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ming Sword
군용 검, 무장용 검이라는 뜻이다. 중세 시대 11세기 경 부터 14세기 사이에 기사와 군인 계급이 사용하던, 십자가형의 크로스가드를 지닌 양날 한손 장검이다. 기사 계급이 대표적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knightly (또는 knight's) sword 기사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영어 위키피디아에서도 아밍 소드로 검색하면 나이틀리 소드로 리다이렉트 해준다. 중세 서양의 검 하면 떠올리는 평균적인 검이 바로 이것이다.
한국에는 롱소드가 한손검이라는 편견이 흔히 퍼져있지만, 롱소드가 한손검이라는 것은 판타지 소설과 D&D에서 잘못 퍼트린 편견이다. 롱소드야 긴칼이고 양손검도 당연히 포함된다. 미묘하게도, 일본에서는 아밍 소드를 브로드 소드로 부르는 일이 많다. 일본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판타지 소설과 게임으로 인한 편견. 사실 이들 '판타지 용어'는 영어단어를 번역해 들여올 때 파이어볼이나 라이트닝볼트와 마찬가지로 그냥 음역해서 들여오는 과정에서 생긴 인식에 불과하다. 아밍 소드도 마찬가지. 애초에 11세기부터 14세기면 신성로마제국시대인데 시골 섬나라 말로 명칭을 정할 리 없다. 다만 이 항목에서는 한국에서 판타지 용어로써 아밍 소드로 지칭되는 양식의 전투용 한손검에 대해 포괄적으로 다룬다.
이런 한손 장검의 계보를 거슬러올라가면 로마 시대의 스파타가 나오는데, 스파타는 대이주 시기를 통해 게르마닉 철기 시대의 도검에 영향을 미치고[1], 대이주 시대 검은 바이킹 시대의 바이킹 소드에 영향을 미친다. 바이킹 소드는 유럽에서 노르만, 앵글로 색슨 등에서도 두루 비슷한 형태로 사용되다가 점차 폼멜이 둥그렇게 변하고 크로스가드가 길어지면서 11세기 정도에 우리가 생각하는 중세 검, 아밍 소드로 변화한다.
아밍 소드도 형태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검신의 폭이 넓고 풀러가 길던 초기형에서, 점차 테이퍼가 심해지고 풀러가 짧아지다가 결국에는 풀러 없이 다이아몬드형 단면의 검신을 지닌 칼끝이 매우 뾰죽한 형태로 변해간다. 가드와 폼멜 그립 등 각종 구성요소도 오랜 세월 동안 다양한 유행과 변화를 거쳐서 변화해나간다. 중세의 도검도 시대적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해서 진화했다는 증거.
검신의 양 날이 거의 수평에 가깝던 바이킹 소드에 비해 아밍 소드는 칼끝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형 검신을 지니고 있다. 크로스가드가 길기 때문에 손을 잘 보호해주며, 폼멜이 둥글고 무게추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무게와 길이에 비해 매우 쉽게 다룰 수 있는 검이다. 이런 형태 상의 특징은 평범하게 생각하면 아무 의미 없게 들리지만, 검술과 도검 전문가에게는 큰 의미가 있다. 칼끝으로 갈수록 뾰죽해지는 테이퍼형 검신은 찌르기에 유용하다는 뜻인데, 비슷한 크기와 무게의 선조격 도검인 바이킹 소드는 검신의 양날이 거의 수평에 가깝게 유지되기 때문에 찌르기에 그다지 적합하지 않으며 베기로 많이 썼을 거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에 영향을 받은 중세 후기 나이틀리 소드의 테이퍼형 검신은 찌르고 베기 모두에 능하다는 뜻이고, 본래 찌르기에만 특화되어 있던 군단병 시절의 스파타에서 각개전투에 유리한 베기로도 검의 사용법이 다양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크로스가드가 길다는 것은 크로스가드가 단순히 손의 보호만 하는 것이 아니라 크로스가드를 적극 이용해야 하도록 검술의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
기사라면 검과 방패만 들고 싸우는 것처럼 생각하기 쉽지만, 이것만 들고 싸우지는 않는다. 봉토를 가지지 않고 실전을 자주 치뤘던 노르만 기사의 당시 기록과 재현도만 보더라도 칼과 방패 뿐만이 아니라 도끼와 창도 썼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기사의 가장 위력적인 공격인 첫 돌격은 창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으며, 보통 이 첫 돌격으로 창은 부러지거나 (금속제의 경우) 구부러진다. 물론 카우치드 랜스가 보급된 건 중세 전성기의 이야기이고, 이 카우치드 랜스 기술은 5m나 되는 기마용 랜스를 다루기 위한 것이었다. 이전 시대의 기사들은 2~3m짜리 창을 썼으며, 반드시 카우치드 랜스만으로 돌격이 이뤄진 건 아니고 두손으로 창을 다루거나 투척하는 일도 많았다. 그러나 창을 소모했을 경우 한손 무기를 그냥 말 타고 지나가다가 후려치는 것만으로도 굉장한 위력을 발휘했다. 리차드 1세처럼 마상에서의 위치 에너지를 활용한 이 내려치는 공격은 십자군 전쟁 시기의 이슬람 세력에게 굉장한 위력을 발휘했던 것이다.
