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저장장치)

  • 상위항목 : NAS

1 개요

파일:Synology-ds216plus.png
시놀로지 DS216+ii 사진

Network Attached Storage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 쉽게 말하면 LAN으로 연결하는 외장 하드디스크.[1]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저장장치이다. 현대의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비슷한 부분이 많다. 구조적으로는 스토리지 서버를 단순화, 소형화한 것이다. 막상 까고 보면 별다른 게 없다.

과거에는 SOHO,0 기업용, 대기업의 보조 목적이었다. 2015년 전후로는 SSD 용량을 보조할 HDD의 HDD에 의한 HDD를 위한 독자적인 기기의 유용성이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일반 개인이 부담 없이 사서 쓸 수 있는 제품과 소규모 사무실의 업무용이 주력 제품군으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2 특징

2.1 데이터 공유가 쉽다

NAS의 초기 목적은 여러 사람이 데이터를 쉽게 공유하기 위함이었다. 윈도우등 PC 운영 체제에서도 공유 폴더 설정이나 파일 서버를 꾸미는 등을 통해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공유 폴더 기능은 PC를 계속 켜놓아야 하고 리소스를 쓰게 만들어 작업을 느리게 만든다. 파일 서버는 성능이 좋은 대신 전력 소비량이 많고 구매 비용도 비싸며 관리에도 손이 많이 든다. NAS는 간단한 초기 설정만 거치면 대부분의 운영체제, 컴퓨터에서 어렵지 않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이렇게 비용 대비 효율성이 뛰어나다.

2.2 저장장치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다

NAS는 내부 네트워크와 인터넷과 연결할 수 있어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해 NAS의 데이터를 읽고 기록할 수 있다. 인터넷 회선의 성능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 속도는 제한받지만, 외장 하드디스크USB 메모리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NAS는 일반적인 하드디스크를 기반으로 하여 용량의 압박을 받는 휴대기기에는 구세주나 다름 없다. 모바일 기기 중에서는 (특히 스마트폰) 내장 저장공간이 128GB 이상으로 넘어가는 기기를 찾기 어렵지만 NAS는 가정이나 중소기업용 모델로도 적게는 1~2TB, 많으면 10TB 이상의 용량을 자랑한다. 일부 회사에서는 하드디스크를 제외한 제품을 팔기도 하는데, 이를 이용해 집에서 노는 하드디스크를 장착해 쓰기도 한다. 320GB, 200GB 하드를 꼽아도 유료 클라우드보다 용량이 많다.

2.3 다재다능한 용도

NAS의 원래 목적은 파일 서버의 목적인 데이터의 공유였다. 하지만 지금은 기능이 계속해서 늘어나 영상스트리밍,트랜스코딩 스트리밍. 토렌트, 데이터 백업, 채팅봇, 음악스트리밍, 가상머신, 웹페이지 호스팅 등 용도가 다양하다. 대체 NAS하고 서버를 분류를 왜 하는지가 의문일 정도. 커스텀도 가능한데 가상 OS 깔고 별짓 다 하는 사람도 있다. 무거운 작업을 하기에는 어렵지만, 개인이 쓰기에는 충분한 성능이다.

2.4 저렴한 유지비

ARM이나 MIPS, 그리고 아톰 CPU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제품이 대부분이라 전기를 적게 먹는다. 하드디스크 소비 전력을 뺀 소비 전력이 10W 정도인 제품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서버에 비해 압도적인 전력 소비량 대비 효율성을 보여준다. 2016년 현재 인텔 기반 CPU의 전력 소비량은 많이 줄어들었다. 아이들 상태의 전력 소비량이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각종 포털 사이트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저장소의 용량 추가보다 월등히 저렴하다. 당장 100GB를 몇 달 추가하는데 1만 원 이상의 돈을 투자해야 하지만 NAS는 하드디스크를 장착해 사용하므로 가성비가 우월하다. 전기요금 외에 별다른 월 이용료가 없다.

또한 DDNS를 위한 도메인 주소의 경우 무료도메인도 찾아보면 많다. 굳이 따로 구입하더라도 일 년에 2만원이면 갱신이 된다.

기존에 사용하던 구형 컴퓨터에 NAS용 운영체제를 깔거나 NAS용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x86 컴퓨터로 NAS를 만들기도 하는데, 이러면 기계값이 안든다.

