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두표

관련문서: 한국방송공사/역사, 동양방송, 한국담배인삼공사, 한국관광공사

현재 JTBC 상임고문으로 한국TV방송계의 산 증인이라 할수있는 인물이자 20세기 후반기에 정권이 바뀌면서도 승승장구했던 인물로 20년씩이나 사장으로 연속으로 재직했다. 그야말로 처세술의 달인. (TBC-코바코-KT&G-KBS-관광공사 순)즉, 인생의 승리자다 비리만 저지르지 않았으면 2000년대에도 공기업 사장직 역임했을 인물 본업은 방송쪽이지만 위낙 경영면에서 인정을 받았다보니 자신의 업무분야와 상관없는 전매공사(한국담배인산공사)와 관광공사 사장직을 맡은 전적이 있다.

1961년에 KBS 방송개국요원으로 KBS 개국에 참여했었고 1964년에 동양방송으로 이직했으며 1972년 동양방송 편성국장을 거치며 여러 악조건속에서도 동양방송을 대형방송사로 만들어냈고[1] 이를 바탕으로 1979년에 TBC 사장에 올랐지만 꼴랑 부임 1년만에 회사자체가 KBS로 넘어가면서 강제적으로 짤려나가는 아픔(?)도 겪었다.

그래도 능력은 인정받던 인사였기에 1981년에 새로 신설된 한국방송광고공사 사장직에 올랐고 한국방송광고공사를 휼룡히 키우면서 능력을 인정받았다. 전두환 딸랑이 짓도 했었다는 흑역사도 있기는 하다 1986년에 전매공사로 자리를 옮기면서 전매청장을 지냈다가 1년만에 전매청이 전매공사로 공기업화 되면서 전매공사 사장직에 올랐으며 노태우 정부 시기에 전매공사에서 한국담배인삼공사로 이름이 바뀐이후에도 사장직을 계속해서 역임하였다. 이때 홍두표는 구조조정이라는 난제를 슬기롭게 해결했는데 직원들을 해고시킨 대신에 해당 직원들의 자식들에게 일자리를 주는 방식으로 사실 자식들에게 직장 세습이니 조삼모사니하면서 신문사에서 욕할수있는 상황이었지만 어땠거나 덕택에 고참직원들을 대거 신참으로 물갈이하면서 조직의 활력이 높아졌다는 평을 들으면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리고 문민정부가 들어서 KBS 사장직에 오르면서 금의환향했다. 사실 한국방송광고공사 시절에 청와대의 그분들 덕택에 KBS와 MBC를 주무를수있는 힘이...... KBS 사장직에 오르면서 보도국을 대대적으로 쇄신시켜나면서 KBS가 관제방송이라는 이미지를 벗는데 기여시켰고 1TV 저녁 일일연속극이 연이어서 흥행하는 호재까지 겹치며 그 이전까지 관제방송 이미지로 시청률이 크게 저조했던 KBS 뉴스 9의 시청률이 크게 오르게 만들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1994년 7월 KBS 1TV 광고를 전면적으로 폐지시키고 그 대신에 수신료와 전기료를 합산징수시키는 안을 통과시키기게 만들어서(시행된건 그 해 10월부터) 수신료 거부운동의 싹을 차단시킨 원흉이기도 하며 장노년층들이 TV를 틀면 KBS1로 채널을 고정하게 만든 원인을 만들게 되는 인물이라고 할수있다. 이것도 종편의 등장으로 옛말이 된거같지만

1TV 광고를 폐지하고 수신료를 올리지 않고 그대로 받게 한것이 멍청이 짓처럼 보이지만 그리고 후대에 피를 본 인물이 정연주 당대에는 사정이 전혀 달랐다. 사실 90년대 초반에는 1980년대 시청료 거부운동의 여파가 남아있었던데다가 관제방송 이미지가 위낙에 컸기에 수신료 징수율이 50% 중반 정도였고, 더군다나 그러면서도 수신료 징수원들을 고용해야했기 때문에[2] 손해보는 비용이 1TV 광고해서 얻는 수익보다 월등히 많았다. 어쨌거나 작전은 대성공해서 1995년에 KBS 뉴스 9의 시청률이 MBC 뉴스데스크를 추월했고 이외에도 3대 스페셜중 하나인 일요스페셜도 이때 신설한데다가 재임기 막판에 KBS 대하드라마도 성공시켜서 나름대로 공영방송으로써의 입지를 굳혀나갔고 다만 외국 프로그램 표절이 꽤나 있었다는게 흠이다[3] KBS의 매출액도 경제호황과 함께 역대 최고치를 연일 경신하면서 연간 1000억원대의 흑자액을 기록했을 정도다. 물론 국산 만화영화 제작 관련해서는 음...말을 하지말자 다만 그 대신 KBS 2TV는 상업화가 진전되어서 이때의 TV편성표를 보면 KBS 2TV가 MBC나 SBS보다도 오락프로그램의 비율이 높은 상황이었고 메인뉴스 편성시간이 15분... 덕택에 2TV에서 전쟁이나도 정규프로를 방영할것이라는 농담도 있었을 정도였다.

