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2

제2차 세계대전의 소련군 항공기
전투기복엽 전투기I-15, I-153
전투기I-16 이삭, Yak-1, Yak-3, Yak-7, Yak-9, MiG-1, MiG-3, LaGG-3, La-5, La-7, I-185, Pe-3
랜드리스 항공기P-39 에어라코브라, P-63 킹코브라,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호커 허리케인, P-47 썬더볼트, P-40, B-25, PBY, 햄든
폭격기경폭격기IL-2, IL-10, IL-20, Pe-2, Su-2, Yak-4, 투폴레프-SB, Ar-2, Tu-2
中폭격기Yer-2, IL-4, Tu-2
重폭격기DB-3, TB-3, Pe-8, K-7
기타UTI-26, Po-2
겨울전쟁을 포함한 제2차 세계대전기의 핀란드군 항공기
전투기복엽기브리스톨 불독, 글로스터 게임콕, 글로스터 건틀렛,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 F.K.52, I-15, I-153, 스벤스카 아에로 야크트팔켄 II
단엽기연합군 측F2A 버팔로, C.714, P-36 호크, P-40 워호크, M.S.406, 포커 D.XXI, 호커 허리케인
추축군 측G.50 프레치아, Bf109
소련 측I-16, LaGG-3, MiG-3
핀란드
자체 개발
VL Myrsky
폭격기경폭격기블랙번 리폰, 포커 C.V, 포커 C.X, 호커 하트, Po-2,SB-2
中폭격기아브로 안슨, 브리스톨 블렌헤임, Do 17, Il-4, Ju 88, Pe-2, ANT-40, DB-3, 투폴레프 SB
정찰기A.32, 웨스트랜드 월레스, VL Kotka, Fi 156 슈토르히, He 113
프로토타입VL Humu, VL Pyörremyrsky
항공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연합군
독일 제국
전간기
프랑스
2차 세계대전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
소련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스위스
태국
프랑스
제트전투기
미국
러시아
프랑스
유럽
아시아


petlyakov_pe2_peterdejong.jpg
Petlyakov Pe-2 (Пешка, 영어 음독:Peshka, 의미는 "Pawn", 쫄병....)

1 개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동부 유럽 전선에서 주로 활약했던 소련군급강하폭격기. 물론 급강하폭격기로써의 용도 뿐만 아니라 야간 전투기, 중전투기, 지상공격기 등 일반 단엽기들이 맡기 힘든 임무에 전부 투입되었다. 특히 IL-2와 더불어 당대 최고의 지상공격기로 평가받기도 했다. 물론, 중전투기나 야간 전투기, 정찰기로써의 역할도 수행했는데, 이를 위해 장갑을 줄이고, 항속거리를 늘린 Pe-3라는 자매품(?)도 존재했었다[1]. 그러니까 그 당시 서방권 항공기와 비교하자면 DH-98 모스키토와 비슷한 역할을 맡았다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대전 중 생산 댓수는 무려 11,400대로, 중전투기로 분류해 쌍발 전투기로 분류하게 되면 P-38 라이트닝보다 생산량이 많아진다. 다만, 전후 NATO에서는 폭격기로 분류하여 Buck이란 코드명을 붙이게 된다.

2 개발사 및 이모저모

이름에서 드러나듯이 설계자는 블라디미르 페트리코프. 굴라그항목에서 나오듯이 1937년에 수용소에 잡혀간 상태에서 개발을 시작했다. 개발 시작은 고공 폭격기인 투폴레프 ANT-42(Pe-8)을 호위할 고공 호위 전투기로써 최초 명명된 이름은 VI-100. 프로토타입을 처녀비행 시킬 당시, 39년, 에는 상당히 하이테크 기체에 속했다. 여압이 조절되는 조종석, 전금속제 동체, 수퍼차져, 전기 작동되는 시스템 등. 다행히 프로토타입은 제대로 개발되어 제식 채용이 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공돌이는 더 갈아야 하기에 출소는 못 했다.