2.5 보안

포털 사이트가 운영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안정성은 뛰어나다. 그러나 저장된 데이터가 안전한지는 확실하지 않다. 서비스 운영자가 임의로 열람하거나, 정부나 사법기관의 요구에 데이터 검열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대규모 기업의 스토리지 서비스 약관을 읽어보면 이에 대해 언급해 놓은 조항이 못 해도 하나씩은 있다. NAS는 자신만의 클라우드 서비스로서 누군가에게 압수라도 당하거나 해킹을 당하지 않는 이상 데이터 유출 가능성은 낮다. 혹은 https을 활용해 SSL을 적용해 보안을 강화할 수도 있다. 다만 대부분의 NAS는 대기업의 서버와 비교했을 때 보안 성능은 떨어지는 편이므로, 외부 공격에 취약할 수 있다. 즉 기기 외적인 이유로 데이터가 유출될 가능성이 낮고 보안 성능은 낮다는 뜻이다. 따라서 암호는 보안성이 보장될만한 충분히 복잡한 형태를 쓰고, 사용하지 않는 기능은 비활성화 시키며, 안 쓰는 포트는 닫아둠이 최선.

NAS도 컴퓨터이기에 해킹 사례가 있다. 대표적으로 시놀로지의 DSM이 해킹 당해 도기코인이라는 가상 화폐 채굴기로 쓰인 사례다.

기타 보안 이슈들도 있다. 가령 NAS 운영체제에 제조사가 백도어를 만들어 놨다는 의혹 등이 있다. 다른 기기들의 사례들을 보면 있을 수 있는 가정이다.

3 단점

3.1 네트워크 연결은 필수

유선이든 무선이든 네트워크 연결을 해야 한다. 인트라넷처럼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는 분리된 네트워크에서도 NAS는 쓸 수 있다. NAS에 따라서는 인트라넷 마저 없을 때를 대비하여 USB로 DAS 비슷하게 쓸 수 있는 모델도 있다. 하지만 원격 연결을 하려면 외부 인터넷 연결이 필수다. 현대에는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통신사 Wi-Fi 등 각종 대규모 무선 네트워크 덕분에 접속은 용이하다. 하지만 회선 속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느린 회선에서는 속 터지는 속도를 경험할 수 있다. NAS가 쓰는 회선과 자신이 접속한 회선의 속도가 중첩되면 더더욱 느려질 수 있다. 둘 다 느리다면 그냥 묵념하자

3.2 성능의 한계

대부분의 개인용 시판 NAS는 CPU를 임베디드 모델(주로 ARM)로 쓰며, 이는 파일 서버에 비해 성능이 떨어진다. 그래서 제대로 된 서버처럼 이것저것 서비스를 올려 쓰기에는 애로사항이 꽃핀다 이런 용도로 쓰려면 NAS보다는 일반 데스크톱 PC 또는 서버를 쓰는 편이 효율성을 생각하면 더 싸게 먹힌다.물론 전기요금 부담과 소음 문제는 책임 못 진다 그래서 좀 더 상위 제품인 아톰같은 저전력 x86 CPU를 사용한 제품들이 생겼으며 아예 직접 저전력 PC를 기반으로 고성능 NAS를 자작하는 사례도 많아졌다.

굳이 NAS라는 틀 안에서 해결해야겠다면 별도의 NAS를 통해 부하를 분산하자. 분산으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고성능 NAS를 자작하던가 다른 방식을 생각해보는 편이 좋다. 거기다가 상용 NAS는 가성비가 상당히 떨어진다.

제일 중요한점은 바로 속도. 네트워크 속도가 빨라도 직접 컴퓨터에 연결된 대부분의 외장하드보다 느리다.[2] 더욱이 다운로드 속도도 포함된다면... NAS용도가 공유 및 외장하드 없이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인데 속도를 우선시한다면 NAS는 별 의미없다. 물론 나스를 운영하다보면 기가인터넷 상급공유기 도메인을 자동적으로 도입하게 된다

3.3 설정의 복잡함

NAS는 서버보다는 관리가 쉽고 설정도 어렵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그렇다는 뜻이다. 무언가 서비스 하나를 더하려면 여러 설정을 해야 한다. 단순한 파일 공유조차 네트워크 기본 설정, NAS 이름 설정, 드라이브의 포맷 및 할당, 사용자 및 사용자그룹 지정이라는 작업을 반드시 해야 한다. 서비스를 더 올린다면 설정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게다가 NAS나 서버나 근본은 똑같은 리눅스다! 인터넷 공유기조차 설정하지 못해 쩔쩔매는 사람이 태반인 현실 앞에 NAS도 공부를 하려는 의지를 갖춘 사람만 제대로 다룰 수 있다.

