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서울현충원

현용 로고[1]이전 로고
여기는 민족의 얼이 서린 곳.

조국과 함께 영원히 가는 이들
해와 달이 이 언덕을 보호하리라.

홈페이지

1 개요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 (동작동)에 소재한 국립현충원. 1955년에 개장하였으며, 원래 개장 당시에는 '국군묘지' 라는 명칭으로 지정되었다가 1965년 국립시설로 승격되어 '국립묘지' 로 불리웠다가 2006년에 '현충원' 으로 변경되었다.대한민국 국방부 산하 기관이다.

개장 당시에는 6.25 전쟁전사(戰死)했던 군인, 군무원, 종군자 시신들을 안장하는 위주로 갔었으나, 국립묘지로 승격되면서부터는 일제강점기일제(日帝)에 맞서 싸우다 순국(殉國)한 애국자독립유공자 등의 호국영령을 비롯해 경찰관, 향토예비군 시신까지 추가안장함에 따라 호국보훈 및 추모시설로 나가게 되었다.

묘역에는 일반묘역과 애국자 및 독립운동가 묘역, 군인 묘역, 경찰 묘역, 무명용사 묘역 등이 있으며 현충탑, 현충문, 현충선양관, 충렬대, 전쟁기념관, 무명용사의 탑이 있다.

매년 현충일이 되면 이 곳에서 현충일 추념식이 열리며 대통령을 비롯한 국가 및 정부요인, 각계 인사들이 참석하여 현충탑 앞에 분향 및 헌화 의식을 가지기도 한다. 대통령이 부재시에는 국무총리가 대신 참석하여 추념사를 낭독한다. 그 외에도 1월 1일 아침에도 반드시 대통령이 처음으로 가는 곳이 이 곳. 또한 국회의원 선거 출마자나 당선자의 경우 거의 첫 일정이 여기 오는 것[2]이다. 그 외에 참배객들과 보훈유족들이 방문하여 복잡하고도 시끌벅적한 분위기를 보이기도 한다. 심지어 평상시에는 보이지 않던 노점상들이 반짝 등장한다.[3] 특히 일부 철부지 꼬마들이 묘역에 꽂혀놓았던 태극기를 뽑아 장난감으로 삼기도 하여 묘역에 꽂힌 태극기들이 뽑히는 수난을 당하기도 한다.
현충일 추념식 때에는 예수쟁이가 곳곳에 출몰하기도 한다![4]

국립대전현충원 개설 이후로 서울 현충원으로의 일반 장병의 묘 안장이 중단되었지만, 대전 현충원 포화에 대비하여 민간 납골당과 비슷한 개념인 실내 봉안시설인 충혼당이 건설됨에 따라 유족의 의사에 따라 서울 현충원에 유해를 봉안하는 경우도 있다.[5]

국방부 소속이기 때문에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제52향토보병사단 예하부대인 52경비대에서 현충원을 경비했으나, 경비업무가 민간으로 넘어가면서 2008년 11월 21일 해체되었다.

3541.jpg
여담이지만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방문하여 참배한 적이 있다!!뭔가 어색하게 보이지만 넘어가자. 어디에다 대고 신성한 우리 현충원에서 사기질이야 아베 국립현충원 참배

평상시에도 개방되어 있으며, 인근 주민들이 산책하기도 한다. 또한 벚꽃철이나 단풍철에는 꽃구경하러 많이 찾아온다.

1.1 안장자

1965년 미국 하와이에서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사망한 이후 이곳에 안장되었고, 1979년에는 10.26 사건으로 사망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안장되었으며, 2009년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안장된데다가, 2015년엔 김영삼 전 대통령이 사망함에 따라 이곳에 안장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 고인(故人)이 된 국가원수 4인의 묘가 있다.

철도공무원들 중 김재현 기관사가 최초로 이곳에 안장되었다. 고인은 1950년 7월에 윌리엄 딘 소장 구출 작전에 참가했다가 온 몸에 8발의 총탄을 맞고 사망했다. 공무원 출신으로는 드물게 장교묘역에 있다.

외국인으로는 석호필(스코필드)박사가 이곳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되었고, 장후이린, 위쉬팡도 중국 국적으로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되어 있다.

스포츠계의 유명인으로는 2016년 9월 8일 자살로 생을 마감한 야구 해설가인 하일성 KBO 전 사무총장이 이 곳 충혼당에 안치된다. 사유는 베트남 전쟁 참전용사 자격이다.

서울현충원 2번 사병 묘역에는 육군 중장, 즉 장군의 신분으로 장군 묘역을 거부하고 유언에 따라서 최초로 사병 묘역에 안장된 채명신 장군의[6] 묘소가 있다. 묘번은 34489. 묘지에 들어서는 화강암 비석도 일반 사병의 것과 똑같다고 한다.

2 사건사고

1970년에 북한에서 남파된 간첩 3명이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리는 한국전쟁 20주년 기념식에 참여할 예정이었던 대통령 및 정부 요인을 암살하기 위해 정문인 현충문에 폭탄을 설치하던 중 폭탄이 그대로 폭발하여 폭탄을 설치하던 간첩 1명이 사망하고 현충문이 일부 파손된 사건이 있었다.

3 교통

4호선9호선이 만나는 동작역, 그리고 동작대교가 국립서울현충원과 인접해 있다.4호선역과는 좀 멀지만,9호선과는 매우 가깝다.이 역의 부역명이 주역명인 대전의 모 역과 심히 비교된다9호선 동작역 8번 출구로 나가면 바로 정문이다.특히나 현충일 때에는 도로도 막히니 지하철을 타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국립현충원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2016년 3월 29일 대한민국 정부 통합 상징으로 교체와 함께 상위 기관인 국방부 로고로 교체.
  2. 보통 지역구 의원은 해당 지역 국립묘지를 찾는다.
  3. 명절에도 현충일 만큼은 아니지만 많다.
  4. 솔직히 경건한 현충원에 이단들이 판을 치는 게 애초에 말이 안 되는데, 그렇다고 정면대응하지 말고 이 항목을 참조하자.
  5. 윤승주 일병과 김지훈 일병의 유해도 유족의 뜻에 따라 대전현충원 안장 대신 서울현충원에 봉안되어 있다.
  6. 전역 직후부터 평소에도 서울 현충원에 오면 자신은 이렇게 살아있고 부하들은 여기 잠들어 있다면서 통곡을 했다고 하며, 그래서 채명신 장군이 스스로 자신이 죽으면 여기에 묻혀야 하겠다고 생각 했다고 한다. 이를 위해서 청와대에 편지를 보내는 등 우여곡절 끝에 김관진 국방부 장관이 조문을 하면서 사병 묘역에 안장하는 방안을 유가족들에게 전달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