에 대해 얘기해보는 영상. 칼을 어깨로 받치고 다니는 것이 생각보다 안정적임을 보여준다. 소총처럼 칼집에 달린 끈을 어깨에 걸쳐 매는 방법에 대해서도 논한다. 등에 지는 것보다는 훨씬 낫지만, 뽑을 때 생각보다 빠르지도 않고 공격에 지나치게 노출된 자세로 뽑게 된다는 설명.

스코틀랜드의 대검인 클레이모어전용슬링에 넣어서 등에 매고 다니기는 했는데, 클레이모어는 양손검 중에서는 길이가 짧은 편이며 무엇보다 저건 칼몸 전체를 감싸는 칼집이 아니라 슬링이다.

독일의 츠바이핸더와 투핸디드 소드가 다르다거나, 리캇소의 여부로 구분한다는 말은 사실과 다르다. 왜냐면 투핸디드 소드나 츠바이핸더나 같은 의미라서 (츠바이=숫자 2, 핸더=손잡이의... 양손검이란 의미로 투핸디드 소드의 독일어일 뿐이다.) 도 긴 개 긴이기 때문이다. 독일식 이외 지역의 르네상스 시대 트루 투핸더 도검에서도 리캇소가 있는 것 없는 것 모두 발견된다. 하이랜드 지역 클레이모어의 경우는 투핸디드소드나 츠바이핸더 같은 트루 투핸더라기에는 좀 미흡한 편이고, 지역색과 형태의 특징이 매우 확고하기 때문에 개념을 달리하는 별도의 검으로 생각하는 것이 옳다.

4 투핸더 검술

결론부터 말하자면 롱소드 검술을 투핸더로 구사했다.

중세 말~르네상스 초 시대에는 유럽롱소드 검술이 가장 흥했는데, 투핸디드 소드는 롱소드를 대형화시킨 양손검이기 때문에 롱소드 검술이 적용될 수 있었다. 그래서 투핸디드 소드의 검술은 롱소드 검술과 거의 동일하다.
독일 검술서 "골리앗(1510년)"에 실린 삽화는 투핸디드 소드 사이즈의 검을 다루고 있는데, 다만 패링 훅이 없다. 이탈리아 검술 마스터 아칠리 마로초의 검술서 <오페라 노바(1536)>에 실린 삽화에 묘사된 투핸디드 소드는 패링 훅이 있는 확실한 르네상스 시대의 트루 투핸더.

참고자료
[1]

  1. 당연히 옛 영어 표기
  2. M60 들고 휘두른다고 생각해보자.
  3. 군대를 다녀온 사람이라면 최소한 한번 이상은 다뤄보았을 오함마를 생각해보면 된다. 비록 무게중심이 끝 부분에 몰려있어서 더 그럴 수 있다고는 하지만, 5kg정도로 생각만큼 무겁진 않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휘두르기 위해 많은 힘을 필요로 하고 다루기도 어렵다는 것은 몸소 체험해 보았을 것이다. 물론 오함마는 무게중심이 망치의 머리 쪽으로 향해 있어서 더 그런 경향이 크다. 뭔가를 박는데 쓰는 것이라 일부러 원심력을 더 크게 받도록 되어있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투핸디드 소드는 무게중심이 고른 편이므로 오함마만큼 힘들지는 않다.
  4. 또한 1.7킬로 남직한 롱소드도 팔다리를 쓱삭 자를 수 있는 위력을 자랑하고 이보다 가벼운 일본도(1킬로 전후)로도 전투에 아무 문제 없었던 것을 생각해보면 투핸디드 소드라도 무게가 5킬로를 넘을 이유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삼국지연의에 나오는 관우청룡언월도는 거짓이다.
  5. 갑옷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이다
  6. 롱소드도 분명한 양손검이다! 판타지에서 본 걸로 헷갈리지 말자. 단 이 문서의 트루 투핸더보다는 짧기 때문에 롱소드는 상황에 따라, 또는 마상인 경우 등에는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게 불가능하진 않다. 이렇게 한손 사용을 하게 되는 경우의 편의성도 고려해서 만든 롱소드는 특별히 바스타드 소드라고도 부르나, 중세인들은 그런 거 없이 양손검이면 죄다 롱소드라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