가령 기본적으로 공유기의 포트포워딩(특정아이피의 특정포트를 외부 네트워크에 여는 설정)은 필수로 알아야 한다. 프로토콜(SMB,FTP,WebDAV)의 사용 방법, 조금 파고들면 리눅스 운영체제의 특성과 터미널 명령어나 제조사가 만든 OS의 특성도 알아야 한다!. 또한 NAS의 쓰이는 파일 시스템이 주로 리눅스 파일시스템을 쓰므로 윈도우즈와 호환이 어렵다. NAS에 쓰던 하드를 컴퓨터에 연결해도 파일들을 볼 수 없는 불편함도 있다. 이 정도면 컴퓨터의 아주 익숙한 사람이라도 쓰는데 어려움이 있을 정도다. 윈도우의 파일 시스템인 NTFS를 쓰는 NAS도 있지만 수도 적고 한계는 있다.

4 대표 브랜드

4.1 시놀로지(SYNOLOGY)

대만회사로, 국내 인지도가 매우 높다. 한국 나스 커뮤니티들을 다뒤져 보면 5분의 4는 거의 시놀로지, xpenology 이야기다.
공식 유통사로는 에이블스토어, 피시디렉트, 데카INS 3군데이며, 딱히 총판이라고 자칭 하는곳은 없다.[3] 이런 이야기에서 짐작 할 수 있겟지만 공식 한국 시놀로지 지사는 없는 상황이다.[4]

스펙 대비 비용이 높아서 초보들대다수의 사람들은 '나는 헤비하게 사용할 일 없으니까 저렴 한거 사서 가볍게 써야지~'라며 포고플러그, ipTIMENAS, 마이클라우드로 큰 삽질을 하고 결국엔 시놀로지로 가는 테크를 탄다. 가볍게 시작하다 바로 자작 나스를 쓰는 사람도 많다
여기서 사파가 있는데 xpenology 라는것을 일반 컴퓨터에 깔아서 시놀로지의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거다.

IT잡지 기자의 정보에 따르면 시놀로지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윈도우의 개발자들이 나와서 설립한 거라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안정성이나 호환성이 높으며 인터페이스가 왠지 낯설지 않다.

현 시놀로지의 OS인 DSM의 최신버전은 6.0.2 8451 Update 2 데모버전사이트는 여기로

4.1.1 Xpenology

xpenology는 시놀로지의 DSM(DiskStationManager)의 커널을 다른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컴파일한것인데 시놀로지에서는 애초당시에 우리나라에서는 해킨토시의 인식이 이어져 해놀로지로 부른다.

이것은 GPL 라이센스에 따르는 시스템 파일과 컴파일된 CGI를 결합하여 만든 소프트웨어이며, 여기서 문제가 되는 부분은 패키지의 CGI를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수정(패치)한 CGI파일이다.

이는 시놀로지 소프트웨어 약관과 저작권법에 위반하는 엄연한 불법이다. 라이센스 위반에 대한 공식답변은 외국의 블로그에서 찾을 수 있다. 관련글 바로가기 이 블로그에 따르면 시놀로지 프랑스에서의 답변은 불법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시놀로지 본사에서는 법적 대응할 계획이 없다. 국내 IT 사이트인 2cpu에서 시놀로지 국내 판매사와 Xpenology 관련 문제가 있었는데, 사이트 운영자가 직접 Synology 본사에 문의를 한 결과 Xpenology를 법적 대응을 할 이유가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 # 개인 용도에서는 거의 문제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직장에서 사용하거나 상용 서비스의 일부로 사용할 때는 Xpenology 사용의 법적 리스크를 감안하고 써야 한다. 몇 년째 방관해왔긴 하지만, 방관한다고 저작권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므로 언제든지 고발 가능하다.

