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제타이로이

Pezhetairoi/Pezhetairos

1 개요

페제타이로이[1]마케도니아 왕국디아도코이 왕국들의 팔랑크스보병 부대로, 이들 부대의 중추에 해당하는 부대였다. 가로 16명 세로 16명으로한 부대에 총 256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 장비

그들은 뿔 모양의 투구와 흰 린넨 갑옷을 장비했으며 팔랑크스의 상징인 호플론[2]는 최대한 줄여 한 팔에 걸 수 있게 만들었다. 그리고 사리사라는 5.4m짜리 장창과 팔카타로 무장하고 있었다. 이들은 그리스 호플리타이에 비교하면 경장이었으나, 이는 기동력을 살리는데 도움이 되었다.

3 역사

필리포스 2세 당시에의 군제개혁으로 모습을 드러낸 페제타이로이는 완전한 마케도니아식 팔랑크스였다. 이들은 필리포스 2세가 그리스에서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펼친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망치와 모루 전술의 모루 역할을 완벽히 해내며 화려한 데뷔전을 펼친다. 이후 그들의 진정한 활약은 알렉산더 대왕아케메네스 왕조 정벌에서 나타난다. 당시는 망치와 모루 전술이 보편적이지 않아서 페르시아 군대는 주로 전차로 전열을 흐뜨리고 보병•기병이 닥돌하는 전술을 이용했다. 하지만 5.4m짜리 장창으로 무장하고 있는 마케도니아군 앞에서는 끔살밖에 없었다. 이렇게 망치에 헤타이로이, 모루에 페제타이로이를 이용해서 알렉산더 대왕이 펼친 완벽한 망치와 모루전술로 페르시아 군대는 완벽히 무너지고, 아케메네스 왕조는 멸망한다. 이후 인도•중앙아시아를 정벌하는 동안 마케도니아 페제타이로이엔 페르시아인들이 많이 입대하게 된다. 이렇게 완전히 헬레니즘 군대의 중장보병으로 자리잡은 페제타이로이는 형태가 조금씩 바뀌면서 디아도코이들에게도 애용되었으나, 로마 제국의 정벌에 디아도코이들이 몰락하면서 함께 자취를 감춘다.

4 장단점

이들의 방진은 "사과를 던졌을때 사과가 땅에 떨어지지지 않으면 잘 짠 방진이다"라는 말이 있을 만큼 빽빽했다. 이는 보병과 기병이 전열 앞으로 파고 드는걸 완벽히 방지할수 있었으며 원거리 공격에도 어느정도의 방호력을 제공해주었다. 이는 전열의 지속시간을 압도적으로 늘려 망치와 모루 전술 구사에 큰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호플리테스들과 똑같이 측면공격에 매우 취약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전장이 평지가 아니라 울퉁불퉁할때는 기동 중 전열에 금이 가기도 했다. 즉, 평지에서는 고대 세계에 최고의 강자 중 하나였으나 그 외의 전장에서는 위태로웠으며 보조병과가 꼭 측면을 받쳐줘야 했던것이다. 이 페제타이로이의 약점은 피드나 전투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1. 그리스어로 걷는 친구들이라는 뜻이다.
  2. 지름 1m에 달하는 청동제 원형방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