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이집트/역사
فاروق الأول/Fārūq al-Awwal.
Faruk,Farouk 1. 1920. 2. 11 ~ 1965. 3. 18.
재위 - 1936년 4월 28일 ~ 1952년 7월 26일.
1 개요
이집트의 사실상 마지막 왕.[1][2]그리고 섹스왕의 모델 파오후 1세
2 국왕 시절
사실상 영국 식민지나 다름없던 이집트의 카이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인 푸에드 1세(1868~1936)가 죽고 16살에 제위를 이어받았다. 하지만 이집트/역사 항목에 나오듯이 이집트는 영국 식민지나 다를 거 없었다. 18살때 결혼하여 공주만 셋 얻었고, 28살에 이혼했다가 1951년 재혼하면서 아들 푸아드 2세를 얻게 되었다.
1942년에는 영국의 압력에 굴복하고 영국 눈치를 봐야했기에 허수아비 왕으로서 군림하던 중 1차 중동전쟁에서 패배하면서 군부의 반발이 이어진다. 그런 와중에 1952년 가말 압델 나세르가 주도하는 군부에게 퇴위당했다.
이 당시, 재산을 거의 놔두고 몸만 유럽으로 떠났지만 그래도 머리를 써서 몇몇 재산 일부만을 가져가게끔 허락을 맡았는데 그것이 바로 와인 상자였다.이 상자안에 와인과 같이 거액을 상당히 챙겨서 유럽으로 가서 살게된다.
3 퇴위 이후
이탈리아에서 아내 나리만 사데크(1934~2005,왕비가 된지 1년만에 아들을 낳고 그해 퇴위)와 아들인 푸아드 2세(1952년생으로 지금도 생존)와 같이 찍은 사진.매우 후덕하다.
한가득 챙긴 재산 덕분에 오스만 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오르한과 달리 꽤 여유롭게 잘 살 수 있었다. 대식가였고 종교는 이슬람이었지만 와인이나 맥주를 무척 즐겼다고 한다. 한끼 식사에 세병의 와인을 족히 비울 정도로 술을 좋아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것이 그의 수명을 재촉하는 결과가 되었다.
파루크 1세는 국왕 즉위 이후 어느 시점에서부터 급격히 비대해지기 시작하였는데....여기서 파루크 1세가 비대해지기 이전의 사진을 보자.
섹스왕도 완성은 얼굴
이랬던 파루크가 그놈의 식습관 때문에 본문 서두의 비대한 이미지로 역변....
그의 누이동생 파우지아 시린은 이란 국왕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의 첫 번째 아내였기에 (다만 이들은 1948년에 이혼했고, 파우지아는 그 이듬해 재혼한다) 한때는 이란으로 가서 살려고 했지만 레자 샤가 입국을 거절해서 갈 수 없었다. 이렇게 문전박대를 당하자 파루크 1세는 "그놈이라고 언제나 그 왕위를 유지할 지 아느냐?" 이라며 비아냥거렸는데 정말로 1979년 호메이니에 의하여 레자 샤는 퇴위당했다. 웃긴 건 레자 샤는 퇴위 직후 이집트로 망명했고 2년도 못가 1980년 죽어서 이집트에 묻혀졌다.(...)
이탈리아에서 살아가던 그는 1965년 3월 18일 로마의 고급 레스토랑에서 푸짐한 식사를 하던 도중 갑작스런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그래도 그는 사망 후 시신으로나마 조국으로 보내져 무덤에 안장되었다.
4 기타
자동차 운전 및 수집을 좋아했다. 한 가지 특이점은 붉은색을 좋아했는지 그가 차를 사는 족족 붉은색으로 모조리 도색했다는 점이다. 그러고는 법으로 붉은 차를 모는 것을 금지했는데, 이유는 자기 혼자만 붉은 차를 몰아서 아무리 도로에서 과속이나 음주운전을 해도 경찰들이 자신인 것을 알아보게 해서 벌금을 매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였다(...)
도벽 증세가 있었다. 윈스턴 처칠과 회담 도중 처칠의 시계를 몰래 훔쳐서 본국으로 가지고 왔다고 한다.
세계에서 가장 큰 포르노 콜렉션을 가지셨다고 한다(...).- ↑ 진짜 마지막 왕은 그의 아들 푸아드 2세(1952~)지만, 생후 6개월 만에 왕위에 올라 11개월 만에 폐위되어 큰 의미는 없다.
- ↑ 단, 이는 이집트를 다스린 모든 왕을 통틀어서 따졌을 때의 이야기이고 이집트의 마지막 토착민 군주는 고대 제 30왕조의 3번째 파라오인 넥타네보 2세였다. 이집트는 넥타네보 2세가 죽고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에게 점령당한 이후 파루크 1세가 물러나기까지 2000년 넘는 세월동안 외세의 통치를 받아야만 했다. 다만 이게 꼭 암울한 것만은 아닌 것이 넥타네보 2세 이후로도 토착민이 아녔을 뿐이지 파라오라는 직책은 클레오파트라와 카이사리온까지 계승되었고 로마 시대 군주들 역시 비슷한 컨셉을 유지했고 뒤를 이어 이집트를 다스린 아랍인 군주들도 이집트를 자신의 나라로 생각하고 다스렸기 때문에 이집트라는 나라가 지금까지 유지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