Xpenology를 의식한 행보인지 DSM 6.0의 GPL 소스 오픈이 상당히 늦어지고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봤을 때 Xpenology의 앞길은 그다지 밝지 않다. Xpenology 커뮤니티에 비공식 6.0 부트로더가 올라와 있으나 리버싱 수정본이라 안정성이 상당히 떨어진다.

4.1.2 장점

  • 셋팅이 쉽다.
    • 왠만한 NAS들은 포트포워딩이나 DDNS 설정들을 해줘야 하는데, 시놀로지는 퀵 커넥팅이라는 기능으로 한 번에 접속이 가능하다. 문제는 퀵커넥팅으로 연결하면 속도가 FTP나 WEBDAV같은 프로토콜로 연결할 때보다 심각하게 느리다. 별도의 사정이 있지 않는 이상 퀵 커넥팅보다는 정석인 DDNS, 포트포워딩설정을 권장한다.
  • 기능이 많다.
    • 개인 서버가 할수 있다고 생각되는 대부분의 기능들을 제공한다. 기본적으로는 ftp나 webdav, samb등의 프로토콜을 통한 파일서버 토렌트, 사진첩, 아이튠즈 서버역할도 하고 PLEX 서버도 돌릴수 있다. dlna는 기본이고 스마트폰에서는 대부분의 기능을 어플로 접근할 수 있게 해놨다. 클라우드 기능도 있어서 드롭박스와 같이 셋팅할 수 있다. 이 모든걸 꼼수없이 정식 프로그램으로 제공한다.
    • 서드파티들도 설치가 가능하며 패키지센터라는 곳에서 관리된다.
    • 어플들의 완성도도 높아서 안정적이고 깔끔하게 만들어져있다. 현재 제공되는 어플의 종류는(iOS기준) 다음과 같다.
      • DS video : 영상 스트리밍서비스 6.0으로와서는 서드파티프로그램인 PLEX보다 좋은 평가를받고있다 dlna기능을 통해 스마트TV로 뿌려줄 수 있다.
      • DS photo : 사진 어플인데 시놀로지에 사진을 넣어놓고 인덱싱이 끝나면 여기서 정리된걸 볼 수 있다.
      • DS cloud : 기기간의 파일동기화를해준다.
      • DS cam : 시놀로지의 서베일런스 프로그램으로 CCTV를 구성할 수 있는데 그걸 볼수 있게 해주는 어플이다.
      • DS note : 에버노트나 원노트같이 서버에 메모를 저장할수있다. evernote에서 불러올 수 있다.
      • DS file : 시놀로지 서버에 들어있는 파일들에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계정권한에 따라 업로드도 가능하다
      • DS finder : 시놀로지 서버의 상태를 볼수 있게 해준다 WOL도 해줘서 서버가 깨어나게 해준다.
      • DS audio : 서버에 들어있는 음악을 재생할 수 있게 해준다.
  • 관리가 쉽다.
    • 기본적으로 원격관리가 가능하다(다른 NAS도 가능). 인터넷 브라우저로 로그인하면 모든 기능 관리가 가능한데 반응속도가 빠르다.
    • 리눅스 기반이다보니 리눅스의 서버관리를 처음하는 사람은 볼륨이나 계정관리가 생소할텐데 NAS를 살정도의 열정이라면 별 무리없이 적응 가능하다.
    • 저가형 NAS는 계정관리가 굉장히 번거롭다. 하지만 시놀로지는 아주 손쉽게 가능하다. 모바일 웹페이지까지 제공하는데 거기서 모니터링이나 계정관리가 된다.
    • 스마트폰에서 모바일웹뿐만 아니라 데스크탑웹으로 접근 가능한 버튼을 마련해두고 있다. 문제가 생겨도 한국에 있는 대다수의 포럼들은 시놀로지 xpenology 유저이기떄문에 왠만한 문제는 검색해보면 나온다.

4.1.3 단점

당장 바이러스만 해도 시놀로지 DSM의 백신프로그램이 있고 사후지원도 심심하다 싶으면 보안,버그 픽스패치가 나오며 구글 2차 otp 인증, 손쉬운 ssl 인증서 발행 사용자 친화적인 gui 등등... 단점을 찾기가 어렵다. 다른 대기업 나스도 비슷하지만..