기사가 검을 꺼내드는 상황은 보통 하마下馬 전투시였다,[2] 직도는 마상에서 활용하기에 그다지 적절하지 않다, 다른 문명권에서 마상용 검은 곡도가 일반적이다...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육중한 직검의 충격력이나 찌르기 공격은 중세 이후로도 오랜 기간 중기병의 주 전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윙드 후사르의 경우 육중한 직검과 경쾌한 곡도를 모두 안장에 매달고 다니다가 상황에 따라서 선택하여 사용했고, 18~19세기 유럽의 세이버도 후사르등의 경기병은 휨각이 큰 것을, 퀴레시어등의 중기병은 직선형 도검이나 휨각이 적은 묵직하고 긴 쪽을 선호했다. 오히려 나폴레옹 전쟁 내내 휨각이 큰 세이버를 휘두르던 영국 기병은 워털루 전투에서 프랑스 흉갑기병과 창기병에게 털린 뒤에 직선형 도검으로 전환하기도 했다.[3]애초에 곡도를 휘둘렀다고 흔히 생각하는 이슬람권 기병조차 십자군 전쟁 당시에는 직선형 도검이 주류였다.
한손검은 칼집에 넣어 허리에 차고 있으면 항시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라도 최소한의 무장으로 갖출 수 있다. 검술을 수련해야 한다는 전제가 붙긴 하지만 검술을 수련한 경우 맨몸의 상대라면 매우 우수한 살상력을 발휘할 수 있고, 갑옷을 입은 상대에 대해서도 창과 마찬가지로 충분히 효과를 볼 수 있다. 상대가 장병기를 들고 있으면 왼손에 방패를 들어 매우 우수한 방어력으로 맞설 수 있고, 검술을 수련하면 매우 충분히 상대가 가능하다. 내가 도끼나 할버드, 창, 그레이트소드과 같은 장병기를 들었을때는 칼집에 넣어두면 주무기를 잃었을때를 대비한 든든한 예비 무기가 된다. 창이나 할버드의 경우 평상시에 들고 다니기엔 너무 귀찮고 쓸 때에도 제한사항이 붙지만, 한손검은 가볍고 걸리적거리지 않으면서도 든든하다. 물론 검술을 수련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붙지만 익혔을 경우 편곤이나 프레일 같은 경우를 제외한다면 거의 전 영역에 충분히 대응가능한, 다른 무기 못지 않은 무서운 무기가 된다.
더불어 사회가 안정되면서 거치적거리는 창과 당시 인식으로는 '야만인의 무기'로 인식되던 도끼[4]는 배제되기 시작했고, 자연히 귀족들 사이에서는 카톨릭의 상징이던 십자가와도 닮아 '고상한 무기'인 검의 지위도 올라 상류층에서부터 검술을 단련하는 문화가 형성되었다.[5] 사회안정화가 이룩되었다고는 하지만 툭하면 결투를 해대던 당시 시대상을 보면 칼을 소지할 수 있을 정도로 부유하다면 필사적으로 익히는 게 당연한 무기이기도 했다.
아밍 소드와 버클러(소형 방패)를 사용하는 소드 앤 버클러 검술서 I.33 검술서는 학자에 따라 13세기 말에서 14세기 초중반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보는데, 어쨌든 유물이 현존하는 중세 서양의 검술서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I.33 검술서는 갑옷을 입었을때가 아니라 평상복 차림으로 사용하는 검술이기 때문에, 기사의 훈련용으로 수련되었을 뿐만 아니라 평민의 호신검술, 중장병에 비해 가벼운 무장을 하는 궁병 등의 군인 계급의 검술로도 사용되었을듯 하다. 실제로 중세 시대에 아밍 소드와 버클러는 평민도 애용한 호신 무장이었으며, 르네상스 시대까지도 소드 앤 버클러 스타일은 꾸준히 사용되었다.- ↑ 그보다도 더 거슬러 올라가면 켈트계 장검에까지 소급할 수 있지만 직접적인 조상이라 보기는 어렵다.
- ↑ 이 하마下馬 기사의 전투력도 결코 폄하당할 만한 것은 아니라서, 실제로 백년전쟁 기에 영국 하마기사들의 전투력에 강한 감명을 받은 프랑스 기사들도 수하들에게 하마 전투를 명령하기도 했다. 물론 그 프랑스 기사들이 아쟁쿠르 전투에서 한 삽질에 대해서는 잠깐 눈을 감아주도록 하자... 백년전쟁의 각 전투 항목 참조.
- ↑ 덤으로 그전 까지는 등한시 했던 창기병도 창설하고...
- ↑ 도끼는 바이킹 전사들이 정말 애용했고, 중유럽 등지에서는 바이킹=야만인이었으므로 이 때문에 도끼 또한 야만인의 무기라는 인식이 중세 유럽권 전역에 자연스레 확산되었다.
- ↑ 더불어 검은 서유럽 문화권에서는 권력의 상징이기도 했다. 기사 서임에 쓰이는 도구가 칼이기도 했고. 아서왕 전설만 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