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Hantavirus 잘못하면 한타로 인류팀쪽이 밀리기 시작한다
RNA 바이러스의 한 속(유행성 출혈열의 원인 바이러스 포함)을 가리키는 말이다.
2 세균전 무기?
1930~40년대에야 이것을 알아챘고 한국전쟁으로 세계에 널리 알려졌다. 당시 UN군 장병 약 3천 2백 명 가량이 감염되었으며, 이중 수백 명이 사망하였다.[1] 북한과 중공군의 사망수는 밝혀지지 않았다. 중공군이 한강이남을 못 넘어온 까닭의 하나가 '병영 안에 괴질이 돌아서.'였는데, 그 괴질의 원인이다. 국가유공 바이러스
당시 미군, UN군, 소련군, 중공군은 이것을 상대가 만든 헬퍼생물학 무기라고 생각했을 만큼 피해가 심각했다.
실제로 공산군측은 소련의 위성국가 및 중립국 학자들로 짠 민간조사단을 파견하여 이를 미군의 세균전으로 선전했으며, 미국은 이를 즉각 부인했다. 관동군의 악명높은 731부대가 이것을 엄청나게 연구했고, 이 부대의 지휘관인 이시이 시로가 미군에 무기화 방법을 넘기는 조건으로 전범재판에 기소되지 않았다는 설도 있다. 실제 731부대 관계자들이 한국전쟁 기간 중 비밀리에 한국에 오기도 했다. 또는 이들은 미군정이 고용해 미군장병들에게도 피해가 가는 이것을 연구하러 왔다는 이야기도 있다.
3 발견
한국인 이호왕 박사가 1976년에 야생 등줄쥐의 폐 안에서 유행성 출혈열의 원인 바이러스를 발견했다. 이호왕 박사는 이 바이러스의 이름을, 한국전쟁 당시의 격전지이자 이 바이러스를 찾은 지역인 한탄강의 이름을 따서 한탄 바이러스라고 지었다[2]. 한타바이러스 발견 당시에 바이러스의 숙주인 등줄쥐를 잡던 인원이 유행성 출혈열에 의해 목숨이 경각에 달했었으나, 자연치유되어 유일하게 유행성 출혈열에 감염될 위험 없이 등줄쥐를 포획할 수 있었다고 한다. 덤으로 이호왕 박사가 서울특별시에서 발견한 한타바이러스의 이름은 서울 바이러스이다. 참고로 이 족속 가운데는 뉴욕에서 찾았는지 뉴욕 바이러스도 있다.
당시로서는 굉장히 뜬금없는 일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미국의 지원 아래 원인 바이러스를 찾으러 내로라하는 선진국에서 연구하였지만 못 밝혔는데, 갑자기 낙후하던 한국에서 이 바이러스를 발견했다니 믿기 어려웠던 것이다. 오죽했으면 자금을 대주던 미국측에서는 연구비 타내려는 수작이냐고 말할 정도였다. 하지만 이호왕 박사 실험실로 샘플을 보내 맹검 테스트를 해본 결과 너무나도 정확하게 맞춘 관계로, 전세계 학계에서 이호왕 박사 팀이 원인 바이러스를 찾았음을 인정하게 되었다.
이 한탄 바이러스와 비슷한 속을 가리켜 한타바이러스로 싸그리 묶어서 부른다. 한타바이러스는 설치류가 숙주로, 설치류의 배설물로 밖에 빠져나와 희생자의 폐를 거쳐 감염하고, 콩팥을 망가뜨리면서 열을 낸다. 예전에는 손상된 장기들에서 바이러스를 찾으려고 했지만 실패했으나, 이호왕 박사는 공격받지 않아 멀쩡했던 폐를 뒤져 바이러스를 찾아낼 수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어떤 종은 심장과 폐도 공격한다.
93년 미국에서 발견한 '신 놈브레(Sin Nombre) 바이러스'(스페인어로 이름이 없는 바이러스란 뜻)가 심폐공격 한타바이러스이다. 이 때문에 요즘은 유행성 출혈열로 뭉뚱그려 쓰기보다는 각각 신증후성 출혈열(HFRS,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한타바이러스 심폐증후군(HCPS, Hantavirus CardioPulmonary Syndrome)처럼 증세를 나눠 부른다.