굳이 말하라고 한다면 정품의 경우 하드웨어에 비해 가격이 매우 매우 창렬이라는점 하지만 그것도 시놀로지의 DSM을 써보면 자동으로 납득이 되버린다... 그냥 시놀로지의 100%의 80%는 소프트웨어 값... 그덕분에 당장 30만원을 가지고 시놀로지를 사려니 arm cpu라서 그냥 때려치우고 자작나스를 조립하여 xpenology를 올려버리는 경우가 많다.

국내 유통사들의 평가가 그리 좋지 않다. 기술 지원이나 AS에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제품군이 세분화되어 있어 초심자가 제품 선택할 때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다.
좋게 말하면 세분화된 제품군, 나쁘게 말하면 경계가 애매한 제품군이 단점이라면 단점인데, 시놀로지 NAS를 처음 접하는 사용자는 헷갈릴 정도이며, 2Bay 제품군이 심하다. 이쪽만 해도 SE, J, Value,+,Play, 7베이군[5], 렉마운트 타잎까지 제품군이 넓은데, 초심자가 이 구분을 할수 있기를 기대하기는 어럽다.
이에 대한 팁을 주자면 준비된 총알에 맞춰 사면 된다.

4.2 큐냅(QNAP)

시놀로지와 같은 대만회사이다. 시놀로지의 개발자들이 나와 만든 브랜드라는 설이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 시놀로지의 일부 개발자들이 큐냅 쪽으로 스카우트 되었던 적은 있지만 두 브랜드는 엄연히 별개의 회사이다.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보면, 큐냅은 자체 공정이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 기술이 좀 더 발달해 있고 제품이 좀 더 튼튼한 느낌이다.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시놀로지보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호환이 약간 떨어지는 경향이 있지만, 같은 나라 회사 아니랄까봐 대동소이 하다. 국내 인지도는 시놀로지가 1위지만 양쪽 본사가 있는 대만에서는 1, 2위를 다투는 정도라고.

큐냅의 OS는 QTS이며 최신버전은 4.2 데모시험 버전은 여기서 할 수 있다. (ID, PW : admin)

대부분의 나스가 그러하듯 로컬 사용, 자체 웹 서비스, FTP, WEBDAV 등의 외부 접속도 가능하며 모바일 장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

최근 동향을 보면 기본적인 나스 기능은 거의 포화상태에 있다고 해도 무방하며, 가상화(나스 안에 VMWARE를 이용하여 운영체제를 추가 설치하는 것, 기본 OS는 리눅스 임베디드), LXC 및 DOCKER 어플리케이션, 스냅샷 등의 기능 확장을 하고 있다.

4.2.1 장점

시놀로지의 NAS가격대는 하드웨어에 성능에 비해 가격이 높아보이는 효과를 가져오지만 큐냅의 경우, 하드웨어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편이다.

또한 시놀로지와 경쟁하고 있는 회사인 만큼 시놀로지에서 지원하는것들은 대부분 지원하며 기능상의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시놀로지에 없는 기능들도 추가하고 있다. 서로 경쟁하고 있는 듯. (대표적으로 HDMI 출력 등)

현재까지 출시되고 있는 나스 중 유일하게 HDMI 포트가 있어서 모니터 또는 TV로 출력이 가능하다. 이는 네트워크에 문제가 생겨도 HDMI 포트를 이용하여 접속이 가능하며 음악, 사진, 동영상 등의 출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종의 스마트 TV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시놀로지보다 가상화 지원이 잘 되어있다. 도커야 기본이고 윈도우를 가상화로 돌려도 쓸만하다! 그 이유는 기본 탑재 메모리가 시놀로지보다 높은 급의 모델이 많기 때문이다.

