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02

북한의 미사일 및 어뢰 전력
단거리KN-02 독사 (120km) · SCUD/화성 (300~500km)
준중거리노동 1호 (500km) · 노동 2호 (500~1000km) · 노동 3호 (1300~1500km)
중장거리 ICBM대포동 1호(1500~2000km) · 북극성 2형 (2500~3000km) · 무수단/화성 10호 (3500~4000km) · 대포동 2호(3500km~6400km)
KN-08/KN-14(4000~5000km 이상) · 대포동 2/3호/은하 로켓(10000km 이상)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실험대포동 1호/광명성 1호(1998) · 대포동 2호/은하 로켓(2006) · 대포동 3호/은하 2호/광명성 2호(2009)
은하 3호(2012년 4월, 12월) 은하 3호/광명성 4호(2016)
SLBM북극성 1호/KN-11 (R-27 기반)
지대공KN-06 (S-300, HQ-9 기반)
함대함KN-01 (실크웜 기반), 금성 3호 (KH-35 기반)
어뢰CHT-02D, PT-97W
기타불새-2/3 (9M111 Fagot 기반), 추가바람
* 북한에서는 단거리는 화성, 장거리는 은하 등의 별도 명칭으로 부르며, 혼동되는 정보가 많다.


200804722_700.jpg


사진은 우크라이나군 소속의 SS-21 미사일이다.

SS-21(나토 코드), 러시아군 제식명칭 OTR-21

북한이 보유한 단거리 지대지 미사일. 사거리가 120~150km, 탄두중량 500kg

미국의 랜스 미사일이나 ATACMS 해당하는 미사일이다.

사거리는 짧지만 북한이 보유한 탄도미사일 중에서 정확도가 가장 높다. CEP 95m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정도 CEP와 탄두의 파괴력을 감안하면, 특정 목표를 충분히 무력화 시킬 수 있다. 당장 주한미군 평택기지와 서울 전역이 이 미사일의 사정권 안에 들어간다. 고체 연료를 사용해 발사 준비까지 10분 정도밖에 걸리지 않아 한미 군 당국이 탐지하기가 매우 어렵다. 거기에 이동도 용이하다. 미군은 '독사' 라는 코드네임으로 부른다. KN-02라는 명칭도 한국군이 북한의 미사일을 인지한 순서대로 붙인 가칭 이름이다.

북한은 1996년 시리아에서 구소련제 SS-21을 밀반입해 역설계를 거쳐 KN-02를 개발했다. SS-21은 구소련이 1975년에 도입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500kg의 탄두를 탑재한다. 이후 끊임없는 개량으로 1990년대에는 사거리를 185km로 연장했다.

예멘 후티 반군이 이 미사일의 원형인 SS-21을 사우디군에 발사, 사우디 군은 패트리어트 포대로 요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사우디군 특수부대 사령관 포함, 총 152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아직 막연한 이 미사일의 성능에 좋은 교보재가 될 수 있을 듯.

2007년 국회 국방위원회에서는 "북한이 KN-02 미사일에 500㎏의 탄두를 실어 발사하면 축구장 3∼4개 정도가 몰살된다. KN-02 2∼3발만 떨어지면 오산 비행장이 작동 불능상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1]완벽하게 또한 "북한의 스커드나 노동 미사일은 액체연료를 주입, 우리의 감시체계로 발사 징후를 파악할 수 있지만 KN-02는 고체연료로서 북한이 트럭에 싣고 다니며 쏘면 막을 방법이 없다"고 우려했다.
  1. 이 발언에 태클을 걸자면, 최근의 비행장 복구 능력은 매우 향상되어 활주로 복구는 1~2시간 정도만이 소요된다. 유류, 이글루, 관제시설 등과 같은 주요 부대시설이 멀쩡하다면 비행장 몰살 따위의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 그게 가능했다면 뭣하러 비싼 전투기를 만들까? 그냥 탄도탄/순항미사일만 양산하면 되지(...). 다만 정확성 때문에 보통의 북한 탄도탄에 비해 많은 수를 좀더 뼈아프게 얻어맞게 될 것이라는 건 확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