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바이러스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1 Tyrant Virus

Twi-T-Virus.jpg

바이오하자드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상의 바이러스.

엄브렐러 제약회사에 의해 만들어진 시조 바이러스의 개량형. 시조 바이러스의 생물의 유전자구조를 바꿔버리는 효과를 기반으로 엄브렐러의 생물병기 개발의 핵심기술이 된 바이러스. 제임스 마커스 박사가 최초 개발에 성공하였다. 제임스 마커스의 초기버전은 시조 바이러스에 거머리 유전자를 합성하여 제조했다고 한다. 후에 윌리엄 버킨이 마커스로부터 모든 연구자료를 강탈한 후 에볼라 바이러스를 이 초기버전 바이러스에 합성하여 지금의 T 바이러스가 완성되었다고 한다.

1.1 감염 증상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병하면 최초 발열, 기침, 무기력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이후 신체의 신진대사가 급격히 활동하여 평소에도 서서히 굶주림을 느낌과 동시에 전신에서 가려움을 느껴서 온몸을 벅벅 긁게 된다. 증상이 진행되며 신체 곳곳이 괴사하여 몸이 썩어들어가 긁은 부분이 떨어져 나간다. 또한 바이러스가 뇌에 침투하여 뇌세포를 점차적으로 파괴함에 따라 서서히 지능이 낮아진다. 이는 게임 중에 볼 수 있는 피해자의 일기장 등을 읽어서 확인할 수 있다. 카유우마 참조.

병의 경과가 최후에 이르면 잠시 사망한 듯이 보였다가, 신체의 각종 기관은 활동을 정지했으나 자율신경계만이 살아 있는, 즉 좀비가 된다.

주 목적은 당연히 생물병기인 B.O.W. 개발의 주 재료가 되겠으나, 변칙적인 사용 방법으로 전장에서 바이러스 자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웨스커 曰 - 전장에서 잡은 포로에게 바이러스를 투여한 뒤 그대로 돌려보낸다면? 돌아간 포로가 발병하여 부대 내에서 폭주를 시작한다면?

1.2 생물병기 개발

갑각류, 포유류, 어류, 식물 등 생물체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감염되며 감염된 개체는 거의 대부분이 "대형화" 및 "표피의 이상 발달", 그리고 "흉폭화" 코스를 타게 된다. 제로부터 코드 베로니카까지 등장하는 대다수의 괴물들이 T 바이러스 연구의 부산물이다.

초기 개발된 B.O.W.들은 "병기로서 사용 가능할 정도의 지능"의 발달이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 폐기되었으나, 제임스 마커스가 최초로 인간을 소체로 사용함에 따라 두뇌가 발달하여 높은 지능을 지닌 "영장류"를 베이스로 한 병기는 뛰어난 전투능력과 명령을 준수하는 높은 지능을 가지게 되었다. 그 결정체가 헌터타이런트.

다만 타이런트의 경우, 특정 유전자를 지닌 육체만이 변이 가능한 케이스로 그 확률은 대략 1천만 분의 1. 나머지는 그저 좀비가 될 뿐이다.[1][2]

바이오하자드 시리즈가 진행됨에 따라 T 바이러스를 능가하는 강력한 바이러스가 수없이 많이 출현했지만 지금까지 꾸준히 사용되고 있는 바이러스다. 아마 암시장에 엄브렐라사가 가장 먼저 판매한 영향인지 상대적으로 입수 난이도가 다른 바이러스보다 낮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최근엔 기존 T 바이러스 자체를 강화시키거나 약화시키는 것을 통한 새로운 바이러스들이 등장했다.

1.3 기타

Re2_cap11_lg.jpg
바이오하자드 2. 아래 녹색이 T 바이러스.

ORC_T_virus-bmp.jpg
오퍼레이션 라쿤시티.

각 작품마다 바이러스의 색이 다르다. 보통은 녹색으로 구현되지만, 오퍼레이션 라쿤시티에서는 파란색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대중들에게는 녹색이 널리 알려져 있다.

감염 루트는 신체 접촉과 물을 통한 감염. 아크레이 연구소의 사고는 바이러스에 직접 접촉이었고, 라쿤 시 궤멸 사건 당시에는 하수도를 통한 상수원의 오염과 쥐를 매개로 한 직접접촉이 동시에 일어난 케이스. 하지만 주인공들은 주인공 보정인지 허브의 신묘한 능력인지 아무리 물려도 감염되지 않는다. 고농도 바이러스 살포가 아닌이상 공기 중으로 감염되지는 않고 사람 중 10% 확률로 물려도 감염되지 않는 사람이 있다. 질은 이벤트로 감염됐으나 이것도 직접 주입인 경우고 백신으로 치료됐다.