4.2.2 단점

국내 NAS 업계에서 시놀로지의 점유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큐냅 제품의 인지도가 시놀로지에 비해 약간 떨어진다. (서드파티 소프트웨어 제외)
게다가 한국 NAS 포럼의 많은 사용자들은 시놀로지 유저이기 때문에 그만큼 공유되는 정보량에도 차이가 있다.
물론 다른 브랜드의 NAS에 비해선 이용자가 많은 편이며, 기본적인 지식들은 큐냅 FAQ에서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4.3 기타 브랜드

그외에도 아이피타임, 웨스턴 디지털, 시게이트, 버팔로 등등 여러 회사들이 자체적인 NAS를 제작해서 내놓고 있다. 또 세마전자등 일부 제조사에서는 외장하드(혹은 외장하드 케이스)에 Wi-Fi 공유 기능을 달아 FTP, SAMBA, DLNA등을 지원하는 간이 NAS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단순히 클라우드 서비스(N드라이브, Dropbox, Onedrive, Google Drive등)를 대체하려는 목적으로는 싼맛에 쓸수 있겠지만, 당연히 본격 NAS나 서버형 NAS를 구축하기는 어렵다. 이들 회사는 주로 저가형의 개인용 NAS위주들이다.

4.4 그 외

대부분의 전자제품은 가격이 높아질수록 성능이 좋아진다.[6]

저가형 NAS는 CPU의 성능이 낮다던가 RAM 용량이 낮다거나 사후 지원(펌웨어 업데이트, 기능)이 약하다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2016년 현재 팔리는 제품은 대부분 유선 네트워크는 1,000Mbps 수준의 기가비트 이더넷 규격으로 나오고 있다. 그러면 이론적으로는 125MB/s 수준의 성능이 나와야 하지만, 저가형 NAS 제품은, CPU 성능 한계로 보통 15~60MB/s 정도의 성능을 보인다. CPU가 ARM인지 x86인지 확인하면 된다.

개인용 NAS는 웹으로 접근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도 중요하다. 저가 제품군은 이 소프트웨어가 부실할 때가 많다. 저가형과 고가형의 결정적 차이는 바로 안정성이다. 저가형 NAS는 안정성이 낮아서 치명적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더 높다. QNAP, SYNOLOGY, ASUSTOR 등의 전문 스토리지 브랜드 제품은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가형 NAS를 찾는 이유는 가격 때문이다. 개인용 NAS의 일류 브랜드는 수십만원대까지 올라가나, 2016년 현재 최저가 모델은 (하드 미포함 기준) 3만원대까지 있는 상태다.

가격과 성능을 조화시키기 위해서는 용도를 항상 명심해야 한다. 저가형 NAS에서는 FTP, WEBDAV, DLNA 세 가지를 제외하면 작동이 잘 되지 않는다. 개인용 혹은 소집단용 미디어 재생용도라면 굉장히 편리하다. 대부분의 기기(iOS, 안드로이드, PC, MAC, 심지어는 스마트 TV까지)에서 NAS에 있는 영상을 FTP나 WEBDAV, DLNA 등으로 스트리밍 재생이 가능하다. 영상 스트리밍은 물론이고 음악을 잔뜩 넣어두고 아이튠스 서버로 쓸 수도 있으며 안드로이드나 PC에서는 드라이브를 장착해서 아예 외장드라이브처럼 사용도 가능하다.
단, 저가형NAS에서 웹서버를 돌리는 등의 행동은 장난감 이상의 가치는 없다.

저가형 NAS 중 한 제품을 꼽으면 ipTIME의 NAS가 있다. 그러나 사후지원이 아무리 잘 되더라도 아톰 cpu가 아닌 ARM cpu이며 웹ui, 앱 지원이 처참한 수준이다. ipTIME의 후기는 전원부가 뻥뻥나가고 데이터가 어이없게 싹 날라갔다는 사례가 많이 보인다. 그러나 대부분 제품이 나쁜 후기만 올라오므로 걸러들을 필요가 있다. ipTIME NAS도 장점은 있다. 예로 상대적으로 쉬운 셋팅과 ipTIME NetOS의 깔끔한 설정 페이지, NTFS지원등 --ipTIME의 빵빵한 펌웨어 지원과 혁신적인 최적화 등을 꼽을 수 있다.

저가형 NAS 중 WD의 WD My Cloud가 성능이 준수한 편이다. NAS 전용 RED HDD가 내장되며, 훌륭한 가성비로 해외직구 시 HDD 살 가격으로 NAS가 덤(...)으로 오는 기현상을 겪을 수 있다. 가격이 저렴한데 비하여 기본적인 필수 기능이 다 갖춰서 NAS에 입문하는 사람들에게 많이 추천된다. 추후 다른 제품으로 업그레이드 시 분해하여 HDD만 사용해도 이득.

