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선

八仙

1 개요

중국도교 전설에서 찾아볼 수 있는 신선 중에서도 대표적인 여덟 명의 선인. 그 구성원은 시대 및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현대에는 《상동팔선전》에 나온 인물들로 고정되었다.

2 팔선의 구성원

이 팔선의 구성원은 본디 일관되지 않고 시대와 지역에 따라서 달랐지만 명나라경극 《팔선과해》(八仙過海)를 기초로 고전 소설 《상동팔선전[1]이 쓰여지기 전인 원나라대에 이미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정립되었다.

현대에 익히 알려진 팔선은 이들 여덟 명이다. 이들 중 여선(女仙)은 보통 하선고 뿐이라고 하지만 남채화 또한 여성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들 외에 장사랑(張四郞), 서신옹(徐神翁), 풍승수(風僧壽), 원호자(元壺子) 등이 팔선중(八仙衆)에 포함되기도 한다.

이렇게 본래 팔선의 구성원이 지리멸렬했던 것에도 알 수 있듯이 종리권과 여동빈을 비롯해 익히 알려진 이들 여덟 선인도 시대순이 제각각이고 설화 또한 별개로 나뉘어졌던 것이 후대에 합쳐진 것이다.

3 암팔선

팔선들 각각이 소유한 법보(보패)를 두고 암팔선(暗八仙)이라 이르며 이 암팔선들은 팔선을 가리키는 상징이다.

이철괴는 표주박, 종리권은 파초선, 여동빈은 , 한상자는 피리, 하선고는 연꽃, 장과로는 어고(魚鼓),[2] 그리고 조국구는 옥판(玉板)을 들고 있다.

팔선이 조복한 괴물 탐(괴물)의 그림에는 암팔선이 함께 그려져있는 경우가 많다.

4 또다른 팔선

  • 익히 알려진 팔선과는 달리, 의 팔선이 따로 존재한다. 이는 파촉 지방에서 등선했다고 알려진 선인들로, 용성공(容成公)·이이(李耳)·동중서(董仲舒)·장도릉(張道陵)·장군평(莊君平)·이팔백(李八百)·범장생(范長生)·이래선생(爾來先生)이다. 이들 촉팔선은 동진초수가 지은 《촉기》에 나온다.

5 대중문화 속의 팔선

  • 한국무협소설에는 검선(劍仙)이라고도 불리는 여동빈이 자주 언급되며, 개방의 시조가 이철괴라는 설정도 간간히 눈에 띈다. 특히 개방의 무공으로 자주 나오는 보법 취팔선보는 팔선에서 따와 이름을 지은 것이다.
  • 성룡영화취권》에서 나오는 무공도 취팔선보를 인용했는지, 각종 동작이 팔선의 특성을 따서 지어졌다. 다만 유일하게 여자인 하선고만은 황비홍이 여자 흉내 내기가 쪽팔린다는 이유로 제대로 배우지 못해 살인 청부업자 염철심에게 자비없이 털린다(...).
  • 채운국 이야기에서는 상동팔선전의 팔선과는 다른 채팔선이 등장한다.

6 관련 항목

  1. 달리 《동유기》라고도 불리운다.
  2. 악기의 일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