여담으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지 얼마 안 되어 일본에서도 유행성 출혈열 환자가 발생한 적이 있었다. 어떤 일본인 의사가 학계에 유행성 출혈열 환자가 일본에서도 나타났다고 보고했다가, "일본에서 그게 발병할 리가 있냐?" 하면서 비웃음을 산 뒤 매장당하였다. 이 의사는 나이가 들어 은퇴한 뒤에도 이를 천추의 한으로 생각했는데 이호왕 박사가 한타 바이러스를 찾아내자 일본인 의사의 자식이 박사에게 연락을 했다고 한다. 이호왕 박사는 일본으로 가서 과거 유행성 출혈열에 걸렸다고 생각되는 일본인의 피를 뽑아 한타 바이러스의 항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환자는 실제로 유행성 출혈열에 걸렸다가 치유된 것이다. 이호왕 박사가 일본에서 열린 학회에서 과거 일본에도 유행성 출혈열 환자가 발생했음을 발표할 때, 이미 은퇴했던 노의사는 이 학회에 참석하여 발표를 보면서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이호왕 박사 팀의 한타바이러스 백신은 한창 임상실험이 진행되던 중 충분한 야외 임상실험을 전제로 정식으로 생산이 허가된 후 곧장 군 대량접종 백신으로 결정되었다. 말하자면 군이 대규모적인 야외 임상실험 대상이 된 것. 이 때문인지 한타바이러스 백신의 접종지침은 면역을 2년 이상 유지할 필요가 없는 군인에게나 맞는 3차 접종[3]까지밖에 없다. 참고로 제작사는 한국 녹십자(...)
4 발생지역
주요 발생지역은 중국, 한반도, 러시아, 그리고 북유럽과 북미... 간단하게 거의 전 북반구에 있다. 바이러스 속에 들어가는 바이러스도 한국 지명 3개(한탄(강), 서울, 제주)와 더불어 여럿이다.
야생 등줄쥐 말고도 도시의 시궁쥐나 집쥐도 한타바이러스의 숙주일 수 있기 때문에 위생 상태가 나쁜 집에서도 걸릴 수 있다. 위의 서울 바이러스, 뉴욕 바이러스도 시궁쥐에서 바이러스가 나왔다.
특히 대한민국 국군이 맡는 전방지역에서 많아, 예전에 숙주인 쥐를 잡으면 포상휴가를 준다고 설레발을 쳐서 그 당시에 많이 걸렸다고 한다. 이 시기에 군생활을 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풀숲에 잠깐 누웠다가 유행성 출혈열에 죽은 사람도 있었다니, 그만큼 위험했다. 심지어는 21세기인 2006년에도 군의관이 출혈열 환자를 치료하다가 자신이 감염해 사망하는 사고도 나왔다.참조
5 예방과 치료
최전방이나 전방에 가면 군 생활 동안 약 2번 정도 여름 즈음에 맞는 주사가 있다. 실제 신증후군 예방 백신은 3번 접종이 표준이지만... 그 주사가 유행성 출혈열 예방접종인 한타박스(Hantavax)다. 한타박스는 대한민국 녹십자에서 세계최초로 개발한 유행성 출혈열 백신이다.
다행히도 아직까지 인간-인간 감염이 일어났다고 나온 적이 없어서 병에 걸리면 격리수용할 필요는 없다. 이게 가능한 녀석이 바로, 높은 치사율과 결합해서 무시무시한 악명을 떨치는 에볼라. 3대 출혈열 중 하나라는 점과 꽤 높은 치사율 때문에 미국측에서도 생물학 무기계획을 중단하기 전까지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잠재적인 생물학 무기로 써먹으려고 준비했다고 한다.
과거에는 20% 정도로 치사율이 매우 높았지만, 영양 상태와 치료법을 개선한 현재는 치사율이 5~7% 정도로 낮다. 그래도 여전히 높은 편이라, 법정 관리 전염병중 하나다. 감염 경로에 따라 치사율이 다른데 요도를 거쳐서 감염해 콩팥이 아작나면 폐로 들어오는 것보다 치사율이 몇 배로 뛴다. 야외에서는 용변을 보기 전에 씻고 본 뒤에 2번 씻는 것을 권장한다.
6 미디어
엑스파일에 한타바이러스로 의심하는 질병이 미국 남서부에 나오기도 한다. 실체는 전혀 달랐지만….
소설 데프콘에서도 한타바이러스의 묘사가 있다. 그것도 미군이 피해자... 그렇지만 당시 전황이 한국군이 일방적으로 불리한 탓에 하루하루 버티기도 힘들었다. 그래서 한국군이면 병에 걸리더라도 병으로 쓰러지기 전에 전사했을 확률이 매우 높다.
만화 C.M.B. 박물관 사건목록 8권 쿠시노 마을 기담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