개에게 감염되면 품종이 도베르만으로 바뀌는 신기묘묘한 바이러스.

사실 바이오하자드에는 다른 바이러스도 많이 나오지만, 가장 유명하고 또 게임 중에 제일 많이 퍼지는 것은 역시 이것이다.

Vaccine.jpg
Daylight.png
당연히 백신은 있다. 바이오하자드 3[3]바이오하자드 아웃브레이크 2에 나오는 데이라이트가 대표적이다.

1.4 영화판에서의 설정

residentevil-0081~0.jpg
residentevil-0084~0.jpg
1편에서 등장한 바이러스. 파란색이 바이러스, 녹색이 항바이러스.
resident-evil3-movie-screencaps.com-3041.jpg
resident-evil3-movie-screencaps.com-6149.jpg
3편에서 등장한 혈청.
reafterlife-000821.jpg
4편에서 구현된 T바이러스 세포.모양도 이러면...
reafterlife-000794.jpg
4편에서 등장한 치료제 성분.

애쉬포드 박사가 자신의 딸 안젤라를 위해 만들어낸 바이러스. 세포 재생능력을 갖추고 있어서, 하반신 불구였던 안젤라를 걸을 수 있게 만들었다. 그러나 엄브렐러에 강제로 빼앗겨 군사용 무기로 개발돼 엄브렐러의 중요한 자금줄이 된다. 이런 나쁜놈들!! 게임의 설정처럼 정상 세포를 망가트려 장기의 기능을 정지시키지만 신경계통의 능력을 유지시킨다. 이 능력을 유지시키는 에너지는 인간의 살. 즉 식욕만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게임의 설정과 다르게 공기, 물, 혈액 등 매개체에 관계없이 전파되는 흉악한 능력을 보유하게 되어 엄브렐러사의 연구소와 라쿤시티를 초토화시키고 더 나아가 전 인류를 멸망의 도가니로 몰아넣는다.

그러나 특정 인간(작중에서는 앨리스, 아이작 박사[4])의 경우는 바이러스가 유전자와 완전히 융합하게 되면, 항체는 물론 상당한 근력과 속도 및 염동력을 부여하는 것 같다.

1편과 2편에서 항바이러스가 등장하는데, 파란색이 바이러스, 녹색이 항 바이러스다. 원작에서 바이러스가 녹색인 걸 감안하면 정 반대의 상황. 3편에서는 아이작 박사가 앨리스의 유전자를 이용하여 혈청을 개발하여 이를 좀비들에게 투여, 적어도 단순 노동자로 쓸 수 있는 지능을 보유하게 할 계획이었으나 실험용 좀비가 처음 혈청을 투여받았을 때는 문제가 없으나 얼마 후에 갑자기 공격성이 높아지게 되었기에 실패한다. 4편에서는 치료제까지 나왔다. 5편에서는 지능을 가진 좀비부대가 등장하는데, 3편에서 나왔던 개량형 혈청의 성공작인 듯.

1.5 TG 바이러스

T 바이러스와 G 바이러스를 융합시킨 것. 건서바이버 4에서 처음으로 나오는 바이러스. 이 바이러스의 감염체는 전신이 전기를 띄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형성, 실탄을 튕겨낸다. 때문에 제대로 된 데미지를 입히기 위해서 하전입자포 같은 무기를 사용해야 한다. 건서바이버 4에 등장하는 대다수의 적들은 이 것을 통해 만들어 진 것. 이 바이러스를 통해 모피어스 D. 듀발T-레이디로 각성하게 되었다.


2 노래

김태우 정규 앨범 제목.

  1. 발매 중단된 바이오하자드 1.5에는 타이런트로 변이하다 만 "열성 타이런트"도 존재했다. 강화형 좀비 같은 개념이었는데, 작품이 어둠 속에 묻힘에 따라 이 역시 묻혀버렸다.
  2. 후에 뇌 수술을 통해 확률을 1천분의 1수준으로 줄였다. 엄브렐러의 기술력은 세계 최고
  3. 카를로스 올리비에라네메시스의 공격으로 감염된 질 발렌타인을 위해 라쿤 시티 시립 병원에서 기초백신중간 백신을 합쳐서 만들었다.
  4. 네메시스 그리고 웨스커의 경우는 다른 케이스지만 역시 바이러스 감염자다.