최근에는 일반 인터넷 공유기에도 기본적인 파일공유 기능이 달려나오면서 대중화 되고 있다.라지만 사실 그냥 장식이다 정말로.

NAS이 저렴해도 저장매체가 더 비싸지기도 한다. 저장매체는 중장기 소모품에 가깝게 받아들여야하고 대부분 NAS, 서버용 하드를 장착해야한다.

5 자작

NAS는 파일 공유만 하는 서버니까 기능만 추가하면 완전한 서버로 사용할 수 있다. 대중적인 구성은.

5.1 구형 PC

쓸모없는 컴퓨터를 해놀로지 같은걸 깔아서 NAS화 시키는 경우는 꽤 흔한 편이다. 싸기도 하다. 눈에 띄지 않는 다락방에 두고 서비스를 한다고 외국에서는 '다락방 서버'라고도 부른다. 따로 시스템을 살 필요 없이 기존에 사용하는 장비를 전환하다 보니 비용이 적다. 그래픽 카드나 사운드 카드같이 NAS에는 필요 없는 부품을 제거해 팔아버린다면 되려 돈을 벌 수도... 성능 또한 ARM 계열 NAS보다 월등하다. 물론 구형 일반 PC는 전성비가 낮아 전력소모가 큰 단점이 있다. 평범한 조건이라면 150W 정도가 소모될 수 있다. 그래서 전기세 폭탄을 맞게 될 수도 있다.[7]

구형 노트북(저전력 설계 아닌)을 사용할 경우 25W 정도의 전력이 소모된다. 자판이나 LCD가 망가져 중고로 팔지 못할 때에도 NAS로는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다. 그리고 성능 나쁘기로 유명한 넷북 1세대라 하더라도 ARM 계열 NAS보다는 성능이 더 좋다는 장점도 있다. 활용

5.2 임베디드 개발자보드

라즈베리파이같이 컴퓨팅 성능이 꽤 되는 저렴한 개발자 보드가 나오자 여기에 NAS용 운영체제를 깔아서 NAS로 만들어버리는 사례가 자주 나온다. 게다가 선택폭도 꽤 넓다. 초소형이라 진짜 상용 소형 NAS급 크기를 가진 NAS를 만들수 있다. 라즈베리파이같은 저렴한 보드에서부터 비글본,바나나보드 같은 꽤 고스펙의 보드에서 초소형 x86기반 보드인 라떼판다 같은 물건들도 있다. 이 외에도 아예 SATA포트가 기본적으로 달려나오는 보드도 많은 관계로 본격적인 임베디드 NAS를 만들어 보고 싶다면 이런 물건들도 좋다(바나나 파이,마스보드,큐비보드 등등)

5.3 x86 저전력 저소음 자작 NAS

2016년 나스 커뮤니티에서 저소음/저전력 기준, 중고 부품을 쓰지 않고서 자작 NAS를 만들고 싶은 입문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사양이다.

최근에 저전력 x86 프로세서가 많아지면서(Bay Trail 계열 CPU는 TDP가 10W 이하) 많이 시도되는 구성 중 하나이다. NAS는 주로 저소음 저전력을 추구한다. 메인보드는 j1900 베이트레일이 주류인데, 아톰 기반이라 전력을 적게 먹고 싸기 때문이다. ASRock의 Q1900 or Q1900dc 가 흔히 쓰인다. Q1900dc는 직구를 해야하므로 아마존을 알아볼 것. j1900은 단종되었으므로 구하기 어렵다면 윗 제품인 j2900dc를 알아보도록 하자. (일반적으로 거의 동급으로 보는 TDP 6W의 N3150이라는 선택지도 있다) 저가형 베어본이 이런 구성을 띠는지라 NAS로 전용하기도 한다.

램은 ddr3L 저전력이 좋다.

dc파워가 아닌 기본 보드라면 소형 파워를 따로 구해서 장착한다. 저소음을 원해 dc보드를 선택했다면 그에 맞는 어댑터를 사면 된다.

