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5

제2차 세계대전의 소련군 항공기
전투기복엽 전투기I-15, I-153
전투기I-16 이삭, Yak-1, Yak-3, Yak-7, Yak-9, MiG-1, MiG-3, LaGG-3, La-5, La-7, I-185, Pe-3
랜드리스 항공기P-39 에어라코브라, P-63 킹코브라,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호커 허리케인, P-47 썬더볼트, P-40, B-25, PBY, 햄든
폭격기경폭격기IL-2, IL-10, IL-20, Pe-2, Su-2, Yak-4, 투폴레프-SB, Ar-2, Tu-2
中폭격기Yer-2, IL-4, Tu-2
重폭격기DB-3, TB-3, Pe-8, K-7
기타UTI-26, Po-2
항공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연합군
독일 제국
전간기
프랑스
2차 세계대전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
소련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스위스
태국
프랑스
제트전투기
미국
러시아
프랑스
유럽
아시아


Lawotschkin_La-5_FN.jpg

Lavochkin La-5
Лавочкин Ла-5

1 제원

La-5FN

분류 : 단발단좌 전투기
전장 : 8.67m
전폭 : 9.80m
전고 : 2.54m
익면적 : 17.5㎡
엔진 : 쉬베초프 ASh-82FN 공랭식 복열 14기통 성형엔진, 출력 1,850마력
자체중량 : 2,605kg (전비중량 3,265kg)
최대속도 : 648km/h
항속거리 : 765km
무장 : 기수에 ShVAK 20mm 기관포 2문, 문당 탄약 200발
100kg(220lb) 폭탄 2기 탑재 가능

2 개요

제2차 세계대전기에 개발된 소련군전투기.

세묜 라보츠킨(Семен Алексеевич Лавочкин)은 독소전쟁을 앞두고 당이 요구하는 최고의 전투기를 뽑기 위해 노력을 하였고, LaGG-1에 이어 LaGG-3를 내놓아 이오시프 스탈린과 당을 흡족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일선에 투입된 LaGG-3는 보증서 붙은 나무관짝(лакированный гарантированный гроб)이란 악평을 듣게 되었으나 워낙 전황이 다급했기 때문에 생산이 계속되는 수준이었다. 전황이 어느정도 호전되자 스탈린은 LaGG-3의 생산 중지를 지시하고 Yak-1을 생산할 것을 지시하였다. 다행히 이 무렵 스탈린이 매우 관대해진(…) 상황이었기에 라보츠킨은수호이와는 달리 시베리아행 열차를 탄다거나 굴라그로 보내지는 상황만큼은 모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 라보츠킨은 좌절하지 않고 "내 비행기가 이렇게 구릴 리가 없어! 스탈린과 파시스트 녀석들 깜짝 놀라게 해주마!"를 외치면서 연구를 계속하였고 기체 설계는 흠잡을 데가 없는데 그놈의 클리모프 엔진이 문제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즉시 고출력 엔진을 찾아 이리저리 발품을 팔기 시작했는데 때마침 1700마력급 Ash-82 공랭식 성형엔진이 눈에 들어왔고, 저걸 좀 어떻게 박아보면 안될까라 생각하여 즉시 작업에 착수하였다. 하지만 클리모프 엔진보다 훨씬 대형이고 무게나가는 엔진을 장착해야했기 때문에 여러 차례 시제기를 개수하고 시험 비행을 반복해야만 했다.

라보츠킨의 노력은 결실을 맺어 1942년 3월 드디어 원형기 La-5를 제작하였다. 시험비행에 참여한 조종사들은 LaGG-3보다 속도도 빠르고, 비행 안정성도 높고, 상승력도 뛰어난 점에 만족감을 드러냈으며, 무엇보다 다시 소련군이 막 운용을 시작한 Yak-7보다 더 뛰어나다는 호평을 내놓았다. 이 기간동안 시험비행사들이 후하방 시야가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불평을 해결하기 위해 약간의 개조만 이루어졌다. 이러한 조종사들의 반응은 스탈린을 움직이게 만들었고 1942년 7월 라보츠킨의 공로를 인정하여 La-5로 이름을 변경한 후 즉시 양산을 지시하였다. 특히 독일의 공세가 재개된 상황이었기에 무조건 생산라인 풀가동을 지시했을 정도였다.

워낙 LaGG-3에 데인 조종사들이 La-5를 보고 "저 녀석도 분명 구릴거야"라 생각하여 웬만하면 탑승하지 않으려 안간힘을 썼다. 사실 이 무렵 전투기가 급하다보니 재고가 된 LaGG-3를 La-5 사양에 맞게 개수한 녀석들도 일부 섞여들어오는 바람[1]에 발생한 현상이었지만 서서히 정식 양산이 시작되고 La-5에 탑승했던 조종사들이 호평일색이자 서서히 일선에서도 La-5에 호감을 보이기 시작했다. 기수에 ShVAK 20mm 기관포 2정이라는 준수한 무장에 몇 발 얻어맞아도 왠만하면 문제없이 동작하는 공랭식 엔진 등이 맞물려 조종사들의 호평을 이끌어냈다.