다만, 대량 생산을 시작할 시기가 독일군이 전격전으로 유럽을 쓸어담고 있던 시기라 갑자기 소련 공군 수뇌부의 우선 순위가 전략폭격기에서 급강하폭격기로 바뀌게 된다. 이 덕분에 급강하폭격기로 재설계 되기에 이른다. 재설계를 요구할 당시, 45일을 주고 공밀레를 시전했다고... 어쨋든 시간이 충분치 않았으므로, 기존 디자인을 마개조하기로 결정한다. 결국 이 덕분에 고공에서 활동을 위한 여압식 칵핏을 제거하고, 오픈형태로 바꾸었고, 에어브레이크를 장착하고, 폭탄창을 추가하는 등 폭격기로써 개량을 가하게 된다. 이렇게 재 디자인되어 PB-100으로 명명되었고, 이제야 비로소 이오시프 스탈린이 석방을 허락하고 이름을 붙이는 것을 허락한다. 덕분에 이름이 Pe-2가 된다. 다만, 처녀비행을 하기 전 까지 엄청난 압박을 받아야 했다고...

페틀리야코프는 개발자고 기술자고 몽땅 전쟁터로 끌려가는 게 비행기 생산에 점점 악영향을 끼치자 소련 수뇌부에 직접 따지기 위해 Pe-2를 타고 모스크바로 향하다 1942년 1월 12일 추락사한다.

비행 특성은 그다지 나쁜 물건은 아니었으나, 문제는 이륙시 조종간을 당기는 게 무지무지 어려웠다고 한다. 특히, 야간 폭격 임무에는 여군 조종사들이 많이 참전했었는데, 이 문제 때문에 조종간을 못 당겨서 애로사항이 꽃피었다고 한다. 해결책은 승무원 중 한 명이 일단 조종석 옆에 탑승해서 조종사가 조종간을 당길 때[2] 조종사의 팔을 같이 당겨 주고, 이륙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운용했다고 한다.

또한, 무장이 생각보다 빈약했다고 한다. 기체 등짝 부분에 장착된 ShKAS 기관총의 경우, 발사 속도는 빨랐지만 재밍이 자주 일어났으며, 배 부분의 기관총 포탑은 시야가 너무나 제한적이었고, 마찬가지로 고장이 잦았다. 이 때문에 기체 양 측면에 필요하면 장착해 사용할 수 있는 ShKAS 기관총을 하나 더 싣고 다녔으나, 문제는 총은 하나고, 총구는 두 개라 사수가 여간 근육맨이 아니면 양 측으로 총을 옮기며 쏘는 게 쉬운 일만은 아니었다. 어쨋든 방호력을 보충하기 위해 대구경 기관총으로 등짝 부분의 포탑을 교체했으며, 이 덕분에 생존률이 두 배가 되었다고...[3]

3 운용

일단 전쟁 상황이 상황인지라 1941년 까지는 별로 활약이 없었다. 이 때 까지만해도 독일군의 공세 덕분에 버틸 수가 없다 상태였기 때문. 그러나 반격이 시작되면서 DH-98 모스키토처럼 고속 폭격기로써 장점이 부각되기 시작한다. 독일 공군의 주력 기체인 Bf109를 뿌리치고 고속 폭격을 가하기도 했고, 따라잡은 109들을 도리어 역관광 태우기도 하는 등 기대 이상의 활약을 보여준 것이다. 러시아에서는 폭격기가 전투기를 격추합니다. 다만, 앞에서 언급되었듯이 방어 무장의 부족과 끊임없이 재밍을 일으키는 현상은 지속적으로 승무원들을 괴롭혔다. 심지어 드르륵! 한 번 쏘았는데 바로 잼 되어버리는 경우도 있었다고... 또한, 조종사를 제외한 승무원을 보호할만한 장갑이 별로 좋지 않아서 조종사 한 명이 부상당할 때, 다른 승무원들은 10명이 부상당했다고 한다. 이 문제는 이후 실전 경험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장갑을 더 장착하면서 해결했다고 한다.

한편 핀란드에서도 계속전쟁이 벌어지자 독일로부터 노획된 Pe-2를 구매해 사용했다. 초반 계획은 급강하폭격기로 사용하려 했으나, 급강하시 엔진 부분에 장력이 너무 크게 발생해 취소되고, 장거리 정찰 및 폭격으로 바뀐다. 어째 급강하폭격기로 개발했지만 아무도 급강하폭격을 하지 않은 것 같다. 참고로 Pe-3도 노획해 같은 용도로 사용했다고 한다.

전후 50년대 초반까지 유고슬라비아를 비롯한 동유럽권 국가에서 폭격 및 정찰용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1. 다만 Pe-3의 경우에는 전쟁 상황에 따라 생산 중단이 자주 되었고, Pe-2로 대부분 대체 가능했기에 그다지 많이 쓰이지는 않았다.
  2. 조종사는 손을 조종간에 묶는다 탈출할때 어떻게하려고(...)
  3. 기존에는 평균 20소티 생존률 이었으나 이후 54소티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