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개통하지 않은 역 또는 노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 또는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개통했지만 이 역을 지나는 다른 노선이 공사 중인 역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하며, 나무위키는 잘못된 정보에 의한 피해를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공정이 중단되면 틀:공사중단으로 바꿔 주시고, 공정이 완료되면 틀을 제거해 주십시오.
1 개요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에서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까지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국가지원지방도이다.
서울양양고속도로와 노선이 비슷하지만 느긋하게 지나가는 관광도로의 성격을 띠고 있다. 참고로 이 도로의 1차로 구간을 밤에가면 귀신이 나올거같이 으스스하니 웬만하면 낮에 이용하자.
2 노선
2.1 경기도
2.1.1 남양주시
- 진건오남로
- 앙진로
- 양정로
- 서울양양고속도로와 덕소삼패 나들목을 통해 연결된다.
- 석실로
- 수레로
- 재재기로71번길
- 폭포로
- 화도읍 금남리에서 45번 국도와
교차만난다. 그리고 86번이라는 글씨가 없어진다! 바로 앞에 흐르는 북한강을 건너갈 교량이 2013년 현재 아직 개설되지 않고 있다. 이 기사에 의하면 교량형식 결정과 실시설계를 2014년까지 마치고 2016년까지 공사한다고 하니, 느긋하게 기다리자.
2.1.2 양평군
- 화서로
- 서종면 수입리에서 391번 지방도와 만난다.
- 다락재로
- 다락재. 양평군 서종면과 가평군 설악면의 경계가 되는 고개이다. 바로 옆에 보이는 서울양양고속도로를 놔두고 꼬부랑 산길을 올라가야 한다. 올라가다가 갑자기 길이 1차선이 되는데, 다락재로 구간은 계속 1차선으로 되어있으니 각오하고 운전하자. 불행 중 다행으로 포장은 되어 있다. 아스팔트 구간도 있지만 콘크리트 구간도 있으니 주의하자.
2.1.3 가평군
- 다락재로
- 신천중앙로
- 설악면 신천삼거리에서 37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 유명로
- 널미재. 가평군 설악면과 홍천군 서면의 경계이다.
2.2 강원도
2.2.1 홍천군
- 한서로
- 서면 모곡리에서 494번 지방도와 만난다. 이정표가 따로 없으므로 잘 찾아야 한다. 다시 콘크리트 1차선이다.
지방도보다 못한 국지도494번 지방도로 조금 돌아가면 그만이기 때문인 듯하다.
- 설밀길
- 서면 모곡리 모곡2교 앞에서 494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다시 2차선으로 돌아온다.
- 개야로
- 팔봉산로
2.2.2 춘천시
- 김유정로
- 남산면 광판리에서 70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우회전하자.
- 종자리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