케이스는 공간과 가격이 허락하는 범위에서 HDD 탈착이 쉬운 제품을 고른다. 자작의 걸림돌은 케이스다. 일반케이스는 너무 크고, 작은 케이스는 HDD가 1개밖에 안들어간다. 케이스가 문제다.. 까짓 거 벌려놓고 먼지 털어주면

이러면 하드값을 제외한 15만원이라는 가격으로 1인 트랜스 코딩도 거뜬히 버티며 저전력까지 되는 가히 충공꺵 가성비의 갑인 NAS가 탄생하게 된다. 여기에 시놀로지, xpenology를 얹는다면 70만원을 절약하면서도 ARM이 아닌 인텔을 사용하게 된다.

5.4 운영 체제

PC나 서버를 아예 NAS처럼 만드는 전용 운영체제도 있다. FreeNAS와 NAS4Free(Free NAS에서 갈라진 (포크) 프로젝트), OpenMediaVault(OMV), Xpenology 같은 운영체제가 대표적인 예. 오픈 소스 기반이기에 생긴 것은 시판 NAS보다는 조금 부실해 보여도, 검증된 운영체제를 써 성능이나 신뢰성은 어느 정도 검증을 받았다.

FreeNAS의 경우 안정성을 중심으로 설정이 되어있다. 대표적으로 많은 매뉴얼들이 ZFS사용을 전제로 만들어져있다. 하지만 ZFS의 특징이 그렇듯 무거운 면이 있다.
NAS4Free는 위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FreeNAS에서 갈라져 나온 프로젝트다. FreeNAS와 비교하면 가볍지만 FreeNAS만큼 안정성을 챙기는 세팅은 아니며, 갱신이 활발하지 않다.
OpenMediaVault는 많은 리눅스의 모태가 되는 Debian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기존 리눅스에 패키지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고, 처음부터 OMV를 설치하더라도 apt 저장소를 사용해 광범위한 리눅스 유틸리티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Xpenology는 위에 언급한 시놀로지 커널이 GPL로 공개된 것을 기반으로 상용 NAS에 들어가는 리소스를 복제하고, 보안 코드를 패치하여 제작했다. 그에 따른 문제는 Synology 문단을 참고. DSM 6.0 공개가 늦어지고 있어 Xpenology 역시 제작이 많이 미뤄지고 있으므로 보안을 생각한다면 다른 운영체제를 고려할 것.

PC에 이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초기 설정만 하면 나머지는 시판 NAS 사용과 별반 차이가 없게 된다. 관심이 있다면 이 기사를 참고 할 것.

5.5 안드로이드 기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휴대폰 충전기로도 간단한 NAS의 흉내가 가능하다.

가장 큰 장점은 아주 싸게 기기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과 저전력이다. 완충된 스마트폰이 소모하는 전력은 2.5W 미만으로 매우 적다.

단점은 용량, 속도 등을 들 수 있다.
용량을 보면, 구형폰의 경우 microSD를 합쳐도 32GB~64GB 정도로 정상적인 하드디스크를 장착한 상용 NAS 용량의 털끝에도 미치지 못한다.
속도를 보면, ARM 계열이기에 저가형 상용 NAS와 비슷한 문제에 직면한다. 특히 갤럭시 S2 이하의 성능을 가진 기종은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1. 반대 개념은 컴퓨터에 직접 연결해서 쓰는 DAS(Direct Attached Storage). 내장형 하드디스크나 eSATA 규격 외장 하드디스크가 대표적인 예.
  2. 인트라넷 한정이지만 USB 2.0와 기가비트 이더넷을 비교하면 NAS가 더 빠르다. USB 3.0이라도 2.5" 외장하드면 기가비트와 비슷한 성능을 보인다.
  3. 총판 수준의 애프터 캐어를 하는곳도 없다
  4. 15년에 열린 16년도 컨퍼런스 에서 이에 대한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섣불리 전망하기는 어럽다
  5. 2베이가 최대 5베이 확장 유닛을 붙일 수 있는 제품군, 벨류와 플러스 모델로 나뉜다
  6. 가격과 성능이 로그곡선[math](x\gt1)[/math]과 같은 그래프를 그리는 것 같다.
  7. 150W × 24h × 30일 = 108Kw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