이후 출력이 강화된 ASh-82F엔진이 개발되자 La-5는 엔진을 개수하면서 지속적으로 재기되던 후방시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돌출형 캐노피로 개조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ASh-82F엔진이 여러가지 문제가 확인되어 일찍 단종되고 ASh-82FN 엔진이 생산되자 이에 맞게 다시 개수를 시작했다[2]. 이 무렵 소련도 전황이 많이 호전되어 느긋하게 개발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동안 다급해서 못했던 풍동 테스트까지 진행되었다. 그 결과 LaGG-3에 ASh-82엔진을 다급하게 얹느라 무시할 수 밖에 없었던 설계의 문제까지 완벽하게 해결하였다. 그 결과 저고도에서는 Bf109G나 Fw190와 대등한 우수한 성능을 갖추게 되었다. 특히 동부 전선 공중전의 주무대였던 2000m 이하의 저고도에서는 당대 소련 전투기 중에서 최고라는 평을 듣기도 했다. 다만 3000m부턴 추가출력을 사용할 수도 없었으며, 4000m쯤 되면 MiG-3과 La-9를 제외한 모든 소련 전투기가 그랬듯, 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졌다.[3]

사실 엔진의 열기나 캐노피의 통풍, 시속 350km가 넘어가면 캐노피를 열 수 없다거나[4], 엔진배기가 캐노피 안으로 들어온다는 것과 같은 문제점들이 수없이 넘쳐났고, 소련의 만성 알루미늄 부족으로 인해 LaGG-3와 마찬가지로 목재가 주재료였지만 어쨌든 전투에 필요한 기본적인 성능만큼은 쓸만한 기체였다. 총 9,920기의 La-5가 생산되었으며 이후 La 시리즈의 궁극형인 La-7이 배치되면서 하나 둘 대체되기 시작했다. 소련 이외에도 체코에서 이 기체를 도입하여 운용하기도 하였다. 다만, 목재였기 때문에 전후에 살아남은 기체가 몇 없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철저하게 관리해주지 않으면 썩어버렸기 때문...영국의 모 전투기가 생각난다

앞의 단점과 더불어 항속 거리가 매우 짧았는데, 엔진 파워를 일반 순항시 파워 정도로 세팅해도 40분 정도 밖에 비행할 수 없었고, 조작이 매우 불편했다. 엔진 조작에 관련된 부분이 전부 레버로 이루어져 있었는데[5] 이 레버를 항상 만져주면서 비행을 해야 했기에 공중전 시 숙련된 파일럿이 아니면 애를 먹었다고 한다. 이처럼 기계적으로 운용하기 불편한 기체였으나, 의외로 정비하기는 편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위의 단점들과 사소한 문제점 때문에 Yak-1 손실수를 제외[6]하고 가장 많은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전쟁 기간동안 총 2,591대를 손실했다고 한다.

3 미디어에서

비행 슈팅 시뮬레이션 게임인 IL-2 Sturmovik 에도 등장하는데, 자국 기체 버프[7]와 실성능으로 인해 '사기 기체'로 취급될 정도로 막강한 기체로 등장한다. 물론, La-7도 등장하는데, 치트성 기체라고 몇몇 멀티플레이어 서버에서는 금지를 먹을 정도. 역시나 이 게임에서 상기 명시된 단점은 절대 드러나지 않는다.

워 썬더에서도 등장하는데, 대놓고 UFO라고 욕을 먹는 중... 포럼에서 이 기체를 초보들에게 추천하는 스레드가 올라오면 너무나 사기라 기본적인 전술조차 배울 수 없다는 리플이 달릴 정도다. 물론 어디까지나 그렇듯 영원한 OP는 아니었다.

월드 오브 워플레인애서 6티어 전투기로 등장한다.
  1. 당연히 오리지널 La-5에 비하면 성능이 매우 후달렸다.
  2. 이 엔진을 장착한 기체는 La-5FN이라 불렸고, La-5중에서 궁극의 기체가 된다.
  3. 이건 La-5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당시 소련의 엔진이 정말로 안좋아서 4000m 부터는 제대로 올라가기 힘들었다. 그래서 독일 공군은 소련 공군의 사실상 모든 전투기의 성능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4000m 부근에서 대기하다가 사냥을 시작하기도 했다. 이 행동에 대해 소련 공군 파일럿은 '비겁한 행동'이나 '약한 상대만 골라 격추했다'라고 평가했다. 아무래도 독일 공군이 붐앤줌을 기본으로 사용하다보니, 그것에 당하면서도 더 많은 전력을 쏟아넣는 것 말고는 딱히 뾰족한 수가 없었던만큼, 저런 독일 공군의 전술을 증오한 모양이다.
  4. 즉, 피탄 시 이 속도가 넘으면 탈출을 못 한다는 것...이 속도는 독일군 전투기라면 기본적으로 유지해야하는 속도다.
  5. 반면에 독일제 전투기들은 자동 기어처럼 출력만 조절해주면 기계식으로 맞물린 장치가 자동으로 프롭 피치, 믹스쳐 등을 조절해 주었기에 매우 간편했다.
  6. 이 때는 털리는 상황이라 손실 숫자를 집계하기도 미안할 정도로 엄청난 피해를 입고 있었으니
  7. 러시아제 게임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