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준기

41152453.1.jpg

韓俊基

1927년~2011년 10월 15일

대한민국의 전 철도 공무원. 흔히 알려진 경의선 마지막 기관사로 유명하다. 사진은 생전의 모습이다.

1 연혁

1927년 일본 후쿠오카 출신으로 1943년부터 1945년 10월까지 일본에서 철도기관사로 근무했다. 당시에는 일본이나 한국 모두 증기기관차가 운행하던 시점이었던 만큼 귀국 후에도 이 경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해방 후인 1945년 11월에 귀국해 1946년 2월부터 서울철도국 수색기관차사무소(현 코레일 서울본부 수색차량사업소)에서 근무하면서 서울역에서 토성역까지의 80km 경의선 구간을 담당했다. 당시 이 기록은 상당히 빠른 편으로 1946년을 기준으로 봐도 19세. 대한민국 철도 공무원 역사상 최연소 기록이라고 한다.

그러나 1950년에 발생한 6.25 전쟁은 경의선의 운행을 중단시켰고 1950년 12월 31일 한포역에서 내려오던 열차를 마지막으로 경의선 열차에서 내렸다. 경향신문 기사에 의하면 1967년까지 기관사로 근무한 후 행정직으로 전환하셨다고 한다.[1]

이후 1985년 철도청에서 은퇴, 은퇴 후에도 철도 관련 행사에 참가하셨고 2000년 건설교통부에서 만든 경의선 관련 자료집에서 경의선 마지막 기관사로 공식 인정했다.

이후 2009년 증기기관차 전시식에 참가한 후 노환으로 병원에 있다가 2011년 10월 15일에 별세했다. 장지는 진안군 안천면[2]의 선영이다.

2 장단역에 멈춰선 증기기관차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장단역 항목에 있는 장단역과 한국전쟁 부분을 참고하시길 바란다.

장단역에 있다가 지금 임진각으로 옮겨진 열차는 1950년 12월 31일 군수물자로 싣고 북진하던 열차였으나 당시 중공군의 개입으로 한포역에서 남하하던 상황. 이 이후의 내용은 고인의 인터뷰를 참조하자.

개성역에 도착해 거기서 기차 차량을 정리해 기관차 두 대에 매달아 먼저 보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도 출발했다. 밤 10시쯤 장단역에 우리 기관차가 도착하자 미군들이 총을 쏘기 시작했다. 이미 그 때 북한군이 쓰지 못하게 모든 차량을 불태우라는 명령이 떨어졌던 것이다. 그렇게 장단역에 기관차를 버리고 우리를 태우러 온 다른 기차를 이용해 후퇴했다.

당시 철도기관사들은 군수물자나 식량을 수송하던 상황이었고 국군의 진군과 후퇴에 따라 일진일퇴를 거듭하고 있었다. 그만큼 위험한 상황에 있었고 병력 수송도 이뤄지고 있었다.[3] 이런 상황에서 움직였으니 볼 거 다 본 셈.

3 고인과 관련된 기사

# 경향신문 2000년 기사. 일부가 짤렸다.

# 뉴스한국 2009년 기사. 임진각에 고인이 몰던 증기기관차가 전시될 당시의 인터뷰

# 동아일보 2011년 10월 16일 기사

# 경인일보 2011년 10월 16일 기사

  1. 주 근무지는 경의선, 경원선이었다고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두 곳 다 남북 분단으로 끊어진 곳이다.
  2. 이전 문서에서 충남 금산군 안천면이라 적어뒀는데, 안천면은 전북 진안군에 있는 동네이다
  3. 현재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된 김재현 기관사는 윌리엄 딘 소장 구출작전에 자원해 특공대원을 수송하고 대전으로 내려갔다가 북한군의 공격을 받고 그곳에서 사망했다. 김 기관사는 1983년에 이곳에 이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