다만 보도국을 대대적으로 쇄신해서 과거 KBS에 대한 대표적인 비판점이었던 불공정성을 개선한건 맞지만 그렇다고 해서 윗선의 눈치를 아예 안봤냐면 그건 또 아니라서 애초에 당시 시대가 시대인지라 윗선의 눈치를 잘 보지 않으면 저정도로 출세하는거 자체가 힘들었을 시절이었다 (물론 70-88년도나 90년대 서기원 사장 재임시절에 비하면 양반이기는 했다.) 1994년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당시에 정규방송을 5분 일찍 시작했다고 낮방송을 지연시키면서도 국산 만화영화 제작은 강제못한 쓰레기 기관 공보처에게 징계를 받는 사건이 벌어져서 1995년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폭발 참사 제대로 보도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졌으며 이외에도 재임후반기 들면서 눈치를 보는 경향이 강해지기도 했고 1997년 대통령 선거 개표방송때 96년 총선 출구조사의 악몽으로 예측조사를 발표하지 못한일도 생기기도 했다.

그래도 KBS 일선 제작진 사이에서 정연주와 함께 평가가 좋은 편인데[4] 당시 KBS 사장실에 TV가 15대나 되었다고 하며 집에도 TV를 다섯대나 두었을 정도였고, 주요 프로그램들은 왠만하면 꼭 시청했으며 미쳐 일이 있어서 프로그램을 못보면 새멱 1시까지도 비디오 테이프로 녹화된 프로그램들을 시청했을 정도로 열의를 보였다.[5] 덧붙여 TV를 보던 도중에 괜찮은 프로그램이 있다싶으면 해당 프로그램 제작진들을 불러서 손수 격려를 해주면서 봉투를 건네주곤 했다고

여하튼 1997년 하반기에 경기침체와 2TV 시청률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영실적이 별로 안 좋아졌고 제15대 대통령 선거 예측조사 발표에 대해서 어버버거리다가 그대로 발표못하는 악재가 이어지다가 대신에 미터기 자막으로 후반부 시청률은 좋았다만 1998년 상반기 프로그램 개편을 개판으로 진행한 뒤에[6](...) KBS 사장에서 사퇴했다. 사실 사퇴라기보다는 이직이지만 그리고 한국관광공사 사장으로 부임했고 김대중 대통령을 모델로 내세운 광고가 대성공을 거두면서 그런대로 임기를 채울거같았는데 1999년 비리혐의로 불명예스럽게 강제퇴직을 당하며 잠깐 콩밥먹는 신세가 되기도 했다.

그래도 풀려난 뒤에는 중앙일보 고문자리를 맡았으며 2002년에는 제주지역 민방인 JIBS 회장직을 맡았다가 JIBS 회장 임기를 마친 이후로는 걍 은퇴한것으로 보였다가 2011년에 JTBC 사장직에 복귀하였고 2013년부터는 상임고문을 맡고 있다.
  1. 당시 관계당국으로부터 검열을 받아야되는건 물론이고 1970년대 중후반 들어서 일선 당국에서 특정 시간대에 특정장르의 프로그램만 방송할수있다고 지시를 하는 등 지금보면 코미디 수준의 조치를 취하는 경우가 많았다. 유일하게 긍정적인건 광고규제 정도 헌데 다른부문은 정말 병맛이었고 그러면서도 국산만화영화 제작은 못시켰다
  2. 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KBS도 NHK 식으로 징수원이 직접 수신료를 걷는 방식이었다. 물론 80년대 후반기부터 통합공과금제가 도입되는 곳도 있었지만 전국적으로 퍼진것까지는 아니다.
  3. 물론 표절문제는 KBS에만 국한된건 아니고 당시 방송계의 전반적인 문제이기는 했다.
  4. 다만 정연주는 일선제작진이 아닌 간부진이나 기술직 사이에서 구조조정 작업때문에 평가가 그리 좋지못하다. 단지 프로그램 편성, 아이템 선정에 있어서 일선제작진들의 의견을 잘 들어줬기 때문에 PD나 기자들에게 평가가 좋은 것
  5. 홍두표가 사장으로 KBS 사장으로 재임했을 당시에는 인터넷과 PC통신 속도가 느려터졌기 때문에 VOD 서비스는 꿈도 못구던 상황으로(VOD 서비스가 일부 시작된건 1997년, 사실상 시작된 시기는 1998년도다) 프로그램을 다시볼려면 미리 녹화를 하거나 방송사에 복사구매를 해야 했다.
  6. 가요톱10이 폐지된것도 이때의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